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 대원군의 정책(1863~1873)

① 대내 정책

1. 호포제를 실시해 양반에게도 군포를 징수하게 되었다. 17년 기상9급 ( O  )

2. 비변사의 권한과 기능을 의정부와 삼군부로 이관시키고, 비변사를 해체하였다. 18년 국회9급 ( O  )

3. 『대전회통』, 『육전조례』를 편찬하였다. 16년 기상9급 ( O  )

4.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경복궁을 재건하고, 광화문 앞의 육조 거리 등 한양의 도시 구조를 복원하였다. 18년 경찰1차 ( O  )




② 대외 정책과 대원군 집권기 주요 사건

5. 『직지심체요절』은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게 약탈당하였다. 13년 국가9급 (  X )

『직지심체요절』은 조선 고종 때 프랑스 공사였던 꼴랭 드 쁠랑시가 수집해서 프랑스로 반출하였다. 1950 년 사망 이후 프랑스 파리 국립 도서관으로 이 관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6. 병인양요 때 어재연이 광성보에서 결사 항전하였다. 15년 지방9급  (  X )

신미양요 때 어재연이 광성보에서 항전하였다

7. 아시아 함대 사령관 로저스가 이끄는 미군은 광성보를 점거하고 수자기를 탈취하였다. 08년 국가7급 ( O  )

8. 신미양요는 전국 여러 곳에 척화비가 세워지는 계기가 되었다. 17년 지방9급(하) ( O )






③ 흥선 대원군(인물사)

9. 군국기무처에서 총재관을 역임하였다. 16년 지방7급  (  X )

김홍집

10. 을미의병이 확산되자 해산 권고 조칙을 발표하였다. 16년 지방7급 (  X )

고종이

11. 임오군란 직후 통리기무아문을 폐지하였다. 17년 서울9급 ( O  )

12. 강화도 조약 체결 직전 화서학파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았다. 17년 서울9급 (  X )

화서학파는 화서 이항로를 계승한 학파로, 강화도 조약 체결 이전 흥선 대원군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 렸다.

13. 갑신정변 당시 청군의 원조를 요청하였다. 17년 서울9급 (  X )

 민씨(명성황후)

14. 순무영을 설치하였다. 17년 국가7급(하) ( O  )







Theme 200 강화도 조약과 부속 조약

① 운요호 사건(1875)

1. 일본 군함 운요호가 강화도 초지진을 공격하였고, 일본군은 관아와 민가를 노략질하였다. 13년 지방7급 ( O )




②강화도 조약(1876)

2. 강화도 조약에서는 청을 의식하여 조선을 자주국으로 인정하였다. 13년 국가7급 ( O  )

3. 개항지 지정이 약정되면서 군산항, 목포항, 양화진이 차례로 개항되었다. 13년 지방9급  (  X )

 강화도 조약에서는 부산 외에 2개 항구를 개항한다 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부산(1876), 원산 (1880), 인천(1883)이 개항되었다.

4. 개항장에서 일본 화폐의 유통을 허용하였다. 16년 국가7급 (  X )

 조·일 수호 조규 부록에 해당한다

5. 거중조정을 규정하였다. 17년 경찰2차 (  X )

거중조정이 규정된 것은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다






③ 조·일 수호 조규 부록(1876)

6. 개항장 밖 10리까지 외국인의 왕래를 허가하였다. 13년 국가7급  ( O  )

7. 조·일 수호 조규와 조·일 수호 조규 부록, 조·일 무역 규칙에는 일본인 범죄자에 대한 영사 재판을 허용하는 조항이 모두 들어 있다. 16년 국가7급 ( X )

세 조약 중 치외법권(영사재판권)은 조·일 수호 조 규(강화도 조약)에만 들어있다. 






④ 조·일 무역 규칙(1876, 조·일 통상 장정)

8. 쌀 유출이 허용되면서 쌀값이 폭등하고 쌀의 상품화가 촉진되었다. 13년 지방9급 ( O )

9. 일본 정부 소속의 선박에는 항세를 면제하였다. 16년 국가7급  ( O  )








⑤ 1883년 (개정) 조·일 통상 장정

10. 방곡(防穀)을 금지하였다. 09년 국가7급 (  X )

 방곡령 실시 1개월 전 통보할 것을 규정하였다

11. 일본 상민에 최혜국 대우를 인정하였다. 09년 국가7급  ( O  )









Theme 201 서양 열강과 통상 수교


① 『조선책략』 유포 이후의 모습

1. 육영공원(育英公院)을 설립해 서양의 새 학문을 교육했다. 17년 지방9급 ( O  )

2. 최익현은 일본과 통상을 반대하는 오불가소(五不可疏)를 올렸다. 17년 지방9급 (  X )

『조선책략』 유입은 1880년의 일이며, 최익현은 1876 년 강화도 조약 체결에 반대하며 오불가소를 올렸다





②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

3. 『조선책략』의 영향으로 체결되었다. 13년 법원9급 ( O )

4. 조선이 처음으로 서양 국가와 외교 관계를 맺었다. 15년 지방9급 ( O  )

5. 다른 나라의 압박을 받으면 거중 조정한다는 내용의 조항이 들어 있었다. 17년 국가7급 ( O  )

6. 조선과 영국의 통상 조약 체결 이후 맺어졌다. 17년 국가7급 (  X )

영국과의 통상 조약은 미국과의 조약 체결(1882) 이후인 1883년에 체결되었다.

7.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은 강화도 조약과 달리 관세 조항이 들어 있었다. 17년 경찰1차 ( O  )








③ 각국과의 조약 체결

8. 조·일 수호 조규 부록 → 조·미 수호 통상 조약 → 제물포 조약 → 조·영 통상 조약 순으로 체결되었다. 10년 국가9급 ( O  )





02. 개화 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Theme 202 개화파의 형성과 분화

① 온건 개화파

1. 친청적인 외교 정책을 추진했다. 10년 법원9급 ( O  )

2. 갑신정변이 일어나자 청국 군대의 개입을 요청하였다. 16년 국가7급 ( O  )






② 급진 개화파

3. 입헌 군주제에 기반한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10년 법원9급 ( O  )

4. 보부상단을 통괄하는 혜상공국의 설치를 주장하였다. 16년 국가7급  (  X )

급진 개화파는 혜상공국의 폐지를 주장하였다. 





Theme 203 정부의 개화 정책 추진

1. 보빙사는 청나라에서 근대 산업과 문물을 시찰하였다. 13년 지방7급 (  X )

보빙사(1883)는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이후 미국에 파견되었다.

2. 사절단 파견 순서: 2차 수신사 (1880) → 조사시찰단 (1881)→ 영선사 (1881) → 보빙사 16년 서울7급 ( O  )

3. 청에 파견된 영선사 김윤식 일행은 무기 제조법을 배웠다. 18년 국가7급 ( O  )






Theme 204 위정척사 운동

1. 1860년대에 최익현은 일본의 세력 확대에 맞서 척화주전론을 주장하였다. 15년 법원9급 (  X )

 1860년대에는 이항로, 기정진 등이 척화주전론을 주장하며 통상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2. 흥선 대원군의 대외 정책을 지지하였다. 08년 법원9급 ( O  )

3. 일본과 관련하여 왜양일체론을 내세웠다. 12년 국가9급 ( O )

4. 외양(外樣)을 위한 내수(內修)를 강조하였다. 09년 국가7급 ( O  )

5. 최익현은 『화서아언』에서 프랑스와의 통상을 반대하고 서양세력과 끝까지 항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X )

 1860년대 통상 반대 운동을 전개한 이항로에 대한 설명이다 

                                                 『화서아언』









Theme 205 임오군란(1882)

① 배경

1. 구식 군대가 신식 군대에 비해 차별을 받게 되자 폭동을 일으켰다. 10년 지방9급 ( O  )




② 전개

2. 별기군에 비해 차별받던 구식 군인들이 민겸호 집과 일본 공사관을 습격하고, 흥선 대원군이 재집권하였다. 13년 경찰1차  ( O  )

3. 정부의 개화 정책에 반대하는 서울의 하층민들도 참여하였다. 16년 지방9급 ( O  )







③ 결과

4. 임오군란 후 청에 의해 파견된 묄렌도르프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인 고문이었다. 15년 법원9급 ( O  )

5. 5군영이 2영으로 통합되고 통리기무아문이 신설되었다. 16년 법원9급 (  X )

 통리기무아문 설치(1880)와 5군영이 2영(무위영, 장어영)으로 통합·개편(1881)된 것은 임오군란 전의 사실이다.

6. 일본 공사관에 경비병의 주둔을 허락하는 조약을 체결하였다. 15년 국가7급  ( O  )

7. 양화진에서 청국 상인의 통상을 인정하는 조약을 체결하였다. 15년 국가7급 ( O  )





------------------------



Theme 206 갑신정변(1884)

① 배경

1. 청·불 전쟁 때문에 조선에 주둔하던 청군 일부가 베트남으로 이동한 것이 배경이 되었다. 18년 경찰간부 ( O  )


② 전개

2. 정동구락부 세력이 주도하였다. 16년 국가9급 (  X )

 정동구락부는 1894년(고종 31) 서울에서 조직된 구미인들의 사교 친목 단체이다.

3. 박영효는 1872년 철종의 딸 영혜옹주와 결혼한 인물로, 1884년 갑신정변에 참여하였으나, 실패 후 일본으로 망명 하였다. 16년 서울9급 ( O  )





③ 결과

4. 집권층의 요구로 파병된 청 병력에 의해 좌절되었다. 11년 법원9급 ( O  )

5. 청과 일본 사이에 한성 조약이 체결되었다. 16년 경찰간부 (  X )

 한성 조약은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되었다

6. 박문국과 전환국이 설립되었다. 18년 지방7급 (  X )

 박문국과 전환국은 갑신정변 이전인 1883년에 설 립되었다.






④ 의의 및 한계

7. 전제 군주제를 입헌 군주제로 바꾸어 근대 국민 국가를 수립하려고 하였다. 11년 국가7급 ( O  )

8. 일본의 침략 의도를 인식하지 못하고 무력 지원을 받아 외세의 조선 침략을 촉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11년 국가7급 ( O  )






⑤ 갑신정변 14개조 정강의 내용

9. 청에 대한 조공의 허례를 폐지한다. 14년 경찰간부, 10년 국가9급 ( O  )

10. 재정을 모두 호조에게 관할하도록 할 것 14년 서울9급, 10년 국가9급 ( O  )

11. 국내외의 공사 문서에는 개국 기원을 사용할 것. 15년 법원9급 ( X )

 1894년 1차 갑오개혁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12. 보부상 단체인 혜상공국을 혁파한다. 15년 서울9급, 14년 서울9급, 10년 국가9급 ( O  )

13. 각 도의 환곡을 영구히 폐지할 것. 15년 서울7급, 14년 서울9급 ( O  )






Theme 207 갑신정변 이후의 정세

1. 영국은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한다는 구실로 불법으로 거문도를 점령하였다. 13년 지방7급 ( O  )

2. 독일 부영사 부들러는 조선의 영세 중립국화를 건의하였다. 17년 국가9급 ( O  )






① 거문도 사건이 진행되는 동안의 모습 (1885)

3. 당오전을 발행하는 기사 17년 서울9급 ( O  )

83 ~94년

4. 『서유견문』을 출간한 유길준 17년 서울9급 (  X )

유길준이 저술한 『서유견문』은 1895년에 간행되 었다.





03.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개혁

Theme 208 동학 농민 운동(1894)

① 동학의 교세 확장

1. 최시형은 교세를 확대하면서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를 펴내어 교리를 정리하는 한편, 의식과 제도를 정착시 켜 교단 조직을 정비하였다. 14년 경찰2차  ( O  )




② 교조 신원 운동

2. 초기의 교조 신원 운동이 점차 지방관의 횡포에 저항하는 보국안민의 항쟁으로 바뀌어 갔다. 09년 지방7급 ( O )




③ 고부 민란기

3. 고부 농민 봉기는 조병갑의 학정에 항거한 사건이며, 정부는 안핵사 이용태를 파견하여 동학교도를 색출하고 탄압 하였다. 14년 경찰1차 ( O  )




④ 1차 농민 봉기

4. 청이 조선 정부의 요청으로 파병하자, 일본은 임오군란 때 맺은 톈진(천진) 조약을 구실로 파병하였다. 14년 경찰1차 (  X )

 톈진 조약(1885)은 갑신정변의 결과로 맺은 조약 이다. 청군이 조선으로 출병함에 따라 일본군도 톈진 조약을 구실로 1894년 5월 6일 인천에 상륙하였다.


5. 황룡촌 전투 → 전주화약 → 교정청 설치 → 군국기무처 설치 → 우금치 전투 순으로 전개되었다. 15년 경찰2차 ( O  )

6. 동학 농민군 백산 격문은 고부 농민 봉기와 전주 화약 사이 시기에 발표되었다. 16년 기상9급 ( O  )

7. 동학 농민군의 제1차 봉기 시 동학교단의 남접과 북접이 합세하였다. 17년 국회9급 (  X )

 1차 봉기는 남접 중심으로 일어났다. 남접과 북접 의 연합은 2차 봉기 때 나타난다.






⑤ 전주 화약

8. 전주 화약 이후 동학 농민군은 내정을 개혁할 목적으로 전라도 53개 군에 집강소를 설치하여 한 사람의 집강과 그 아래 서기, 성찰, 집사, 동몽 등의 임원을 두었다. 17년 경찰1차 ( O  )

9. 청·일 전쟁 발발 직후에도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집강소가 운영되었다. 15년 지방9급 ( O  )







⑥ 2차 농민 봉기

10. 남접과 북접의 농민군은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하였고, 보은 전투에서 대패한 후 해산하였다. 14년 경찰1차 ( O  )

11. 우금치 전투가 진행된 당시에 고종이 홍범 14조를 발표하였다. 16년 국가7급 (  X )

 우금치 전투는 1894년 11월의 일 이고 홍범 14조 는 2차 갑오개혁 때 (1894. 12~1895. 7) 1894년 12월에 발표되었다.

12. 북접군과 남접군이 논산에서 합류하여 집결하였다. 17년 국가7급 ( O  )

13. 김구동학 접주로서 농민 전쟁에 참전하였다. 17년 국가7급(하) ( O  )






⑦ 의의 및 한계

14. 동학 농민군의 잔여 세력 가운데 일부는 이후 활빈당 등과 같은 반(反)봉건적, 반(反)침략 적 민족 운동을 지속하 기도 하였다. 12년 경찰2차 ( O  ) (중간에 영학당, 동학당 거침)





⑧ 동학 농민군 폐정 개혁안

15. 토지는 평균으로 나누어 경작하도록 한다. 15년 서울9급, 13년 지방7급 ( O  )

16. 삼정의 문란을 비판하고 전운사를 혁파하려 하였다. 14년 국가7급 ( O  )

17. 칠반천인(七班賤人)의 대우를 개선하고 백정(白丁)이 쓰는 패랭이를 벗겨 버릴 것. 17년 국회9급 ( O  )





Theme 209

제1차 갑오개혁(1894)



① 정치

1. 군국기무처의 주도하에 추진되었다. 16년 지방9급 ( O )

2. 일본에 망명해 있던 박영효를 불러들여 박영효·김홍집 연립 내각이 구성되었다. 18년 경찰간부 ( X )

박영효·김홍집 연립 내각은 제2차 갑오개혁을 추진 했다.

