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총체성 - 문화를 구성하는 각 요소가 유기적인 연관성을 맺으면서 전체로서 체계를 이룬다는 것 (문화의 한 부분에 변화가 있으면 관련된 요소에 연쇄적 변동이 일어난다)

집단이 개인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 사회가 개인들의 단순한 총합 이상, 개인들로 환원될 수 없는 독자적인 특성을 가짐 - 사회 실재론

사회가 단순한 개인들의 집합체에 불과, 인간 스스로가 희망하지 않으면 행동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개인의 주체적, 능동적 측면) - 사회 명목론


개인의 자율성 > 사회 제도의 구속성 - 사회 명목론

구조의 영향력 > 행위의 능동성 - 사회 실재론(개인이 사회 구조로부터 자유로울수 없다)

머튼 아노미 - 일탈 행동의 원인을 문화적 목표와 제도적 수단의 괴리에서 찾는다(제도적으로 허용된 수단으로는 목표를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일탈을 한다고 본다)

차별적 교제이론 - 일탈자들과 접촉하면서 그들의 일탈적 부분 문화를 학습한 결과로 일탈 행동 나타남

사회진화론 - 비서구 사회는 야만 혹은 미개의 단계에 있다고 보고, 서구는 발전된 문명의 단계에 있다고 본다(서구가 비서구 지배를 정당화 함)

사회진화론 - 사회 변동은 일정한 방향성 가짐, 변동은 곧 진보를 뜻함

순환론 - 장기적 역사적 관점에서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퇴보의 가능성도 잘 설명(사회 변동을 순환 과정으로 설명)

복지제도 확충이 나타났다면 중층의 비율이 증가해야 한다.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은 대표적인 디플레이션 사례이다.(대표적 스태그플레이션의 사례는 73년과 78년에 발생한 두차례의 석유파동)

생산요소가격상승과 같은 생산비용증가에 따라 총공급이 감소하여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
-> 비용인상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 동시에 일어남,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함)

우리나라 소득세에 적용되는 과세 방식은 누진세

저소득 계층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은 누진세(비례세가 간접세에 적용될 경우 오히려 역진적 성격이 나타난다)

x재의 균형 가격이 상승하는 동시에 균형 거래량이 감소하려면 x재의 공급이 감소하여 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해야 한다.


x재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x재 공급이 감소한다.

해외로부터 x재 수입이 증가하면 x재 공급이 증가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순경 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