경보설비 – 단독경보형감지기, 비상경보설비, 비상방송설비 , 자동화재탐지설비, 통합감시시설, 가스누설경보기, 자동화재속보설비, 시각경보기, 누전경보기가 있다. ※ 비상조명등은 피난구조설비에 해당 된다. 소화설비 – 소화기구, 자동소화장치, 옥내소화전, 옥외소화전, 스프링클러소화설비등, 물분무등소화설비가 있다. ※ 연소방지설비는 소화활동설비 에 해당된다. 피난구조설비 – 피난기구, 인명구조기구, 비상조명등, 휴대용 비상조명등 , 유도등이 있다. ※ 비상방송설비는 경보설비 에 해당된다 소화활동설비의 종 류에는 연결송수관설비, 연결살수설비, 연소방지설비, 무선통신 보조설비, 제연설비, 비상콘센트설비 가 있다.(암기공식: 3연 무 제 콘 ) 소화 후 소화약제에 의한 오손이 없고, 비전도성이며, 장기보존이 용이 하고, 추운 지방에서도 사용 가능 하며 자체압력으로 방출이 가능 하고, 불연성 기체로서 주된 소화효과는 질식효과 를 갖는 소화약제는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이다. 오손 1 (汚損) [오ː손] [명사] 더럽히고 손상함. 비전도성 -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는 소리입니다. (열은 통함) 불연성 (不燃性) [부련썽] 발음듣기 [명사] 불에 타지 않는 성질. 주된 소화효과 구분 ->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질식) -> 할론 1301 = 할로겐 (부촉매) -> IG-541, IG-01 = 불활성청정 (질식) 정촉매는 활성화에너지를 낮춰 반응을 촉진하고 부촉매는 활성화에너지를 높여 반응을 방해 합니다. 화재실의 단위 시간당 축적되는 열의 양을 의미하는 화재 용어는 화재강도 이다. ※ 화재강도(FIre inten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