3. 중국 연호를 폐지하고 개국기년을 사용하였다. 18년 국회9급 ( O  )

4. 경무청을 신설하여 경찰 제도를 도입하였다. 18년 국가7급 ( O  )





② 경제

5. 신식화폐발행장정을 반포하여 일본 화폐의 유통을 허용하였다. 18년 지방7급 ( O  )

6. 은본위 화폐 제도를 실시하였다. 13년 국가9급 ( O  )

7. 내장원에서 광산, 홍삼 전매 등을 관장하였다. 18년 지방7급  (  X )

 대한 제국 시기의 모습이다.




③ 사회

8. 추진 정책으로는 공·사 노비법 혁파, 연좌율 폐지, 조혼 금지 등이 있었다. 18년 경찰간부 ( O  )




④ 의의

9. 동학 농민 운동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였다. 16년 지방9급 ( O  )







Theme 210 제2차 갑오개혁(1894~1895)

1. 전국을 23부 337군으로 개편하였다. 11년 국가9급 ( O  )

2. 교육입국 조칙이 반포되고 한성사범학교 관제 등이 제정되었다. 19년 경찰간부 ( O  )

3. 종래의 6조를 8아문으로 개편하였다. 18년 국가7급 (  X )

 제1차 갑오개혁의 내용이다.

4. 상리국을 폐지하여 상공업을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19년 경찰간부 ( O  )

5. 궁내부가 설치되어 왕실 사무를 전담하였다. 19년 경찰간부 (  X )

제1차 갑오개혁의 내용이다.






① 홍범 14조

6. 왕실 사무와 국정 사무를 모름지기 나누어 서로 뒤섞지 아니한다. 14년 지방9급 ( O  )

7. 조세의 부과와 징수, 경비의 지출은 모두 탁지아문이 관할한다. 16년 경찰1차, 15년 국가9급 ( O  )

8. 의정부와 6조 외의 불필요한 관청은 모두 없앤다. 18년 경찰2차 (  X )

 갑신정변 14개조 개혁 정강의 내용이다.





② 교육입국 조서

9. 교육입국 조서의 취지에 따라 소학교, 한성사범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13년 경찰간부 ( O  )







Theme 211 갑오개혁과 동학 농민 운동의 공통 개혁안

1. 갑신정변, 동학 농민 운동, 갑오개혁이 공통적으로 추진한 개혁 방안은 문벌의 타파와 인재의 등용이다. 10년 지방7급 ( O  )

2. 각 도의 각종 세금은 화폐로 내게 한다. 11년 국가9급  (  X )
 조세의 금납제는 1차 갑오개혁에 해당한다






Theme 212 개항 이후 국내외 정세

1. 유길준은 한반도의 중립화론을 집필하였다. 12년 법원9급 ( O  )

2. 러시아는 석탄 저장고를 확보하기 위해 절영도를 조차하고자 하였다. 15년 법원9급 ( O )

3. 일본군이 경복궁을 점령하고 청·일 전쟁을 일으켰다. 12년 지방7급 ( O  )








04. 러시아 vs 일본 대립기(1895~1904)

Theme 213 청·일 전쟁(1894~1895) 직후의 정세

1. 일본은 중국으로부터 할양받은 요동 반도를 삼국 간섭으로 인해 반환하였다. 13년 경찰간부 ( O  ) (러프독)

2. 베베르·고무라 각서 : 일본이 아관 파천 이후 수세에 몰리자 러시아와 세력 균형을 위한 협상을 하였다. 17년 서울7급 ( O )






Theme 214 삼국 간섭(1895. 4) 이후의 상황

1. 일본은 낭인과 군대를 앞세워 궁중을 침범하여 명성황후를 시해하였다. 09년 지방9급 ( O  )

2. 신변의 위협을 느낀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였다. 09년 지방9급 ( O  )







Theme 215 을미개혁(1895. 8~1896. 2)

1. 태양력을 사용하고 건양이라는 연호를 제정하였다. 13년 지방9급 ( O  )

2. 서울에 친위대를, 지방에 진위대를 두었다. 14년 국가7급 ( O  )

3. 을미사변을 계기로 개혁을 단행하여 단발령을 실시하였다. 10년 국가7급 ( O  )





Theme 216 독립 협회(1896. 7~1898. 12)

1. 독립 협회는 궁극적으로 군주제를 폐지하고 대외적으로 자주성을 갖는 공화제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12년 경찰1차 (  X )

독립 협회는 공화정이 아니라 입헌 군주제를 실시 하고자 하였다. 


2. 관민공동회를 종로에서 개최하고 헌의 6조를 채택하였다. 13년 지방9급 ( O  )

3.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저지하였다. 18년 국회9급 ( O  )





① 헌의 6조

4. 국가재정은 탁지부에서 모두 관리하고, 예산·결산을 인민에게 공포하도록 한다. 16년 경찰1차, 14년 지방9급, 13년 지방7급 ( O  )

5. 모든 중대 범죄는 공개 재판을 시행하되, 피고가 끝까지 설명하여 마침내 자복(自服)한 후에 시행할 것. 17년 사회복지9급 ( O  )

6. 외국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관민이 한마음으로 협력하여 전제 황권을 공고히 할 것 17년 국회9급 ( O  )





헌의 6조 발표  (1898년 10월 29일) 이후의 모습

7. 황제권 강화 작업의 일환으로 원수부가 설치되었다. 17년 국가9급 ( O  )

8. 서재필을 중심으로 민중 계몽을 위한 독립신문이 창간되었다. 17년 국가9급 (  X )

 독립신문은 1896년 4월 7일에 창간되었다(오늘날 ‘신문의 날’로 지정)









Theme 217 대한 제국(1897~1910)과 광무개혁

① 대한 제국의 성립

1. 을미사변 → 아관 파천 → 독립 협회 결성 → 대한 제국 수립 순으로 사건이 전개되었다. 15년 서울9급 ( O  )

2. 고종은 연호를 광무라 하고 경운궁에서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16년 서울9급 (  X )

고종은 연호를 광무(光武)로 정 하고 국호를 대한 제국으로 하여 원구단(환구단)에 나아가 황제 즉위식 을 거행하고 자주 국가임을 선포하였다.


② 정치·군사·외교

3. 황제가 군권을 장악하기 위해 원수부를 설치하고 황제를 호위하는 군대를 증강하였다. 11년 지방9급 ( O  )

4. 장교 양성을 위해 무관 학교를 설치하였다. 13년 경찰2차 ( O  )

5. 중추원을 개조하여 우리 옛 법령과 풍속을 연구하였다. 16년 국가9급 (  X )

중추원은 일제 강점기에 총독부 자문 기구로 재건 되었다. 설립 당시 중추원은 총독의 자문에 응했으나, 이후 관제 개정에 따라 한국의 옛 관습 및 제도를 조 사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6. 일본이 전쟁을 도발하려 하자 대한 제국은 국외 중립을 선언하였다. 13년 국가7급 ( O  )

7. 대한 제국의 헌법인 대한국 국제는 의회나 국민의 참정권 그리고 사법권 등에 대한 규정을 두었다. 14년 서울7급 (  X )

1899년 제정된 대한 제국의 헌법인 대한국 국제는 의회나 국민의 참정권에 대한 규정은 없었다. 


8. 과거와는 달리 목포, 군산, 원산을 스스로 개항하였다. 17년 서울7급 (  X )

 원산 개항(1880)은 대한 제국 이전 강화도 조약 (1876) 체결로 인해 이루어졌다.

9. 만국 우편 연합에 가입하고, 만국 박람회에 참여하였다. 17년 서울7급 ( O )





③ 경제·사회·교육

10. 근대적인 재정 일원화를 위해 내장원의 업무를 탁지부로 이관하였다. 11년 지방9급 (  X )

국가재정을 탁지부에서 전관할 것을 주장한 단체 는 독립 협회이다. 광무개혁 때는 황실 재정을 확대 하여 황제 직속의 궁내부 산하 기구로 내장원을 설 치하고 재정권을 이관하여 황제가 직접 지출하였다.


11. 한성은행, 대한천일은행 등 민족계 은행을 지원하였다. 16년 국가9급 ( O  )

12. 금본위제를 실시하려고 하였다. 16년 지방7급 ( O  )

13. 양잠전습소와 잠업시험장을 설립하였다. 16년 지방7급 ( O  )

14. 대한 제국의 지계 발급 사업은 지계아문에서 토지 측량과 지계 발급을 담당하였다. 17년 국가7급(하) ( O  )

15. 대한 제국의 지계 발급 사업에서는 개항장에서 외국인의 토지 소유를 인정하지 않았다. 17년 국가7급(하) (  X )

대한제국은 개항장에서의 외국인 토지소유는 인정하였고, 개항장 이외 지역 토지의 외국인 소유는 금지하였다.




④ 대한국 국제 9조

16. 황제에게 육해군 통수권, 입법권, 행정권, 조약 체결권 등 모든 권한을 집중시켰다. 17년 서울7급 ( O  )

17. 국민의 기본권과 통치권에 대한 규정을 두었다. 18년 경찰1차 (  X )

 황제의 대권만을 규정했다. 









05. 일본 독주기(1905~1910)
Theme 218 을미의병(1895)

1.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 실시에 항거하여 일어났다. 13년 법원9급 ( O  )

2. 아관 파천 이후 고종의 해산 조칙을 계기로 대부분 해산하였다. 15년 지방7급 ( O  )

3. 의병장은 주로 양반 유생이었다. 17년 지방7급 ( O  )




Theme 219 활빈당(1900~1904)

1. 토지의 균등 분배쌀 수출에 반대하는 방곡령 실시 등을 요구했다. 15년 경찰간부 ( O  )

2. 정부의 탄압을 피해 계(契) 조직이나 기독교 등의 종교 조직을 이용하여 활동했다. 15년 경찰간부 ( X )

영학당에 대한 내용이다. 영학당은 동학의 잔여 세 력들이 1898년 전라도 지역에서 ‘동학’대신 ‘영학’이 라 는 이름을 사용하여 재건한 조직이다. 이들이 ‘영 학’이란 명칭을 쓴 것은 그들이 신봉하는 종교가 영 학, 즉 영국의 종교인 것처럼 위장하여 정부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3. 을사늑(조)약 이후에 이들 가운데 일부는 의병운동에 참여하였다. 17년 지방7급 ( O  )





Theme 220 을사의병(1905~)

1. 일본이 강제로 을사조약을 체결하고 외교권을 박탈하여 봉기하였다. 15년 기상9급 ( O  )

2. 신돌석은 평민 의병장으로서 일월산을 근거로 유격전을 펼쳤다. 15년 법원9급 ( O  )

3. 최익현이 의병을 이끌고 홍주성을 점령하였다. 18년 국가7급 (  X )

 민종식에 대한 설명이다






Theme 221 정미의병(1907~)

1. 해산된 군인의 합류로 전투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11년 지방9급 ( O )

2. 연합 의병 부대인 13도 창의군이 결성되어 서울 진공 작전을 계획하였다. 17년 국가 9급 ( O  )

3. 일본군의 ‘남한 대토벌 작전’으로 의병 부대의 근거지가 초토화되었다. 17년 국가9급 ( O )

1909년 9월부터 약 2개월간 일본군에 의해 자행된 남한지역 의병에 대한 대대적인 토벌작전



① 서울 진공 작전

4. 이인영을 총대장으로 하는 13도 연합 의병 부대(창의군)가 서울 진공 작전을 시도하였다. 15년 국가9급 ( O  )

5. 홍범도는 13도 창의군을 결성하고 서울 진공 작전을 개시하였다. 18년 서울9급(기술직) ( X )

 민 출신 의병장인 신돌석, 홍범도 등은 서울 진공 작전에서 배제되었다.




② 의사들의 활동

6. 장인환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외교 고문 스티븐스를 사살하였다. 14년 지방9급 ( O  )

7. 안중근이 만주 하얼빈 역에서 초대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15년 국가9급, 14년 지방9급 ( O  )

8. 윤희순은 의병들의 군자금을 모으고 다양한 의병가도 지었다. 19년 경찰간부 ( O )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의병 지도자






Theme 222 애국 계몽 운동 -

① 보안회(1904. 7)

1. 황무지 개간 요구 반대 투쟁을 벌인 보안회는 협동회로 발전하였다. 08년 지방7급 ( O  )






Theme 223 애국 계몽 운동 -

② 대한 자강회(1906~1907)

1. 정미 7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투쟁을 전개하였다. 11년 법원9급 ( O  )

2. 월보를 간행하고 고종 퇴위 반대 운동을 벌였다. 13년 법원9급 ( O  )







Theme 224 애국 계몽 운동 -

③ 신민회(1907~1911)

1. 국권 회복과 입헌 군주 체제의 국민 국가 건설을 목표로 삼은 비밀 조직이었다. 15년 경찰1차 (  X )

 신민회는 공화정 체제를 추구했다.


2. 국내의 요인 암살, 식민 통치 기관 파괴 활동을 전개하였다. 13년 법원9급 (  X )

 요인 암살, 식민 통치 기관 파괴 활동을 전개한 단 체는 일제 강점기에 활약한 의열단이다.


3. 만세보라는 기관지를 발간하였다. 12년 경찰2차 (  X )

 만세보(1906~1907)는 천도교의 기관지이다


4. 평양에 대성학교, 정주에 오산학교를 설립하였다. 16년 서울7급 ( O  )
              안창호 1908             이승훈 1907

5. 평양 근교에 자기(磁器)회사를 설립, 운영하기도 하였다. 16년 서울7급 ( O  )

6. 평양과 대구에 태극서관을 설립하여 출판 사업을 벌였다. 16년 서울7급, 16년 교행9급 ( O  )

7. 유화현 삼원보에 경학사와 부민단을 세우고 신흥강습소를 설립하여 독립군 간부를 양성했다. 15년 경찰간부 ( O  ) - 서간도

8. 신민회의 국내 조직은 105인 사건으로 인하여 와해되었다. 15년 경찰1차 ( O  )







Theme 225 간도

1. 1903년 대한 제국 정부는 간도관리사로 이범윤을 임명하는 한편, 이를 한국 주재 청국 공사에게 통고하고 간도의 소유권을 주장하였다. 10년 국가9급 ( O  )

2. 일본은 청나라에서 *안봉선 철도 부설권을 얻어내는 대가로 간도 지방을 청나라에 넘겨주었다. 09년 국가9급 ( O  )

* 압록강 건너 안둥(현재의 단둥)에서 봉천(현재의 선양)까지의 철도


3. 조선의 관리들은 토문(土門)의 해석을 두만강이라고 주장하였다. 12년 경찰3차 (  X )

 19세기 말, 조선 정부는 토문을 송화강 지류로 해 석하고, 청은 두만강이라 해석하였다



4. 조선은 어윤중을 서북 경략사, 이범윤을 토문 감계사로 파견하였다. 16년 경찰간부 (  X )

1885년 토문 감계사로 파견된 인물은 이중하이다.

대한 제국은 1902년 이범윤을 시찰원이라는 명목으 로 파견하였다가, 이듬해 (북변) 간도관리사로 임명 하였다.


5. 이범윤은 이 지역에서 포병을 양성하고 조세를 거두었다. 18년 경찰간부 ( O  )





Theme 226 독도

1. 숙종 때 안용복은 일본에 건너가 울릉도와 더불어 조선의 영토임을 확인받았고, 당시 일본에서는 ‘송도(松島)’로 기록하였다. 17년 지방7급 ( O  )

2. 대한 제국 정부는 칙령을 반포하여 울릉도를 군으로 승격시키고 독도(石島)를 관할 구역 안에 포함시켰다. 13년 지방7급 ( O  )

3. 대한 제국 칙령 제41호「삼국접양지도」,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 『은주시청합기』 등을 통해 우리 영토임 을 알 수 있다. 17년 국가9급 ( O  )

4. 대한 제국 정부는 이범윤을 울릉도 시찰위원에 임명하여 현지에 파견하였다. 13년 지방7급 (  X )

 1902년에 대한 제국 정부는 이범윤을 간도 시찰원 이라는 명목으로 파견하였다가, 이듬해 북변 간도관 리사로 임명하였다.



5. 숙종 때 안용복은 일본에서 울릉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주장하며 일본 어민의 고기잡이에 항의하였다. 13년 지방7급 ( O  )

6. 1952년 UN군 사령부와 협의 하에 이승만 정부는 ‘인접 해양의 주권에 관한 대통령 선언’을 발표하여 한국의 영토로 확인하였고, 당시 일본은 이를 묵인하였다. 17년 지방7급 (  X )

이승만 정부의 이른바 * 평화선 선언에 대해 일본 정 부는 항의 문서를 보내왔고, 국제 사법 재판소에 제소 하여 독도를 국제 분쟁 지역으로 만들려 하였다. 

* 1952년 이승만 대통령이 우리 나라 연안수역 보호를 목적으로 선언한 해양주권선. 










06. 개항 이후의 경제와 사회
Theme 227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1882)

1. 서울에서 청국 상인의 개점이 허용되었다. 16년 국가9급 ( O  )

2.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 이후 청과 일본의 상권 경쟁이 치열해졌다. 17년 경찰1차 ( O )








Theme 228 화폐 정리 사업(1905)

1. 은행권의 발행이 용인되면서 제일은행권이 조선의 본위화폐가 되었다. 13년 지방9급 ( O  )


2. 액면가대로 바꾸어 주는 화폐 교환 방식을 따랐다. 13년 국가9급 (  X )

 일제는 화폐 정리 사업 당시 백동화를 등급별로 나 누어 갑(甲)인 경우에는 액면가 그대로, 을(乙)인 경 우에는 2전 5푼짜리를 1전으로, 병(丙)인 경우에는 교환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백동화를 정리하였다.


3. 구 백동화 남발에 따른 물가 상승이 이 조치에 영향을 끼쳤다. 13년 국가9급 ( O  )






Theme 229 국채 보상 운동(1907)

1. 대구에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16년 사회복지9급 ( O  )

2. 언론 기관인 대한매일신보사와 황성신문사가 지원하였다. 14년 국가7급 ( O  )

3. 총독부의 탄압과 방해로 실패하였다. 16년 사회복지9급 (  X )

 총독부의 방해가 아니라 통감부의 방해로 큰 성과 를 이루지 못하였다. 










07. 근대 문물의 수용과 근대 문화의 형성

Theme 231 근대 문물의 수용


1. 대한 제국 시기에 볼 수 있는 장면으로는 전등이 켜진 경복궁, 한성순보를 읽는 관리, 종로 일대를 달리는 전차, 광제원에서 치료받는 환자 등이 있다. 15년 국가7급 (  X )

 한성순보는 1883년에 창간되어 1884년에 폐간되 었다.

광제원 1900년 서울에 설치하였던 내부 직할의 국립병원.

대한의원(大韓醫院)은 1907년 내부(內部) 소관의 서양식 병원이었던 광제원(廣濟院)과 궁내부 소속의 적십자병원, 학부(學部)의 경성의학부를 통합



2. 1887년에 경복궁에 전등이 처음 가설되었다. 13년 경찰간부 ( O  )



3. 아관 파천 직전 ‘여권통문’이 신문에 실렸다. 17년 경찰2차 (  X )

 ‘여권통문’은 아관 파천(1896) 이후인 1898년에 발표되었다. (찬양회)


4. 서울에는 명동 성당과 덕수궁 석조전과 같은 서양식 건축물이 세워졌다. 14년 경찰2차 ( O  )



5. 순서: 한성사범학교 개교 → 독립문 완공 → 원각사 설립 → 경인선 개통 17년 기상9급 (  X )

 한성사범학교 개교(1895) → 독립문 완공(1897) → 경인선 개통 (1899) → 원각사 설립(1908)


6. 순서: 광혜원 설립 → 독립신문 발간 → 경인선 개통 → 국채 보상 운동 전개 17년 국회9급 ( O  )

광혜원 1885






① 경인선 철도 개통(1899) 기사가 보도된 당시에 볼 수 있는 사회 모습

7. 한용운의 『님의 침묵』을 읽는 학생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6년 법원9급 (  X )

 한용운의 『님의 침묵』이 간행된 시기는 1926년 이다.


8. 명동 성당에서 예배를 보는 천주교 신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6년 법원9급 ( O  )







② 경인선 철도를 볼 수 있는 시기의 사회 모습

9. 노량진에서 제물포행 전차를 타는 상인을 볼 수 있다. 16년 기상9급 (  X )

 X 노량진에서 제물포 사이에는 전차가 아니라 경인선 (기차)이 1899년 개통되었다.
전차는 1899년 서대문 과 청량리 사이에 운행이 시작되었다.

노량진에서 제물포 - 경인선(기차)
서대문에서 청량리 - 전차

10. 황성신문을 읽고 있는 양반을 볼 수 있다. 16년 기상9급 ( O )
 1898 ~ 1910





③ 아관 파천 시기의 사회 모습

11. 대한천일은행에서 근무하는 은행원 16년 지방7급 ( X )

 대한천일은행은 1899년에 설립되었다.

12. 백동화를 주조하는 주전관 16년 지방7급  ( O )







④ 동학의 2차 봉기 당시의 사회 모습

13. 제중원에서 치료를 받는 환자 17년 교행9급 ( O )

제중원 1885년

14. 독립신문 창간호를 인쇄하는 기사 17년 교행9급  ( X )

독립신문은 1896년부터 발행되었다.






Theme 232 언론의 활동

① 한성순보(1883~1884)

1. 관보의 성격을 띠고 10일에 한 번 한문으로 발행되었다. 16년 경찰1차, 13년 서울9급 ( O  )


2. 최초로 국한문을 혼용하였고, 내용에 따라 한글 혹은 한문만을 쓰기도 하며 독자층을 넓혀 나가고자 하였다. 17년 사회복지9급 (  X )

최초로 국한문을 혼용한 신문한성주보 (1886~1888)이다.







② 황성신문(1898~1910)

3. 황성신문은 국한문 혼용으로 발간되었고, ‘시일야방성대곡’을 게재하였다. 13년 서울9급 ( O  )

4. 황성신문은 1898년 남궁억 등이 창간하였으며, 을사늑약의 체결 과정을 설명한 ‘오건조약 청체전말’이라는 기사를 실었다. 15년 기상7급 ( O  )








③ 대한매일신보(1904~1910)

5. 고종은 을사조약의 부당성을 폭로하는 친서를 발표하였다. 11년 국가9급 ( O  )

6. 양기탁이 신민회를 조직하면서 신민회의 기관지 역할을 하였다. 11년 국가9급 ( O  )

7. 영국인 베델을 발행인으로 내세운 대한매일신보는 양기탁을 중심으로 국채 보상 운동에 앞장섰다. 13년 서울9급 ( O  )







④ 제국신문(1898~1910)

8. 순한글로 간행된 제국신문은 창간 이듬해 이인직이 인수하여 친일지로 개편되었다. 13년 서울9급 (  X )

이인직이 인수하여 친일적 성향을 가진 대한신문으로 바뀐 것은 만세보이다.
                                                                                       1906년에 창간


9. 제국신문은 순한글로 만들어 하층민과 부녀자들이 많이 구독하였다. 15년 기상9급 ( O )





⑤ 만세보(1906~1907)

10. 1906년 손병희, 오세창 등 천도교 측에서 발행한 순한글 신문으로 일진회 등의 매국 행위를 주로 비판하였다. 15년 기상7급 (  X )

 만세보는 국한문 혼용의 신문이다.









Theme 233 근대 교육과 국학 연구

① 근대 교육

1. 헐버트는 세계 각국의 산천, 풍토 등을 소개한 세계 지리서인 『사민필지』를 저술하였다. 18년 경찰간부 ( O  )

2. 동문학은 정부가 설립한 외국어 교육 기관으로 통역관을 양성하였다. 18년 서울9급 ( O  )

3. 배재학당은 선교사 아펜젤러가 서울에 설립한 사립 학교이다. 18년 서울9급 ( O  )
1885년




② 육영공원 조선 후기 한국 최초의 근대식 공립교육기관 //영어교육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고급 양반 자제만을 대상

4. 경성 제국 대학으로 계승되었다. 17년 법원9급 (  X )

경성 제국 대학은 일제가 1924년에 설립한 것으로 육영공원과 무관하다.


5. 좌원과 우원의 두 반으로 편성되었다. 17년 법원9급 ( O  )






③ 애국 계몽 운동기 사립 학교

6. 이상설은 간도에 서전서숙이라는 사립 학교를 건립하였다. 12년 경찰2차 ( O  )

7. 일본은 1908년 사립학교령을 만들어 총독부의 인가를 받도록 하였다. 15년 기상7급 (  X )

 총독부는 1910년에 설치되었다. 통감부는 한국인 이 설립하는 사립 학교가 크게 늘어나자 1908년 사립 학교령을 제정하여 사립 학교의 설립과 운영을 통제 하였다.








④ 국학 연구의 진전

8. 최남선은 을지문덕, 강감찬, 최영, 이순신 등의 애국 명장에 관한 전기를 써서 애국심을 고취하였다. 16년 서울9급 (  X )

 최남선이 아니라 신채호이다.

9. 주시경은 문법 서적인 『국어문법』을 저술하였다. 18년 국가7급 ( O  )

1910년 

10. 1896년에 설립된 국문 동식회는 최초의 국문 연구회이다. 19년 경찰간부 ( O  )

* 주시경(周時經) 등이 국문철자법의 통일을 목적으로 서울 정동 독립신문사 안에 설치.







Theme 234 문예와 중교의 새 경향

① 문학

1. 『월남망국사』와 같은 외국의 망국사를 번역하였다. 10년 법원9급 ( O  )

현채가 번역한, 소남자 반패주와 양계초의 대화를 기록한 책. [편찬/발간 경위] 1906년보성관(普成館)에서 간행







② 종교

2. 박은식은 「유교구신론」을 지어 유교가 민주적이고 평등한 종교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11년 국가9급 ( O  )

3. 손병희는 일진회가 동학 조직을 흡수하려 하자, 천도교를 창설하고 정통성을 지키려 하였다. 11년 국가9급 ( O  )

4. 김택영은 전국의 유림들과 더불어 대동학회를 결성한 후 유교를 통한 애국 계몽 운동을 펼쳐나갔다. 11년 국가9급 (  X )

대동학회는 이완용, 조중응 등이 일본의 자금을 받 아 신기선 등을 내세워 1907년 12월에 신·구 학문 연 구를 표방하며 설립한 친일 유교 학회이다.

5. 박은식은 양명학을 토대로 대동사상을 주창하였다. 13년 서울9급 ( O  )







PART 2 민족 독립운동의 전개
01. 일제의 침략과 민족의 수난
Theme 235 일제의 국권 피탈 과정

① 한·일 의정서(1904. 2.)


1. 대한 제국의 사법권을 빼앗고 감옥 사무를 일본 정부에 위탁하도록 하였다. 17년 경찰2차 (  X )

 기유각서에 대한 설명이다.




② 제1차 한·일 협약(1904. 7.) - 고문정치

2. 재정 고문으로 일본인 메가다를, 외교 고문으로 미국인 스티븐스를 채용하게 하였다. 15년 서울7급 ( O  )





③ 일제의 한국 지배에 대한 열강의 승인

3. 포츠머스 조약 체결로 일본은 러시아로부터 한국에 대한 지도·보호 및 감독의 권리를 인정받았다. 15년 서울9급 ( O  )

4. 2차 영·일 동맹을 통해 영국은 한국에서 일본의 특수 이익을, 일본은 영국의 인도 지배를 서로 승인하였다. 15년 서울9급 ( O  )





④ 제2차 한·일 협약(을사늑약, 1905. 11.)과 그에 대한 저항 - 통감정치

5. 민영환이 일제에 대한 저항을 강력하게 표현한 유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 15년 국가9급 ( O  )

6. 통감부를 설치하여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15년 서울7급, 15년 국가7급 ( O )

7. 고종이 도장을 찍거나 서명을 하지 않았다. 17년 기상9급 ( O  )






⑤ 한·일 신협약(1907. 7. 정미 7조약) - 차관정치

8. 비밀 각서를 통해 대한 제국의 군대를 해산하였다. 15년 서울7급 ( O  )

9. 조약 체결 이후 13도 창의군이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했다. 17년 서울9급 ( O  )

10. 최익현이 의병 운동을 처음 시작한 원인이 되었다. 18년 지방9급 ( X )


최익현은 을사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






⑥ 한·일 합병 조약(1910. 8. 경술국치)

11. 일본의 강제 합병 조약 체결로 조선 총독부가 설치되었다. 10년 국가7급 ( O  )






⑦ 순서 배열 문제

12. 순서: 메가타 재정 고문 파견 → 통감이 추천한 일본인을 대한 제국의 관리로 임명 → 고종 강제 퇴위 → 대한 제국의 사법권 박탈 17년 국가9급 ( X )


고종의 강제 퇴위 이후 통감이 추천한 일본인을 대한 제국의 관리로 임명하는 한·일 신협약이 체결 되었다






Theme 236
1910년대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무단 통치기)

1. 조선인에 한하여 태형령을 적용하였다. 13년 서울7급 ( O  )
1912년

2. 헌병 경찰과 보조원을 전국에 배치하였다. 12년 지방7급 ( O )


3. 치안 유지법으로 독립운동이 탄압받았다. 13년 서울7급  ( X )

치안 유지법은 문화 통치기였던 1925년에 제정되 었다.

4. 제1차 조선 교육령이 공포되었다. 15년 서울7급 ( O  )

1911년

5. 조선 총독은 내각 총리대신에 직속되어 조선에 대한 모든 통치권을 행사하였다. 18년 경찰간부 ( X )

 조선 총독은 일본의 내각 총리대신과 동격으로 일 본 내각의 통제를 받지 않았다.





① 1910년대 무단 통치기에 볼 수 있는 모습

6. 일본어를 공부하고 있는 국민학교 학생을 볼 수 있다. 16년 교행9급 ( X )

 1941년에 일제는 소학교를 ‘황국 신민 학교’라는 뜻을 가진 국민학교로 바꾸었다.




7. 중추원은 총독부 자문 기구로서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수시로 개최되어 식민 행정에 간여하였다. 18년 경찰1차 ( X )

중추원은 3·1운동 전까지 단 한 번도 소집되지 않 았다





② 조선 태형령이 시행되던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

8. 회사령 공포를 듣고 있는 상인을 볼 수 있다. 16년 지방9급 ( X )

 조선 태형령은 1912년부터 시행되어 1920년에 폐 지되었다. 회사령은 1910년에 공포되었다.

9. 동양 척식 주식회사의 설립식에 참석한 기자를 볼 수 있다. 16년 지방9급 ( X )

 동양 척식 주식회사는 1908년에 설립되었다.




Theme 237 1920년대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문화 통치기)

1. 친일파 양성을 겨냥하여 도 평의회와 부면 협의회를 만들었다. 14년 국가7급 ( O  )



2. 전국 각지에 대화숙을 설치하여 사상범에게 전향을 강요하였다. 18년 지방7급 ( X )

 대화숙은 1937년에 설치되어 1941년에 확대되었 다.



3. 3·1 운동은 일본의 통치 방법을 바꾸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3년 경찰1차 ( O  )



4. 치안 유지법에 의해 김상옥의 종로 경찰서 폭탄 투척 사건이 처벌되었다. 18년 서울9급(기술직) (  X )

 치안 유지법은 1925년에 제정되었고, 김상옥의 종 로 경찰서 폭탄 투척 사건은 1923년에 발생했다.

5. 헌병 경찰제가 보통 경찰제로 전환되면서 경찰의 수가 증가하였다. 18년 지방7급 ( O  )

6. 동아일보, 조선일보의 발행을 허용하였다. 17년 교행9급  ( O  )







Theme 238 1930년대 이후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민족 말살 통치기)

1. ‘황국 신민 서사’를 아동은 물론 성인에게도 암송하도록 강요하였다. 16년 사회복지9급 ( O  )

2. 1930년대에 들어와서 한국인의 반일 감정을 무마하기 위하여 조선어를 선택 과목으로 규정하고, 최초의 대학 기관 인 경성 제국 대학을 설립하였다. 14년 경찰2차 (  X )

경성 제국 대학은 1920년대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을 방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1924년에 설립되었다. 1938년 일제는 3차 조선 교육령을 발표하여 조선어를 수의 과 목(선택 과목)으로 편제함으로써 사실상 금지시켰다.

3. 마을에 애국반을 편성하여 일상생활을 통제하였다. 15년 지방9급 ( O  )






Theme 239 1910년대 일제의 경제 수탈

① 회사령

1. 회사령을 공포하여 회사를 설립할 때 총독의 허가를 받도록 하였다. 16년 지방7급 ( O  )






② 토지 조사 사업



2. 토지조사령에서 황무지의 국유지 편입을 규정하였다. 16년 지방7급 (  X )

황무지의 국유지 편입을 규정하고 있지 않다.



3. 토지 조사 사업은 근대법에 입각해 지주 중심의 자본주의 체제를 이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3년 서울9급 ( O  )


4. 토지 조사 사업은 경작 농민들이 가지고 있던 도지권(賭地權)을 인정하지 않았다. 13년 서울9급 ( O  )




5. 토지조사령에서 일제는 토지와 임야를 함께 조사하도록 하였다. 16년 국가9급 (  X )

 임야는 1918년 제정된 임야 조사령에서 처리하였다.



6. 토지조사령에서 일제는 지역별 지가와 그것의 1.3%를 지세로 하는 과세 표준을 명시하였다. 16년 국가9급 (  X )

1918년 일제의 지세 정책에 해당한다.




7. 소유권 분쟁을 인정하지 않아 분쟁은 발생하지 않았다. 16년 서울9급 ( X )

 토지 조사 사업 시 분쟁의 상당 부분이 소유권 분쟁 이었다.




8. 명의상의 주인을 내세우기 어려운 동중·문중 토지의 상당 부분이 조선 총독부의 소유가 되었다. 16년 서울9급 ( O  )

9. 국유지는 동양 척식 회사 등을 통해 일본인에게 불하되었다. 12년 지방7급 ( O  )







③ 기타

10. 호남선 철도를 개통하여 농산물 반출을 확대하였다. 12년 지방7급 ( O  )

1914년


11. 일본인 업자에 특혜를 준 연초전매령을 공포하였다. 17년 국가7급(하) (  X )

 ‘연초전매령’을 제정·공포한 것은 1921년이다.


* 임시재원조사국에서 1910년에 소금, 담배의 전매제를 결정해서
1910년대 통치 모습으로 인삼, 소금, 담배의 전매제 실시




④ 임시 토지 조사국이 존속한 시기에 볼 수 있던 모습(1910~1918)

12. 신문에 연재 중인 소설 『무정』을 읽는 학생 18년 국가9급 ( O  )

1917년

13. 의열단에 가입하는 신흥 무관 학교 출신 청년 18년 국가9급 (  X )

 의열단은 1919년에 조직되었다.







Theme 240 1920년대 일제의 경제 수탈

1. 조선 광업령을 공포하여 광업권에 대한 허가제를 실시하였다. 16년 경찰2차 (  X )

일제는 1915년에 조선 광업령을 제정하여 광업권 에 대한 허가제를 실시하고 한국인의 광산 경영을 억 제하였다.

2. 회사령을 철폐하여 일본 자본이 자유롭게 들어올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11년 국가9급, 10년 지방7급 ( O  )

3. 한정된 물자를 군수 공업에 집중시키기 위해 생활필수품통제령을 실시하였다. 18년 국회9급 (  X )

 생활필수품통제령은 1941년에 공포되었다.






① 산미 증식 계획

4. 춘궁 퇴치·자력갱생 등을 내세웠다. 15년 지방9급 (  X )

 농촌 진흥 운동(1932~1940)과 관련된 내용이다. 일제는 1930년대에 농촌 경제의 안정을 도모한다는 명분으로 농촌 진흥 운동을 실시하였다.

5. 1930년대 초반 산미 증산 정책이 실패하고 쌀값이 폭락하였다. 09년 국가7급 ( O  )

6. 1920년대 일제는 자국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미 증식 계획을 시행하였는데, 한국인 지주도 이에 편승하 여 토지를 크게 늘렸다. 12년 국가7급 ( O  )

7. 식민지 조선 내에서 부족해진 식량은 만주에서 조, 수수, 콩 등의 잡곡을 수입해서 메꾸었다. 18년 서울7급 2차 ( O  )







Theme 241 1930년대 이후 일제의 경제 수탈(전시 수탈 체제)

1. 1930년대 이후 일제는 일본을 발전된 공업지역으로, 만주를 농업과 원료 생산 지대로 만들고, 한반도를 경공업 중 심의 중간 지대로 만들기 위해 조선 공업화 정책을 펼쳤다. 14년 경찰1차 ( O  )

2. 소작농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소작조정령을 발표하였다. 15년 지방9급  ( O  )

3. 우가키 총독이 농촌 개발을 명분으로 농촌 진흥 운동을 주장하였다. 13년 지방9급 ( O  )

4. 여성에게 작업복인 ‘몸뻬’라는 바지의 착용을 강요하였다. 15년 지방9급 ( O  )

5. 만주 사변 이후 남면북양 정책을 실시하여 일본 방직 자본가를 보호하였다. 13년 국가7급 ( O  )

6. 중·일 전쟁 이후 새로운 미곡 증산을 위한 흥남 질소 비료 공장을 설립하였다. 13년 국가7급 ( X )

일제는 쌀 생산에 필요한 비료를 공급하기 위해 1920년대 중반에 부전강 수력 발전소(1926)와 흥남 질소 비료 공장(1927)을 건설하였다.

7. 농공은행을 통합하여 조선식산은행을 설립하였다. 16년 국가7급 ( X )

조선식산은행은 1918년 10월 조선식산은행령에 의해 설립되었다.






① 국가총동원법에 근거하여 실시된 식민지 정책

8. 육군특별지원병령을 제정하여 지원병을 선발하였다. 18년 국가9급 ( X )

 육군특별지원병령은 국가총동원법 제정(1938. 4.) 이전인 1938년 2월에 제정되었다.

9. 국민징용령을 공포하여 강제적인 노무 동원을 실시하였다. 18년 국가9급 ( O )

로보국대 1938
원병제 1938
국민징령 1939
학도 지원 1943
제징병제 1944

대 1944



02.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Theme 242 1910년대 국내 비밀 결사 운동

1. 독립 의군부는 공화국의 건설을 목표로 하였다. 15년 국가9급 ( X )

 독립 의군부는 복벽주의(전제 군주제 복구)를 표방 하였다.

2. 독립 의군부는 일본 정부와 조선 총독부에 한국 침략의 부당성을 밝히고 국권 반환을 요구하는 서신을 보냈다. 17년 경찰1차 ( O )

3. 대한 광복회는 풍기광복단과 조선국권회복단의 일부 인사가 통합하여 만들었다. 18년 경찰2차 ( O )

4. 대한 광복회는 고종의 비밀 지령을 받아 조직되었다. 15년 국가9급 ( X )

 임병찬이 고종의 비밀 지령을 받아 의병과 유생들 을 규합하여 결성한 비밀 결사 조직은 독립 의군부이 다.


5. 독립 의군부는 박상진을 중심으로, 대한 광복회는 임병찬을 중심으로 한 조직이었다. 15년 국가9급 ( X )

독립의군부는 임병찬, 대한광복회는 박상진을 중심으로 결성


6. 대한 광복회는 하와이에서 조직된 대조선 국민군단의 국내 조직이었다. 17년 기상7급 ( X )

 조선 국민회에 대한 설명이다.  (1915년 평양의 숭실학교 재학생과 졸업생이 주축이 되어 세운 항일 비밀결사단체)


7. 경상도 일대에서는 윤상태, 서상일, 이시영 등이 중심이 되어 조선국권회복단을 조직하였다. 18년 지방7급 ( O )   1915년 1월에 독립군을 지원하기 위하여 결성한 항일 비밀결사단체. 








Theme 243 1910년대 항일 운동

① 만주

1. 서간도 지역에서 설립된 단체로는 경학사, 권업회, 부민단, 신흥 무관 학교가 있다. 13년 국가9급 ( X )

권업회는 1911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조직 되었다.

2. 1911년 북간도로 거점을 옮긴 대종교중광단이라는 무장 독립 단체를 만들었다. 18년 지방7급 ( O )

3. 간도에서는 신한혁명당의 ‘대동단결 선언’이 공식 발표되었다. 18년 경찰간부 ( X )

 ‘대동단결 선언’은 상하이에서 발표되었다.

4. 이회영 등은 독립운동 기지 건설 운동의 일환으로 신흥 강습소를 설립하였다. 18년 지방7급 ( O ) - 이회영 서간도







② 연해주

5. 연해주의 신한촌에서는 의병과 계몽 운동가들이 힘을 모아 권업회를 조직하였다. 11년 국가9급 ( O )

6.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는 이상설과 이동휘 등이 대한 광복군 정부를 조직하였다. 13년 경찰간부 ( O )

7. 신규식, 박은식 등의 주도로 동제사가 조직되었다. 17년 국가7급 ( X )

 동제사는 상하이에서 신규식, 박은식 등이 조직한 단체이다(1912).

8. 이상설이 대한 국민 의회를 조직하였다. 18년 법원9급 ( X )

대한 국민 의회는 대통령에 손병희, 국무총리에 이 승만을 임명하였다.

1919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세워졌던 임시정부 성격의 단체.









③ 미주

9. 미주의 한국 교민은 장인환·전명운 의거를 계기로 국민회를 결성하였다. 08년 지방7급 ( O )

10. 박용만은 1909년 미국 네브라스카에 한인소년병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914년에는 대조선 국민군단을 조직하여 독립 전쟁을 대비하였다. 14년 서울7급 ( O )

11. 안창호는 1913년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흥사단을 조직하였다. 19년 경찰간부, 18년 지방7급 ( O )






Theme 244 3·1 운동(1919)

① 3·1 운동의 배경

1. 1919년 신한청년단에서는 독립청원서를 작성하여 김규식을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로 파견하였다. 12년 경찰1차 ( O )

2. 대한 독립 선언(무오 독립 선언) → 대동단결 선언 → 2·8 독립 선언 순으로 발표되었다. 19년 경찰간부 ( X )

 대동단결 선언은 1917년, 대한 독립 선언(무오 독 립 선언)은 1919년 2월 1일, 2·8 독립 선언은 1919 년 2월 8일에 발표되었다. 따라서 대동단결 선언 → 대한 독립 선언(무오 독립 선언) → 2·8 독립 선언 순 이다.





② 1919년 3·1 운동 전후의 국내외 정세

3. 미국에서는 필라델피아 한인 자유 대회가 개최되었다. 19년 경찰간부 ( O )







③ 3·1 운동의 의의와 영향

4. 일제가 교활한 ‘문화 통치’를 표방하게 되었다. 13년 법원9급 ( O )

5. 국내외에서 민족 유일당 운동이 촉발되는 계기가 되었다. 13년 법원9급 ( X )

 6·10 만세 운동(1926)의 영향으로, 민족주의 계열 과 사회주의 계열과의 연대의 계기를 마련하여 민족 유일당 운동을 전개하였고 그 결과 신간회가 창설되 었다(1927).

6. 3·1 운동은 중국의 5·4 운동, 인도의 비폭력·불복종 운동 등에 영향을 주었다. 14년 서울9급 ( O )




사회주의자 = 정우회 
비타협적민족주의자 + 사회주의자 = 조선민흥회

정우회 + 조선민흥회 = 신간회







Theme 245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①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1. 블라디보스토크와 상해, 한성(서울) 등 세 곳의 임시 정부가 협력하여 구성하였다. 17년 지방7급 ( O )

2.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로 삼권 분립을 채택하였다. 16년 경찰간부 ( O )

3. 초대 대통령으로 이승만이, 국무총리로 이동녕이 임명되었다. 16년 경찰간부 ( X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대통령에는 이승만이, 국무총리에는 이동휘가 선임되었다.





4. 임시 정부 수립 직후 임시 의정원을 구성하였다. 17년 서울9급 ( X )

임시 의정원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입법 기관으로 정부 수립(1919. 9) 이전인 1919년 4월에 개원하였다






② 상하이 임시 정부 시기의 활동

5. 국외 거주 동포에게 독립 공채를 발행하였다. 17년 서울9급 ( O )

6.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국내외를 연결하는 비밀 행정 조직으로 연통제를 실시하였으나, 일제에게 그 조직이 발각되 어 와해되었다. 16년 경찰2차  ( O )

7. 김규식은 1918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약소민족대회 및 1919년 파리 강화 회의 한국 대표로 참석하였다. 파리에 있을 때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어 임시 정부의 대표가 되었다. 14년 서울7급 ( O )

8. 기관지로 독립신문을 간행하여 주로 독립운동에 관한 사실을 보도하였다. 17년 지방7급, 14년 서울9급 ( O )






③ 상하이 임시 정부의 시련과 재정비

9. 개조파는 국민대표 회의의 개최를 처음 요구하였다. 12년 법원9급 ( X )

 1921년 박은식·김창숙·원세훈 등 14명은 1921년 2 월 국민대표 회의 소집을 제창하고 나섰다. 창조파와 개조파의 분열은 국민대표회의 과정에서 나타났다.

10. 1925년 이승만을 해임시킨 뒤 두 번째로 헌법을 개정하여 주석제를 채택하였다. 13년 경찰2차 ( X )

임시 정부는 1925년 4월 2차 개헌으로 국무령 중 심의 내각 책임제를 채택하였다. 주석제를 채택한 것은 충칭 임시 정부 시기인 1940년 10월 4차 개헌 에서이다.



11. 국민대표 회의에서 창조파와 개조파 등의 주장이 대립되었다. 17년 국가9급  ( O )

12. 순서: 국민대표 회의 소집 → 이승만을 대통령에서 탄핵 → 한인 애국단 조직 → 한국 국민당 창립 (1935년) 14년 서울 7급 ( O )






④ 충칭 이동(1940년대) 이후 임시 정부의 체제 정비

13. 국무위원제를 주석제로 바꾸는 내용의 헌법을 개정하였다. 13년 경찰간부 ( O )

14. 조선 의용대원의 일부가 한국광복군에 편입되었다. 15년 법원9급 ( O )

15. 한국광복군이 인도·미얀마 전선에서 활동하였다. 16년 교행9급 ( O )

16. 순서: 충칭 이동 → 대한민국 건국 강령 발표 → 조선 의용대의 한국광복군 편입 → 부주석제 신설 17년 국가7급 ( O )

17.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한 건국 강령을 발표하였다. 18년 국가7급 ( O )

18. 조소앙의 삼균주의는 토지 및 대기업의 국유화에 반대하였다. 18년 서울7급 1차 ( X )

 조소앙은 경제적 균등은 토지 국유와 대생산 기관 국유제의 실시로 실현된다고 보았다.



⑤ 한국광복군의 활동

19. 총사령에 이청천, 참모장에 이범석을 선임하였다. 14년 국가9급 ( O )

20. 미국 전략 정보처(OSS)와 협력하면서 국내 진공을 준비하였다. 14년 국가9급 ( O )

21. 한국광복군 활동 초기에는 중국군사위원회의 지휘와 간섭을 받았다. 15년 서울9급 ( O )

22. 중국 팔로군과 함께 태항산 지구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였다. 16년 지방7급 ( X )

조선 의용군에 대한 설명이다.









03. 학생 항일 운동과 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
Theme 246 6·10 만세 운동(1926)

1. 6·10 만세 운동은 준비 과정에서 사회주의 계열과 민족주의 계열이 연대하여 민족 유일당을 결성할 수 있는 공감대 가 형성되었다. 14년 서울9급 ( O )

2. 신간회가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16년 교행9급 ( X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에 대한 설명이다.

3. 조선 청년 총동맹이 결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16년 교행9급 ( X )

조선 청년 총동맹은 6·10 만세 운동(1926) 전인 1924년에 결성되었다.







Theme 247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1. 신간회는 민중 대회를 열어 항일 열기를 확산시키려 하였으나, 일제가 신간회 간부를 대거 검거함으로써 좌절되었 다. 16년 경찰간부 ( O )

2. 단순한 동맹 휴학에 그치지 않고 적극적인 가두시위 형태로 전개되었으며, 식민지 교육 제도의 철폐와 조선인 본위 의 교육 제도 확립을 주장하였다. 15년 기상7급 ( O )

3. 학도 지원병제의 폐지를 요구하였다. 17년 법원9급 ( X )

학도 지원병제는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이후 인 1943년 실시되어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Theme 248 의열단(1919)

① 조직

1. 김구 선생이 상하이에서 조직하였다. 13년 법원9급 ( X )

 한인 애국단에 대한 설명이다





② 활동 지침

2. 신채호가 쓴 「조선 혁명 선언」을 지침으로 삼아 활발한 투쟁을 벌였다. 12년 경찰간부 ( O )







③ 활동

3. 오성륜, 김익상, 이종암이 상해 황포탄에서 일본 육군대장 다나카 기이치를 저격하였다. 18년 서울9급(기술직) ( O )

4. 1920년대 후반 무장 투쟁 노선으로 전환하였다. 13년 법원9급 ( O )



5. 단원 나석주는 조선 총독부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16년 경찰1차 ( X )

조선 총독부에 폭탄을 투척한 의열단원은 김익상이다.



6. 경성 부민관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16년 국가9급 ( X )

경성 부민관 의거는 대한 애국 청년당의 조문기, 유만수, 강윤국 등이 1945년 7월에 일으킨 의거이다.



7. 강우규가 사이토 총독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15년 국가7급 ( X )

 강우규는 대한 노인단원으로서 국내에 들어와 3·1 운동 이후 새로 부임하던 사이토 총독에게 폭탄을 던 졌다. 20년



8. 나석주는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 들어가 폭탄을 투척하였으나, 터지지 않자 권총으로 일본 간부를 사살하고 경찰과 시가전을 벌였다. 12년 국가7급 ( O )



9. 1920년 박재혁은 밀양 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결행하였다. 17년 사회복지9급 ( X )

박재혁은 1920년 부산 경찰서에 폭탄을 던졌다. 밀 양 경찰서에 폭탄을 던진 인물은 최수봉이다.


10. 1930년대 후반 이 단체의 주요 인사들은 조선 의용대를 조직하였다. 17년 국회9급 ( O )

11. 김익상이 조선 총독부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17년 지방9급(하) ( O )

12. 백정기, 이강훈, 원심창이 상해 육삼정에서 일본공사 아리요시를 암살하려고 시도하였다. 18년 서울9급(기술직) ( X )

 무정부주의적 성격을 지닌 남화한인청년연맹에 대한 설명이다.







Theme 249 한인 애국단(1931)

① 조직

1. 김구는 한인 애국단을 조직하여 적극적인 의열 투쟁을 전개하였다. 13년 경찰2차 ( O )







② 활동

2. 이봉창은 도쿄에서 황궁으로 들어가는 이중교에 폭탄을 던져 일제에게 두려움을 안겨 주었다. 12년 국가7급 ( X )

 김지섭(의열단)에 대한 설명이다.

이봉창 - 1932년 1월 일본 도쿄에서 일왕(日王)에게 수류탄을 던져 일본인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고, 전세계 피압박 민족에게 충격을 줬다.



3. 윤봉길 의사의 훙커우 공원 의거는 한국광복군 형성의 기초가 되었다. 12년 지방9급 ( O )







Theme 250 1920년대 무장 독립 전쟁

① 1920년대 만주 지역 독립군의 활동

1. 홍범도의 대한 독립군은 봉오동 전투에서,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군은 청산리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11년 지방9급 ( O )

2. 순서: 봉오동 전투 → 청산리 전투 → 간도 학살 → 자유시 참변 14년 서울9급 ( O )

3. 소련 내 한인 부대들 간에 군사 지휘권 분쟁이 일어났으며, 이 과정에서 독립군들의 무장 해제를 요구하는 적색군으 로부터 공격을 받아 피해를 입었다. 12년 국가7급 ( O )

4. 순서: 훈춘 사건 → 대한 독립 군단의 자유시 이동 → 미쓰야 협정 체결 → 한국 독립군 조직 17년 국가7급 ( O )

5. 일제와 만주 군벌 사이에 독립군의 탄압, 체포, 구속, 인도에 관한 이른바 미쓰야 협정이 맺어짐으로써 독립군의 활동은 큰 위협을 받게 되었다. 15년 경찰1차 ( O )







② 3부의 성립과 통합 운동

6. 독립군의 통합 운동으로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가 조직되어 각각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11년 지방9급 ( X )

3부는 각각 민정 조직(자치 행정 담당)과 군정 조 직(독립군의 훈련과 작전을 담당)을 갖추고 행정·입 법· 사법부를 구성하여 삼권 분립에 의한 민주적인 자 치 정부의 성격을 띠었다.

3부는 각각 민정 조직(자치 행정 담당)과 군정 조 직(독립군의 훈련과 작전을 담당)을 갖추고 행정·입 법· 사법부를 구성하여 삼권 분립에 의한 민주적인 자 치 정부의 성격을 띠었다.

7. 남만주에 조선 혁명군이 창설되었다. 13년 국가9급 ( O )

남/국/조

8. 대종교 계통 인사들이 신민부를 결성하였다. 16년 국가9급 ( O )

9. 3부 중 대체로 신민부는 북만주 지역 조선인 사회의 자치를 담당하였다. 17년 서울7급 ( O )







Theme 251 1930년대 한·중 연합 작전

1. 한국 독립군은 만주 지역에서 활동했던 한국 독립당의 산하 조직이었다. 18년 지방9급 ( O )

2. 양세봉이 이끄는 조선 혁명군은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영릉가 전투에서 일본군을 무찔렀다. 14년 지방9급 ( O )

3. 지청천은 화북 조선 독립 동맹의 주석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18년 서울9급 ( X )

김두봉에 대한 설명이다.

4. 지청천은 한국 독립군을 이끌고 쌍성보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파하였다. 18년 서울9급 ( O )






Theme 252 1930년대 만주 지역에서의 항일 독립 투쟁

1. 1930년대 만주 지역에서는 일부 조선인들이 중국 공산당국과 연합하여 동북 항일 연군의 일원으로 항일 유격 활동 을 하였다. 09년 지방7급 ( O )

2. 홍진, 이청천 등이 만주에서 한국 독립당을 발족하였다. 16년 국가7급 ( O )








Theme 253 민족 혁명당(1935, 난징)

1. 한국 독립당, 한국 국민당, 조선 혁명당 3당의 통합으로 만들어졌다. 18년 국가7급 ( X )

 한국 국민당은 불참(의열단이 참여)했다.

2. 창설 당시 김구는 참여하지 않았다. 18년 국가7급 ( O )







Theme 254 조선 의용대(1938)

1. 조선 의용대는 중국 관내에서 조직된 최초 한국인 군사 조직이었다. 13년 지방9급 ( O )

2. 일부 대원이 한국광복군에 편입되었다. 12년 법원9급 ( O )







Theme 255 조선 독립 동맹(1942)과 조선 의용군

1. 조선 의용군은 김두봉을 위원장으로 한 조선 독립 동맹의 산하 무장 단체로 조직되었다. 14년 경찰간부 ( O )

2. 태항산 지역에서 조선 의용군이 팔로군과 협동 작전을 벌였다. 16년 국가7급 ( O )








04. 사회·경제적 민족 운동 Theme 256 형평 운동

1. 백정 출신들은 형평사를 창립하고, 평등한 대우를 요구하는 형평운동을 펼쳤다. 15년 국가9급 ( O )

2. 조선 형평사는 경남 진해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었다. 13년 서울7급 ( X )

진주에서 이학찬이 설립하였다

3. 총독부는 백정 출신을 호적에 ‘도한’으로 써넣거나 붉은 점을 찍어 차별하였다. 11년 지방7급 ( O )

4. 조선 형평사가 결성된 해에 조선노농총동맹이 창립되었다. 13년 서울7급 ( X )

 조선 형평사는 1923년에 결성되었고, 조선노농총 동맹은 1924년에 결성되었다.






Theme 257 민족 협동 전선 운동

① 이광수의 「민족적 경륜」(자치 운동)

1. ‘일제의 식민 지배를 인정하고 그 안에서 정치적 실력 양성을 해야 한다.’는 자들의 주장이다. 12년 국가9급 ( O )






② 정우회 선언(1926)

2. 이 선언에 자극을 받아 이광수는 「민족개조론」을 집필하였다. 08년 지방7급 ( X )

 정우회 선언은 1926년에 있었고, 이광수가 「민족 개조론」을 발표한 것은 1922년의 일이다.

3. 사회주의 진영과 비타협적 민족주의 진영은 1926년 정우회 선언을 계기로, 1927년 1월 신간회를 발기하였다. 17년 사회복지9급 ( O )







③ 신간회(1927~1931)

4. 민족 유일당 운동의 일환으로 조직되었다. 13년 지방7급 ( O  )

5. 여성 단체인 근우회의 결성에 자극을 주었다. 13년 지방7급 ( O  )

6. 의무 교육제와 고등 교육 기관 설립을 주장하였다. 14년 국가7급 ( X )

고등 교육 기관 설립 주장은 민립 대학 설립 운동에 해당한다. 따라서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의 활동이다.

7.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지원하고자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15년 지방7급 ( O )

8. 신간회 존속 기간 중 단천 산림 조합 시행령 반대 운동, 원산 총파업 등의 사건이 일어났다. 18년 서울9급(기술직) ( O )

단천 산림조합 시행령 반대운동(1930.7)

9. 사회주의자들이 해소론을 주장하였다. 18년 기상9급  ( O )

10. 자치 운동의 확산을 경계하였다. 18년 서울7급 1차 ( O )

11. 갑산 화전민 학살 사건 진상 규명 운동과 단천 산림 조합 사건 지원 운동을 하였다. 19년 경찰간부 ( O )

1929년 7월초 함경남도 갑산에서 일본 경찰과 영림서 직원들이 화전민 집 73채에 불을 지르고 7채는 부숴버리는 사건







Theme 258 실력 양성 운동 -

① 1920년대 물산 장려 운동

1. 조선 총독부가 회사령을 폐지하는 계기가 되었다. 18년 지방9급 ( X )

회사령 폐지는 물산 장려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2. 평양에서 조만식 중심으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15년 기상9급 ( O )

3. 물산 장려 운동은 사회주의 성향의 운동 세력이 주도하였다. 13년 지방9급 ( X )

민족주의계가 주도한 민족 실력 양성 운동이다.

4. 조선노농총동맹의 적극적 참여로 대중적인 기반이 확충되었다. 18년 지방9급 ( X )

 조선물산장려회, 토산 애용 부인회 등이 적극적으 로 참여하였다. 5

5. “조선인이 만든 것을 입고, 먹고, 쓰자.”라는 구호를 내세웠고, 민족 자본을 육성하려 하였다. 18년 서울7급 2차 ( O )





Theme 259 실력 양성 운동 -

② 1920년대 민립 대학 설립 운동

1. 조선민립대학기성회는 민족 연합 전선 단체인 신간회의 후원을 받았다. 13년 지방9급 ( X )

 조선민립대학기성회(1923년)는 신간회(1927년) 보다 이른 시기에 조직되었다.(신간회의 후원X)

2. 일제가 경성 제국 대학을 설립하고, 방해하였다. 11년 법원9급 ( O )

3. 민립 대학 설립 운동, 물산 장려 운동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비타협적 민족 운동이 강화되었다. 11년 법원9급 ( X )

 민립 대학 설립 운동, 물산 장려 운동이 성과를 거 두지 못하자 일부 민족주의자들은 일제와 타협하여 자치권과 참정권을 획득하자는 자치 운동이나 참정운동을 전개하였다.





Theme 260 실력 양성 운동 -

③ 문맹 퇴치 운동

1. 브나로드 운동과 문자 보급 운동이 전개되었다. 12년 법원9급 ( O )








Theme 261 농민 운동과 노동 운동

① 농민 운동(소작쟁의)

1. 초기 소작쟁의의 요구 사항은 주로 소작권 이동 반대, 소작료 인하 등이었다. 10년 지방9급 ( O )

2. 일본인 농장·지주회사를 상대로 하는 소작쟁의는 규모도 크고 격렬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10년 지방9급 ( O )

3. 소작쟁의의 대표적인 사례는 암태도 소작쟁의로 1년여에 걸친 투쟁에도 효과가 없었다. 14년 서울9급 ( X )

암태도 소작쟁의는 1923년 전라도 신안군의 암태 도에서 소작료를 7~8할씩 징수하던 악덕 지주인 문 재철을 상대로 소작인들이 1년여에 걸쳐 소작쟁의를 펼친 사건으로 소작료를 4할로 낮추는 데 성공하였 다.







② 노동 운동

4. 1920년대에 이르러 농민·노동자의 쟁의가 절정에 달하였다. 09년 지방9급 ( X )

 1930년대에 절정에 달하였다.

5. 1920년대 노동 운동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투쟁은 원산 총파업이었다. 09년 지방9급 ( O ) 29년

암태도 23년






Theme 262 국외 이주 동포의 활동(한말 활동 포함)

1. 연해주에 거주하던 한인들은 1937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하였다. 08년 법원9급 ( O )

2.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들은 신민회, 공립협회,  등을 조직하였다. 12년 국가7급 ( O )








Theme 263 일제 강점기의 생활 모습

1. 빈민이 토막촌을 형성하였고 걸인처럼 생활하였다. 15년 사회복지9급 ( O  )

2. 번화가에서는 최신 유행의 모던 걸과 모던 보이가 활동하였다. 18년 국가9급 ( O)

1927년

3. 1920년대에는 조선여성동우회에 가입하여 계몽운동을 전개하는 여성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7년 국회9급 ( O )

1924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사회주의여성단체


4. 상류층은 한식 주택을 2층으로 개량한 영단 주택에 모여 살았다. 18년 국가9급 ( X )

 영단 주택은 노동자를 위한 주택이었다.

영단주택 41년
문화주택 20년대







05. 민족 문화 수호 운동
Theme 264 조선 교육령

1. 제1차 조선 교육령에서는 헌병 경찰 중심의 통치체제 하에서 낮은 수준의 실용 교육만 실시하고자 하였다. 10년 지방9급 ( O  )

 1911년 8월 23일







Theme 265 한국사의 왜곡

1. 총독부가 설치한 조선사 편수회는 식민주의 사관을 토대로 『조선사』를 편찬하여 한국사의 왜곡에 앞장섰다. 14년 경찰2차 ( O  )








Theme 266 민족주의 사학 -

① 박은식

1. 민족정신으로서 국을 강조하였다. 18년 교행9급 ( O  )

2. 『조선불교유신론』을 통해 새로운 사회의 방향을 추구하였다. 12년 지방9급 (  X )

한용운에 대한 설명이다.

3. 1915년에는 국혼을 강조한 『한국통사』를, 1920년에는 전 세계 민중의 힘에 의한 일본의 패망을 예견한 『한국독 립운동지혈사』를 지었다. 14년 서울9급 ( O  )

4. 동아일보에 연재한 「5천 년간 조선의 얼」 등을 통하여 주체적인 역사의식을 강조하였다. 16년 경찰2차 (  X )

 정인보에 대한 설명이다.

5. 조선사 편수회에 참여하였다. 18년 교행9급 (  X )

 조선사 편수회식민 사학에 앞장선 단체로, 박은 식의 활동과는 거리가 멀다.
   1916년 1월









Theme 267 민족주의 사학 -

② 신채호

1. 을지문덕, 최영, 이순신 등 애국명장의 전기를 써서 애국심을 고취하였다. 17년 지방9급 ( O  )

2. 『조선상고사』의 저자는 묘청의 난을 ‘조선 역사상 일천년래 제일대사건’이라고 칭하였다. 11년 국가7급 ( O  )

3. 의열단의 요청으로 「조선혁명선언」을 집필하였고 뤼순 감옥에서 순국하였다. 13년 국가7급 ( O  )

4. 『조선상고사』에서 역사는 “인류 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라고 주장하였다. 12년 경찰1차 ( O  )

5. 대한민국 임시 정부 2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15년 경찰2차 ( X )

대한민국 임시 정부 2대 대통령을 역임한 인물은 박은식이다.

6.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노선과 이승만의 위임 통치 청원에 반대하고 『신대한』을 창간하여 주필이 되었으며 국민대 표 회의 개최를 주장하였다. 14년 서울7급 ( O )

『신대한』 - 1919년 상해에서 창간되었던 주간신문

7. 『여유당전서』를 발간하여 조선 후기 실학자들을 재평가하였다. 17년 지방9급 ( X )

 조선학 운동에 대한 내용으로, 조 선학 운동을 전개 한 인물은 안재홍, 정인보, 문일평 등이다.

8. 러시아 혁명의 영향을 받아 하바롭스크에서 한인 사회당을 결성하였다. 18년 경찰간부  ( X )

 이동휘에 대한 설명이다 1918년 하바로프스크에서 만들어진 독립운동단체






Theme 268 민족주의 사학 -

③ 정인보

1. 정인보는 ‘민족의 얼’을 강조하였으며, 『조선사연구』 등을 저술하였다. 18년 경찰2차 ( O )

2. 양명학과 우리나라의 5천년 얼을 정리하여 민족정기를 세우려고 하였다. 15년 경찰간부 ( O )

3. 정인보광개토왕릉 비문을 연구하여 일본 학자의 고대사 왜곡을 바로잡는 데 기여하였다. 11년 국가9급 ( O )






Theme 269 민족주의 사학 -

④ 문일평

1. ‘조선심’의 개념을 중시하고 한글을 그 결정체로 보았다. 14년 지방9급 ( O )

2. 1930년대에 조선학 운동을 주도하였다. 15년 서울9급 ( O )








Theme 270 사회 경제 사학 – 백남운

1. 백남운 등의 사회 경제 사학자들은 민족주의 사학자들의 정신 사관을 비판하기도 하였다. 11년 국가9급 ( O )

2. 사회 경제 사학의 대표적 인물로는 백남운, 이청원 등이 있다. 17년 지방7급 ( O )

3. 백남운에 의해 대두된 사회 경제 사학은 한국사가 세계사의 보편적인 발전 법칙에 입각하여 발전하였음을 강조하면 서 식민주의 사관의 정체성 이론을 반박하였다. 14년 경찰2차 ( O )

4. 「조선 민족의 진로」라는 글에서 ‘연합성 신민주주의’를 제창하였다. 15년 사회복지9급 ( O )







Theme 271 실증주의 사학

1. 실증 사학은 순수 학문으로서의 역사학을 지향하며 문헌 고증을 중시하였다. 17년 지방7급 ( O )

2. 진단 학회는 개별 역사적 사실의 이해를 확고히 하는 실증 사관을 중시하였다. 15년 국가7급 ( O )

청구학회 30년 진단학회 34년

3. 손진태는 『진단학보』를 발간한 진단 학회의 발기인으로 활동하였다. 17년 국가9급 ( O )






Theme 272 신민족주의 사학 – 안재홍·손진태

1. 안재홍은 국민당 창당을 주도하고 미군정에서 민정 장관을 역임하였다. 15년 사회복지9급 ( O )

2. 안재홍은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를 주장하였다. 15년 서울7급 ( O )

3. 손진태는 대동사상을 수용한 유교 구신론을 주장하였다. 17년 국가9급 ( X )

 유교 구신론을 주장한 것은 박은식이다.







Theme 273 국어 연구와 한글 보급

1. 조선어 연구회가 조선어 학회로 개편되면서 더욱 활발한 한글 보급 활동이 전개되었다. 10년 법원9급 ( O )

2. 순서: 신한청년당 조직 1918년 8월 상하이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 조선어 연구회 발족1921년 12월 03일 → 6·10 만세 운 동 전개 16년 경찰간부 ( O )








Theme 274 문학과 예술

① 1920년대의 사회·문화

1. 1920년대에 일제는 조선영화령을 공포하여 영화를 전시 체제의 옹호와 선전의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18년 서울9급(기술직) ( X )

 조선영화령은 1940년에 공포되었다

2. 조선 총독부는 기존의 우측통행 방침을 바꾸어 좌측통행을 일반화하였다. 17년 서울7급 ( O )

3. 『신여성』, 『삼천리』 등의 잡지는 새로운 패션이나 화장법을 소개하여 유행을 이끌었다. 17년 서울7급 ( O )

4. 사회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식민지 현실의 계급 모순을 비판하는 프로 문학이 등장하였다. 17년 서울7급 ( O )

5. 종로에 있는 화신 백화점의 레스토랑에서 점심을 먹는 사람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17년 국회9급 ( X )

화신 백화점은 1931년 종로에 설립된 백화점이다

6. 민족주의 역사가들 사이에서 이른바 조선학 운동이 시작되었다. 18년 서울9급(기술직) ( X )

 조선학 운동은 1930년대에 전개되었다.







② 1930년대 이후 사회·문화

7.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 사실주의적 경향이 강화되기 시작했다. 13년 경찰간부 ( X )

 1920년대의 현상이다.

8. 민족의 정서를 담은 영화 ‘아리랑’이 조선 영화인에 의해서 제작·상영되었다. 13년 경찰간부 ( X )

영화 ‘아리랑’은 1926년에 나운규가 만든 영화이다.

9. 손기정 선수가 올림픽에서 마라톤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15년 경찰간부 ( O )

36년




PART 3 현대사회의 발전
01. 광복과 대한민국의 수립
Theme 275 광복 직전의 상황과 건국 준비 활동

1. 1940년대 해방을 앞두고 비밀 결사인 조선 건국 동맹이 결성되었다. 08년 지방7급 ( O )





Theme 276 광복 전 한국에 대한 국제적 논의

① 카이로 회담(1943. 11.)

1. 제2차 세계 대전 중 최초로 한국의 독립을 국제적으로 보장하였다. 16년 국가7급 ( O )

2. 카이로 선언에서 연합국은 일본에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였다. 18년 서울9급(기술직) ( X )

 포츠담 선언에 대한 내용이다.

3. 소련은 일본과의 전쟁에 참전할 것을 결정했다. 18년 서울9급(기술직) ( X )

 얄타 회담에 대한 내용이다






② 얄타 회담(1945. 2.)

4.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이 20~30년간의 신탁 통치안을 처음으로 제안하였다. 18년 서울9급(기술직) ( O )






Theme 277 광복(1945. 8. 15) 직후의 정세

1. 송진우, 김성수는 한국 민주당을 결성하여 미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4년 지방9급 ( O )

2. 국민당은 안재홍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하였으며, 신민족주의를 내세워 평등 사회를 건설하려 하였다. 14년 국가9급 ( O )

3. 이승만은 미국에서 귀국한 후 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를 구성하였다. 14년 지방9급  ( O )

4. 여운형은 광복 직후 조선 건국 동맹을 조직하였다. 15년 지방9급 ( X )

 조선 건국 동맹은 광복 직전인 1944년에 국내에서 여운형 등이 결성한 단체로써 광복 직후 조선 건국 준 비 위원회로 개편되었다. 5

5. 광복 직후 조선어 학회가 『우리말 큰사전』 편찬을 시작하였다. 15년 지방9급 ( X )

1931년 조직된 조선어 학회가 『우리말 큰사전』 의 편찬을 시도하였으나, 일제의 방해로 성공하지 못 하였고, 이승만 정부 시기에 한글 학회가 일제에 의하 여 강제로 중단되었던 『우리말 큰사전』을 완간하였 다(1957).

6. 김구는 민족 자주 연맹을 결성하여 남북협상을 주도하였다. 17년 국가7급(하) ( X )

 민족 자주 연맹은 1947년 김규식이 구성한 단체이다.





Theme 278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1945. 8) (광복후)

1. 좌파와 우파 인사들로 조직되었으나, 좌파의 득세로 우파 민족주의자들이 탈퇴하였다. 08년 지방9급 ( O )

2.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조선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하였다. 17년 국가7급(하) ( O )









Theme 279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1945. 12)

① 회의 과정

1. 카이로 선언의 원칙을 구체적으로 실행에 옮기기 위한 방안에서 나온 것이다. 11년 국가9급 ( O )

2. 회의에서 미국은 한국의 즉시 독립을, 소련은 4개국 신탁 통치를 제안하였다. 10년 지방9급 ( X )

 미국은 신탁 통치를 제안하였다.


3. 8·15 해방 직전에 개최되었다. 17년 서울9급  ( X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는 광복 이후인 1945년 12 월에 개최되었다.






②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 사항

4. 최고 5년간 미·영·중·소 4개국이 신탁 통치를 실시한다. 14년 서울7급 ( O )

5. 임시 정부의 수립을 원조하기 위해 미·소 공동 위원회를 설치한다. 14년 서울7급 ( O )

6. 한국의 신탁 통치에 대하여 처음 국제적으로 논의하였다. 18년 서울7급 2차 ( X )

 한국에 대한 신탁 통치는 얄타 회담에서 처음 논의 되었다.








③ 신탁 통치를 둘러 싼 좌·우익의 반응

7. 김구, 이승만 등은 격렬한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을 펼쳤다. 10년 지방9급 ( O )

8. 한반도 내의 좌익 세력은 좌우 합작 위원회를 구성하여 회의 결과를 총체적으로 지지하였다. 11년 국가9급 ( X )

좌우 합작 위원회는 1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6. 3.)가 결렬된 후에 여운형(중도 좌파)과 김규식(중도 우익)이 중심이 되어 결성되었다(1946. 7.)

9. 김구는 탁치 반대 국민 총동원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18년 국가9급 ( O )








④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영향

10.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결정문에 근거하여 유엔 감시하에 남한에서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16년 국가9급 ( X )

 5·10 총선거는 유엔 소총회의 결의에 따라 실시되었다.

11. 회의 결정에 따라 좌우 합작 위원회가 만들어졌다. 17년 서울9급 ( X )

 회의 결정에 따라 미·소 공동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Theme 280 1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6. 3)

1. 공동 위원회에서 소련은 표현의 자유를 내세워 모든 단체의 회담 참여를 주장하였다. 11년 국가9급 ( X )

소련은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결정에 찬성하는 정당과 사회단체만 협의 단체로 참여시키자고 주장하 였다.









Theme 281 좌·우 합작 운동(1946. 7)

1. 여운형은 김규식과 함께 좌우익의 대표로서 10인의 좌우 합작 위원회를 구성하여 남북한 통일 정부 수립 운동을 벌였다. 16년 서울7급 ( O )

2. 김구, 이승만은 좌우 합작 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11년 국가7급 ( X )

좌우 합작 운동에 적극 참여한 사람은 중도 좌파 여 운형과 중도 우파 김규식이다. 좌우 합작 운동에는 당 시 정치적 영향력이 컸던 김구, 이승만 등이 참여하지 않았다.

3. 미군정은 처음부터 이를 지지하지 않았으나 대중은 이 운동을 지지하였다. 17년 서울7급 ( X )

 좌우 합작 위원회는 미국에 우호적인 정부를 세우 려는 미군정의 지원을 받아 조직되었다.




① 좌·우 합작 7원칙(1946. 10.)

4. 미·소 공동 위원회의 속개를 주장하였다. 15년 서울9급 ( O )

5. 유엔(UN) 감시하의 남북한 총선거 실시를 주장하였다. 15년 서울9급 ( X )

 1947년 11월 유엔 총회에서 유엔 한국 임시 위원 단을 설치하고, 유엔 감시 아래 인구 비례에 의한 남 북한 총선거를 통해 통일 정부를 수립할 것을 결정하 였다.

6. 이승만은 좌우 합작 7원칙을 지지하였다. 18년 국가9급 ( X )

이승만은 좌우 합작 7원칙을 지지하지 않았다.





② 남조선 과도 입법 의원

7. 민족 반역자, 부일 협력자, 간상배에 대한 특별법을 제정하였다. 17년 지방7급 ( O )

8. 김구는 남조선 과도 입법 의원의 의장을 역임하였다. 18년 국가9급 ( X )

 의장직을 수행한 것은 김규식이다.








Theme 282 남북 협상(1948. 4)

1. 유엔 소총회는 남북 협상의 계기가 되었다. 12년 경찰간부 ( O )

2. 김구, 김규식 등은 북한의 지도자들에게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남북 지도자 회의를 제안하였다. 10년 지방7급 ( O )

3. 회의 결과 미·소 양군의 철수를 요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였다. 18년 서울7급 2차 ( O )

4. 이승만은 향후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막판에 참석했다. 08년 지방9급 ( X )

 이승만은 남북 협상에 참여하지 않았다.

5. 조소앙은 제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7년 지방9급 ( X )

조소앙은 5·10 총선거를 반대하며 남북 협상에 참여한 인물로 5·10 총선에 불참하였다.

6.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와 2차 미·소 공동 위원회 사이에 추진되었다. 18년 서울7급 2차 ( X )

 남북 협상은 2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7) 결렬 후 인 1948년에 이루어졌다.






Theme 283 5·10 총선거(1948. 5)

1. 21세 이상 모든 국민에게 투표권이 부여된 우리나라 최초의 보통 선거로, 직접, 평등, 비밀, 자유 원칙에 따라 실시 된 민주 선거였다. 15년 기상9급 ( O )

2. 이 선거를 통해 선출된 국회의원의 임기는 2년이었다. 15년 서울7급 ( O )

3. 제헌 국회 의원을 정당별로 보면 한국 민주당이 가장 많았다. 19년 경찰간부 ( X )

 무소속이 가장 많았다.(그 다음은 대한독립촉성국 민회)

4. 제주도에서는 이 선거에 반대한 세력과 경찰이 충돌하면서 많은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하였다. 15년 서울7급 ( O )

5.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은 소련의 방해로 남한 지역에서만 총선거를 감시하였다. 16년 국가7급 ( O )

6. 김구는 5·10 총선거에 불참하였다. 18년 법원9급 ( O )






Theme 284 제헌 국회 통과 주요 법안

① 제헌 헌법

1. 대통령과 부통령은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 선거에 의하여 각각 선출한다. 18년 경찰2차 ( X )

제헌 헌법에는 대통령과 부통령은 국회에서 선출하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다.

2. 제헌 헌법은 약 4년간 유지되었다. 19년 경찰간부 ( O )








② 반민족 행위 처벌법(1948. 9.)

3. 기술관을 포함하여 고등관 3등급 이상의 관공리는 공소시효 경과 전에는 공무원 임용이 불허되었다. 10년 국가9급 ( X )

기술관은 처벌 대상에 해당되지 않았다.


4. 반민족 행위 처벌법에 따라 반민족 행위자들이 실형을 선고받았다. 17년 지방9급 ( O )

5. 반민족 행위 처벌법은 여수·순천 10·19 사건 직후에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17년 지방9급 ( X )

 반민족 행위 처벌법은 1948년 9월에 제정되었으 며, 10·19 여순 사건은 1948년 10월에 발생했다.

6. 반민족 행위 처벌법은 미 군정기에 발표되었다. 18년 국회9급 ( X )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인 1948년 9월에 제정되 었다

7. 반민특위는 부산 정치 파동으로 인해 해산되었다. 18년 지방7급 ( X )

반민특위는 반민족 행위 처벌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서 공소 시효 만료로 해산되었다.




③ 농지 개혁(1949, 1950. 3.~)

8. 농지 개혁법은 제헌 헌법에 의거하여 특별법의 형태로 제정되었다. 18년 국회9급 ( O )

9. 농지 개혁의 결과 소작지가 크게 줄어들고 자작지가 늘어났다. 16년 지방9급 ( O )

10. 개혁을 통해서 토지 보상금을 수령한 대다수의 중소지주층은 산업자본가로 전환되었다. 09년 법원9급 ( X )

 농지 개혁을 통하여 토지 자본을 산업 자본으로 전환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지가 증권의 가치가 하락하여 지주층이 자본가로 변신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기 때문이다.


11. 북한의 토지 개혁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11년 법원9급 ( X )

 남한의 농지 개혁보다 북한의 토지 개혁이 먼저 실시되었다(1946. 3).

12. 소작료는 1/3제로 제한하였다. 15년 사회복지9급 ( X )

 소작료를 1/3제로 제한한 것은 미군정 시기에 실 시된 군정법령 9호의 내용이다.

13. 유상 매수, 유상 분배를 원칙으로 하였다. 15년 사회복지9급 ( O )

14. 임야 소유권 문제는 제외하였다. 12년 지방7급 ( O )

15. 귀속 농지 분배를 위하여 신한공사를 설치하였다. 12년 지방7급 ( X )

신한공사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인 1948년 3월 에 해산되었다.

16. 농지 개혁법은 6·25 전쟁 이후에 공포되었다. 18년 국회9급 ( X )

 6·25 전쟁 이전인 1949년 6월에 제정되었다.

17. 농가 아닌 자의 농지는 매수하고, 자경하지 않는 자의 농지는 매수를 보류하도록 하였다. 18년 경찰2차 ( X )

자경하지 않는 자의 농지는 정부가 매수하도록 하 였다.






Theme 285 6·25 전쟁(1950~1953)

1. 북한은 38도선 전 지역에 걸쳐 남침을 감행하였다. 11년 지방9급 ( O )



2.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은 북한을 침략자로 규정하고 유엔군 파견을 결정하였다. 16년 국가7급 ( X )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안보리)에서 결정된 사항이 다.


3. 순서: 서울을 빼앗기고 낙동강 유역까지 후퇴하였다. → 미국을 주축으로 16개국이 참여한 유엔군의 지원을 받아 인천 상륙 작전을 성공시켰다. → 서울을 되찾고 평양까지 탈환하였다. → 북한을 돕기 위해 참전한 중국군의 공세 에 밀려 서울에서 철수하였다. 15년 경찰간부 ( O )






① 서울 수복과 1·4 후퇴 사이의 사건

4. 대규모 해상 작전인 흥남 철수가 이루어졌다. 17년 국가7급 ( O )

중공군 떄문에

5. 미국은 극동 방위선에서 한국을 제외한다고 선언하였다. 17년 국가7급 ( X )

극동 방위선에서 한국을 제외한 애치슨 선언 (1950. 1.)은 6·25 전쟁 발발 이전에 발표되었다.






② 휴전 회담

6. 휴전 협정이 체결되고 같은 해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이 체결되었다. 10년 국가7급 ( O )

7. 유엔군과 한국군, 중국군, 북한군은 1953년 7월 27일에 정전 협정에 조인하였다. 18년 경찰2차 ( X )

유엔군과 중국군·북한군이 서명하였다.(한국과 소 련 ×) , 소련이 제안..

8. 휴전 협정이 체결되자 이승만은 거제도에 수용되어 있던 반공 포로들을 석방하였다. 10년 국가7급 ( X )

 이승만의 반공 포로 석방은 휴전 협정 체결 약 한 달 전인 1953년 6월에 발생하였다.

9. 공산군 측은 38도선을 경계로 휴전할 것을 요구하였다. 15년 국가7급 ( O )

10. 유엔군 측은 제네바 협정에 따른 포로의 자동 송환을 주장하였다. 15년 국가7급 ( X )

유엔군(미국) 측은 포로 본인의 자유의사에 따라 남한과 북한을 선택하도록 하는 ‘자유 송환’을 주장 하였고, 북한 측은 출신 국가로의 자동 송환을 주장 하였다.







02.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Theme 286 이승만 정부(제1공화국, 1948~1960)

1. 부산 정치 파동으로 야당 국회의원이 정치적 공격을 받았다. 13년 국가7급 ( O )

2. 이승만 정권은 신국가보안법을 제정하였고 반공청년단을 조직하였으며 진보당의 조봉암을 간첩 혐의로 사형에 처 하였다. 16년 서울9급 ( O )

국가보안법 48년
신국가보안법 58년 (보안법 파동)

3. 이승만 정권은 1954년 의회에서 부결된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을 사사오입의 논리로 통과시켰다. 16년 서울9급 ( X )

 1954년에 있었던 2차 개헌(사사오입 개헌)은 초대 대통령의 3선 제한 (중임 제한) 철폐를 주요 내용으 로 하고 있다.

4. 6·25 전쟁 휴전 협정 조인과 이승만 대통령 하야 성명 발표 사이 시기에는 초등학교 의무 교육이 개시되고, 점령지 구호(GARIOA) 원조가 전개되었다. 17년 국가7급(하) ( X )

초등학교 의무 교육은 1950년에 실시되었고, 점령 지 구호(GARIOA) 원조는 미군정 시기의 일이다.

5. 6·25 전쟁 직후의 절실한 사회 단면을 파헤친 정비석의 소설 『자유부인』이 출간되었다. 19년 경찰간부 ( O )






① 사사오입 개헌(1954. 11.)이 이루어진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

6. 경부고속도로 개통 소식을 전해 듣는 시민 16년 법원9급 ( X )

 경부고속도로는 1970년에 개통되었다.

7. 혼·분식 장려 정책으로 도시락 검사를 받는 학생 16년 법원9급 ( X )

 1960~70년대의 모습이다.








② 3대 정·부통령 선거(1956)

8. 조봉암이 대통령으로 출마하였다. 15년 서울7급 ( O )

9. 부정 선거로 자유당이 대통령과 부통령 선거에서 모두 승리했다. 15년 서울7급 ( X )

 1956년 정·부통령 선거에서는 자유당의 이승만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나, 부통령에는 자유당의 이기 붕을 제치고 민주당의 장면이 당선되었다. 부정 선거 로 대통령과 부통령 선거에서 자유당이 모두 승리했 던 선거는 3·15 부정 선거(1960)이다.







③ 3·15 부정 선거(1960)

10. 장면 정부는 이 선거 결과를 무효로 하고 재선거를 실시하였다. 15년 서울9급 ( X )

 허정 과도 정부에서 3·15 부정 선 거 결과를 무효 로 하고 재선거를 실시하였다. 이 선거의 결과로 장 면 정부가 수립되었다. 11

11. 3·15 부정 선거 이후 평화 통일론을 주장한 진보당의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17년 지방9급 ( X )

 3·15 부정 선거는 1960년의 일이고 조봉암을 중 심으로 결성된 진보당의 정당 등록이 취소된 것은 1958년의 일이다(진보당 사건).







④ 4·19 혁명(1960)

12. 자유당 정권이 대대적으로 3·15 부정 선거를 저지른 것이 발단이 되었다. 16년 기상9급 ( O )

13. 4·19 혁명의 도화선에 불을 붙인 것은 청년 학생들이었지만, 곧 전 민중적 항쟁으로 발전하였다. 17년 서울7급 ( O )










⑤ 4·19 혁명의 영향

14. 통일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제기되었다. 10년 지방9급 ( O )

15. 과도 정부가 출범하고, 내각 책임제와 양원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으로 개정되었다. 14년 국가9급 ( O )

16. 혁명적 분위기 속에서 혁신 정당 세력도 총선거에 참여하여 정치적으로 크게 약진하였다. 17년 서울7급 ( X )

4·19 혁명 직후 치러진 총선(5대 총선)에서 혁신 정당들은 여러 세력으로 분열되어 있었기 때문에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Theme 287 장면 내각(제2공화국, 1960. 8~1961. 5)

1. 1961년에 접어들면서 민중 운동은 생존권 차원을 넘어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제기하고, 민족 통일 운동으로 나아갔다. 17년 서울7급 ( O )

2. 경제 제일주의를 내세워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마련하였다. 18년 국회9급 ( O )

3. 반공법을 폐지하고 국가보안법으로 흡수·통합하였다. 18년 국회9급 ( X )

반공법은 1980년 12월 국가보안법으로 흡수 통합되었다

4. 민주당 정부의 시정 방침으로는 외자 도입과 경제 원조 확대를 통한 경제 개발 계획 추진 등이 있다. 16년 서울7급 ( O )









Theme 288 5·16 군사 정변과 군정의 실시(1961~1963)

1. 국가재건최고회의가 구성되어 군정이 실시되었다. 13년 국가7급 ( O )








Theme 289 박정희 정부(제3공화국, 1963~1972)

1. 대통령의 3선을 가능하게 하는 개헌안이 국민투표를 통해 확정되었다. 14년 경찰간부 ( O )

2.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가 한·일 기본 조약을 체결하여 국교를 정상화하였다. 15년 경찰간부 ( O )

3. 미국으로부터 브라운 각서를 통한 경제 지원을 약속받았다. 15년 법원9급 ( O )

1966년








한·일 기본 조약(한·일 협정, 1965)

4. 재일 교포의 법적 지위 및 대우에 관한 협정도 함께 체결되었다. 18년 서울9급 ( O )

5. 위안부 문제가 주요한 의제로 논의되었다. 18년 서울9급 ( X )

위안부 및 강제 동원 희생자 개인 피해에 대한 배상 문제는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Theme 290 유신 체제(제4공화국, 1972~1979)

1. 대통령의 중임 제한을 없애고 간선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을 제정하였다. 13년 국가9급 ( O )

2. 부마 항쟁은 야당 당수를 국회에서 제명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14년 법원9급 ( O )

3. 민족 통일을 위한 남북 공동 성명이 발표되었다. 17년 지방9급 ( X )

 7·4 남북 공동 성명은 10월 유신 이전인 1972년 7 월에 발표되었다.









Theme 291 신군부 세력의 대두

1.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되었다. 13년 국가9급 ( O )

2. 5·18 민주 항쟁은 신군부가 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한 것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18년 경찰간부 ( O )










Theme 292 전두환 정부(제5공화국, 1981~1988)

1. 3저 호황을 통해 무역 수지 흑자를 달성하였다. 16년 기상9급 ( O )

2. 아웅산 묘소 폭파 사건이 일어났다. 18년 국회9급 ( O )

3. 중·고생의 교복이 자율화되었다. 18년 국회9급 ( O )








① 6월 민주 항쟁(1987)

4. 대통령이 하야하는 계기가 되었다. 17년 법원9급 ( X )

 개헌이 이루어졌으나 대통령(전두환)이 하야하지 는 않았다. 

5. 1987년 6월 항쟁 결과로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졌다. 13년 국가9급 ( O )

6. 6월 민주 항쟁의 결과 헌법에 인간의 존엄과 행복추구권이 신설되고 헌법재판소가 설치되었다. 18년 경찰간부 ( X )

 헌법에 인간의 존엄과 행복추구권에 대한 내용이 신설된 것은 1980년 8차 개헌의 내용이다.









Theme 293 노태우 정부(제6공화국, 1988~1993)

1. 북방 외교를 통해 공산권 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16년 기상9급 ( O )

2. 남북 조절 위원회 회담이 개최되었다. 17년 서울9급 ( X )

남북 조절 위원회박정희 정부 시기에 설립되었 다. 3

3. 88 서울 올림픽 대회를 개최했다. 17년 경찰2차 ( O )

4.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를 실시하였다. 17년 경찰2차 ( X )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와 전면적인 지방 자치제 실 시는 김영삼 정부 시기인 1995년에 이루어졌다.








Theme 294 김영삼 정부(1993~1998)

1.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다. 16년 법원9급 ( O )
96년

2. 학교마다 학교운영위원회를 설치하여 학교 자치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19년 경찰간부 ( O )

3. 금융 실명 거래 및 비밀 보장에 관한 긴급명령 발표와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을 시행하였다. 16년 법원9급 ( O )

4. 국민 연금 제도를 도입하였다. 16년 법원9급 ( X )

 전두환 정부(1988) 때의 일이다.






Theme 295 김대중 정부(1998~2003)

1. 국제 통화 기금(IMF)의 지원금을 앞당겨 상환하여 위기를 극복하였다. 16년 기상9급 ( O )

2. 상록수 부대를 동티모르에 파병하였다. 17년 경찰2차 ( O )
1999년 10월









03. 통일 정책과 평화 통일의 과제
Theme 297 북한

1. 조선 공산당 북조선 분국 조직 1945년 10월 13일 조직 → 북조선 5도 행정국 설치 1945.10→ 토지 개혁 단행 46년 → 북조선 노동당 창당 1946년 8월 29일 순으로 사건이 전개되었다. 09년 국가9급 ( O )

2. 북한이 일으킨 사건으로는 1968년에 1·21 청와대 습격 사건, 1976년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83년에 아웅산 폭탄 테러 사건, 1987년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이 있다. 15년 지방7급 ( O )

3. 순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 사건 → 아웅산 폭탄 테러 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서해 연평해전 사건 18년 경찰간부 ( X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 사건 (1968)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1976) → 아웅산 폭탄 테러 사건 (1983) → 서해 연평해전 사건(1999, 2002) 

4. 북한이 제시한 고려민주연방공화국 통일 방안은 1민족 2국가 2체제를 목표로 한다. 19년 경찰간부 ( X )

 1민족 1국가 2체제를 지향하고 있다(2국가 ×).









Theme 298 통일 정책과 남북 교류 -

① 박정희 정부(1963~1979)

① 7·4 남북 공동 성명(1972. 7.)

1. 7·4 남북 공동 성명은 통일의 3대 원칙을 천명하였다. 14년 서울9급 ( O )

2. 남북 조절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한 내용이 담겨 있다. 18년 지방9급 ( O )

3. 분단 후 최초로 열린 남북 정상 회담의 결과로 발표된 성명서이다. 18년 지방9급 ( X )

 6·15 남북 공동 선언문에 대한 내용이다.

4. 서울·평양 간 상설 전화 개설에 합의하였다. 19년 경찰간부  ( O )





② 7·4 남북 공동 성명 직후의 상황

5. 북한에서는 국가 주석에게 절대적 지위를 부여하는 사회주의 헌법을 만들었다. 08년 법원9급 ( O )

6. 발표 직후 긴급조치권이 포함된 헌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15년 법원9급 ( O )

7. 푸에블로호 납치 사건이 일어났다. 19년 경찰간부 ( X )

푸에블로호 납치 사건은 1968년 일어났다. 






Theme 299 통일 정책과 남북 교류 -

② 전두환 정부(1981~1988)

1. 최초로 남북한 이산가족의 상봉이 이루어졌다. 14년 서울7급, 12년 지방9급 ( O )

85년

2. 남한과 북한은 함께 유엔에 가입하였다. 17년 지방9급 ( X )

 남한과 북한이 동시에 유엔에 가입한 것은 노태우 정부 시기(1991)의 일이다.





Theme 300 통일 정책과 남북 교류 -

③ 노태우 정부(1988~1993)

1. 한반도 비핵화를 선언하였다. 14년 서울9급 ( O )

1992년 2월 19일 평양에서 열린 제6차 남북고위급회담에서 정식 발효

2. 남북한 사이의 화해와 상호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가 채택되었다. 14년 경찰간부 ( O )

3. 남북 기본 합의서 발표 이후 남북이 동시에 유엔 회원국이 되었다. 17년 교행9급 ( X )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은 1991년 9월, 남북 기본 합의서 발표는 1991년 12월의 일이다.







① 남북 기본 합의서(1991. 12.)

4. 남과 북은 서로 상대방의 체제를 인정하고 존중한다. 남과 북은 상대방에 대하여 무력을 사용하지 않으며, 상대방을 무력으로 침략하지 아니한다. 11년 지방9급 ( O )

5. 군사 당국자 간의 직통 전화를 가설하기로 하였다. 14년 국가7급 ( O )

6. 남북 불가침을 위한 남북 군사 공동 위원회 설치를 명시하였다. 14년 국가7급 ( O )

7. 남북한은 서로 내정을 간섭하지 않으며, 호혜 평등 원칙 아래 모든 국가에게 문호를 개방하기로 하였다. 19년 경찰간부 ( X )

유신 정부 때의 6·23 선언(1973)에 대한 내용이다






Theme 301 통일 정책과 남북 교류 -



④ 김영삼 정부(1993~1998)

1. 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KEDO)가 발족하였다. 14년 서울7급 ( O )

1995년 03월 09일







Theme 302 통일 정책과 남북 교류 -



⑤ 김대중 정부(1998~2003)

1. 해로를 통한 금강산 관광이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15년 법원9급 ( O )

2. 통일을 위한 남측의 연합제 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안의 공통성을 인정하는 선언을 발표하였다. 16년 경찰1차 ( O ) 6·15 남북 공동 선언 

3. 6·15 남북 공동 선언 직후 경의선과 동해선 연결을 위한 복원 공사에 착수하였다. 18년 국회9급 ( O )

4. 제1차 남북 적십자 회담을 열었다. 18년 교행9급  ( X )

 박정희 정부에 대한 설명이다.










Theme 303 통일 정책과 남북 교류 -



⑥ 노무현 정부(2003~2008)

1. 10·4 남북 공동 선언에서 남과 북은 해주 지역과 주변 해역을 포괄하는 서해 평화 협력 특별 지대를 설치하고 … 개성 공업 지구 1단계 건설을 빠른 시일 안에 완공하고, 2단계 개발에 착수하기로 하였다. 15년 경찰3차 ( O )






Theme 304 통일 정책과 남북 교류 - 순서 배열 문제

1.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 고향 방문단의 서울과 평양 각각 방문 (85년) → 남북한 동시 유엔 가입 (91년)금강산 관광 개시 → 평양에서 첫 남북 정상 회담 개최 순으로 사건이 일어났다. 09년 지방7급 ( O )

2. 남북이 유엔에 동시 가입하였다. →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가 체결되었다. → 북 한 핵시설 동결과 경수로 발전소 건설 지원 등을 명시‘북·미 제네바 기본 합의서’가 채택되었다. (1994년 10월 21일) → 분단 후 처음 으로 금강산 관광 사업이 실현되었다. 17년 지방9급(하) ( O )








04. 경제 성장과 사회·문화의 변화

Theme 305 미군정의 경제 정책

1. 소작료가 총 수확물의 1/3을 넘을 수 없도록 하는 법령을 공포하였다. 14년 경찰간부 ( O )

2. 신한공사로 하여금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서 넘겨받은 토지를 관리하게 하였다. 14년 경찰간부 ( O )

동척 1908년





Theme 306 1950년대 경제

1.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은 한국 경제의 재건과 복구를 지원하였다. 16년 국가7급 ( X )

 유엔 한국 재건단(UNKRA)이 지원하였다.

2. 면방직, 설탕, 밀가루 등 이른바 삼백 산업을 중심으로 소비재 산업이 성장하였다. 14년 서울7급 ( O )









Theme 307 1960년대 경제

1. 자립 경제의 기반 구축에 역점을 둔 제1차 경제 개발 계획이 추진되었으며 이에 따라 노동 집약적인 경공업을 집중 육성하였다. 14년 서울7급 ( O )

2. 국가 기간산업인 울산 정유 공장이 가동되었다. 18년 국가9급 ( O )

64년

3. 베트남 파병을 계기로 베트남 특수를 누리게 되었다. 12년 국가9급 ( O )

4. 미국의 무상 원조가 경제 개발의 주요 재원으로 활용되었다. 12년 국가9급 ( X )

 미국의 무상 원조가 경제 개발의 주요 재원으로 활 용된 것은 1950년대 이승만 정부 때의 일이다.

5. 연간 수출 총액이 늘어나 100억 달러를 돌파하였다. 17년 지방9급(하) ( X )

수출 100억 달러를 달성한 것은 1977년이다

6. 유엔의 지원으로 충주에 비료 공장을 설립하였다. 18년 국가9급 ( X )

 충주에 비료 공장이 설립된 것은 1950년대이다.









Theme 308 1970년대 경제

1. 1970년대 3차, 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으로 수출 주도의 경제 성장 정책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중화학 공업에 자원을 대거 투입하는 중화학 공업화 정책을 선언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13년 경찰간부 ( O )

2. 마산에 수출 자유 지역이 건설되었다. 18년 국가9급 ( O )

3. 통일벼가 전국적으로 보급되었다. 15년 지방9급 ( O )

4. 근면, 자조, 협동을 구호로 내건 새마을 운동이 추진되어, 농촌 생활 환경 개선과 소득 증대에 일정한 성과를 올렸다. 14년 서울7급 ( O )

5. 경부 고속 국도가 완공되었다. 17년 지방9급(하) ( O )

 1970년 7월 7일에 완공








Theme 309 1980년대 경제

1. 1980년대에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의 3저 현상으로 호황을 맞이하였다. 15년 지방7급 ( O )








Theme 310 1990년대 경제

1. 자유 무역이 확대되는 가운데 외환 보유고 부족으로 위기를 맞았다. 15년 법원9급 ( O )

2. 우루과이 라운드 협정 (93년)을 타결하고 한·칠레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을 이루었다. 18년 경찰간부 ( X )

 한·칠레 FTA는 2004년에 발효되었다.







Theme 311 사회 변화와 사회 문제

① 1960년대

1. 대부분의 노동자들이 낮은 임금과 열악한 노동 조건 속에서 일을 하였으며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조차 행사하기 어 려웠다. 14년 서울7급 ( O )

2. ‘덮어 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라는 표어가 사용된 연대에는 군사 정부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 하였다. 17년 국가9급(하) ( O )

* 전태일 자살 70년





② 1970년대

3. ‘딸 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라는 표어가 사용된 연대에는 유신 체제가 성립되었고, 2차례의 오일쇼크 와 중화학 공업 과잉 중복 투자에 따른 경제 불황이 있었다. 17년 국가9급(하) ( O )

73년 / 78년 오일쇼크







1980년대

4. 대학교, 전문대학 등 고등 교육 기관의 숫자가 많이 늘어났으며, 대학 진학률도 크게 높아졌다. 14년 서울7급 ( O )

5. ‘잘 키운 딸 하나 열 아들 안 부럽다.’라는 표어가 사용된 연대에는 6월 민주 항쟁과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의 3저 호황이 있었다. 17년 국가9급(하) ( O )








Theme 312 교육 정책의 변화

1. 1950년대에는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초등학교 의무 교육제가 시행되었다. 17년 지방9급 ( O )

2. 1960년대에는 중학교 무시험 진학 제도가 처음 실시되었다. 17년 지방7급 ( O )

3. 1970년대에는 국가주의 이념을 강조한 국민 교육 헌장이 제정되었다. 17년 지방9급 ( X )

 국민 교육 헌장은 1968년에 제정되었다.

4. 1980년대에는 학교 교육과 별개로 사교육인 과외가 활성화되었다. 17년 지방7급 ( X )

1980년대(1980)에는 과외 전면 금지와 대학 졸업 정원제를 시행하여 과도한 교육열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려 했다.





Theme 313 현대사 순서 배열

1. 국민 교육 헌장 제정 →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 → 유신 헌법 국민 투표 통과 → 김대중 납치 사건 → 김영삼 국회 제명 16년 서울9급 ( O )

김대중 납치 사건  1973년 8월 8일 일본 도쿄에서 한국 야당지도자 김대중이 납치되어 한·일간의 외교문제로까지 비화된 사건.

2. 국제 노동 기구(ILO) 가입 1991년 12월 152번째 회원국으로 가입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실시 92년 → 금융실명제 실시 93 → 경제 협력 개발 기구 (OECD) 가입 96년 17년 경찰1차 ( O )


* wto는 1995년 김영삼 정부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순경 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