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지방직 9급 - 1
공상(空想) : 현실적이지 못하거나 실현될 가망이 없는 것을 막연히 그리어 봄
망상(妄想) : 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령된 생각을 함
상상() :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봄
이상() 가장 완전한 것이면서 현실과 대비되는 것

가상() : 주관적으로 실제 있는 것처럼 보이나 객관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거짓 현상

2011 지방직 9급 – 2
배빈() : 반대하거나 거부하여 밀어 내침
배설() 동물체가 음식을 먹어 영양을 섭취하고 그 남은 찌꺼기나 부산물을 몸 밖으로 내보냄
배제() :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쳐서 따돌리거나 제외함
배척(排斥) : 반대하거나 거부하여 밀어 내침

2011 서울시 9
장해(障害) : 하고자 하는 일을 막아서 방해하다
장애() : 마음과 신체상의 장애로 인해 임무를 수행할 수 없다

품의(稟議) : 웃어른이나 상사에게 말이나 글로 여쭈어 의논하다
품위(品位) : 사람이 갖추어야 할 위엄이나 기품
사절(謝絶) 요구나 제의를 받아들이지 않고 사양하여 물리침
사절(辭絶) 사양하여 받지 아니함
이행() : 채무 변제를 실제로 행함
이행() : 다른 상황으로 옮아감
상당(相當) : 일정한 액수나 수치 따위에 해당함

2011 국가직 7급 – 1
파탄() : 일이나 계획 따위가 원만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중도에서 잘못됨
사사() : 조그마하거나 하찮은 일
심대(甚大) 매우 큼
방대() 규모나 양이 매우 크거나 많다
알선(斡旋) : 남의 일이 잘되도록 주선하는 일

2011 국가직 7급 – 2
기부(寄附) 자선 사업이나 공공사업을 돕기 위하여 돈이나 물건 따위를 대가 없이 내놓음
부정(不正) : 올바르지 아니하거나 옳지 못함
부정() : 일정하지 아니함
부정(否定) : 그렇지 아니하다고 단정하거나 옳지 아니하다고 반대함
결재() : 결정할 권한이 있는 상관이 부하가 제출한 안건을 검토하여 허가하거나 승인함
결제() : 일을 처리하여 끝을 냄, 카드 계산
사면(辭免) : 맡아보던 일자리를 그만두고 물러남
사면(赦免) : 죄를 용서하거나 형벌을 면제함


공무원 기출 한자 정리 – 국왕한자에 수록된 기출문제입니다.
2011 국가직 7급 – 3
원칙(原則) : 어떤 행동이나 이론 따위에서 일관되게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규칙이나 법칙
실제(實際) : 사실의 경우나 형편
실재(實在) : 실제로 존재함
지도(指導) : 가르침
폐단(弊端) 어떤 일이나 행동에서 나타나는 옳지 못한 경향이나 해로운 현상

2011 지방직 7
균열(龜裂) : 거북의 등에 있는 무늬처럼 갈라져 터짐
불운() 운수가 좋지 아니함
비운(否運) 막혀서 어려운 처지에 이른 운수
오열() : 목메어 욺
탁본() : 비석기와기물 따위에 새겨진 글씨나 무늬를 종이에 그대로 떠냄

2011 서울시 7
여유(餘裕) : 1) 넉넉하고 남음이 있음 2) 성급하지 않고 너그럽게 생각하는 마음
순종(順從) 고분고분 따름
즐비() : 빗살처럼 줄지어 빽빽하게 늘어서 있음
오밀조밀() : 솜씨나 재간이 매우 정교하고 세밀한 모양
정곡() : 가장 중요한 요점/핵심
핵심() : 사물의 가장 중심
시사() : 어떤 것을 미리 간접적으로 표현해 줌
암시() : 넌지시 알림
책망() : 잘못을 꾸짖거나 나무라며 못마땅하게 여김
힐책() : 잘못된 점을 따져 나무람

2010 국가직 9
갱신() 법률관계의 존속 기간이 끝났을 때 그 기간을 연장하는 일
갱생() 거의 죽을 지경에서 다시 살아남.
             마음이나 생활 태도를 바로잡아 본디의 옳은 생활로 되돌아가거나 발전된 생활로 나아감
살생() : 사람이나 짐승 따위의 생물을 죽임
상쇄() : 상반되는 것이 서로 영향을 주어 효과가 없어지는 일
부결(否決) : 의논한 안건을 받아들이지 아니하기로 결정함
비색() : 운수가 꽉 막힘
개척() : 거친 땅을 일구어 논이나 밭과 같이 쓸모 있는 땅으로 만듦.
            새로운 영역운명진로 따위를 처음으로 열어 나감
탁본() : 비석기와기물 따위에 새겨진 글씨나 무늬를 종이에 그대로 떠냄

2010 지방직 9급 - 1
고식적(姑息) :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지 아니하고 임시변통하는 것언 발에 오줌 누기

공무원 기출 한자 정리 – 국왕한자에 수록된 기출문제입니다.
2010 지방직 9급 – 2
진진(津津) : 1) 입에 착착 달라붙을 정도로 맛이 좋음 2) 물건 따위가 풍성하게 많음
            3) 재미 따위가 매우 있음
균열(龜裂) 거북의 등에 있는 무늬처럼 갈라져 터짐
유착() : 사물들이 서로 깊은 관계를 가지고 결합하여 있음
예찬() : 무엇이 훌륭하거나 좋거나 아름답다고 찬양함

2010 서울시 9급 – 1
규범(規範) 인간이 행동하거나 판단할 때에 마땅히 따르고 지켜야 할 가치 판단의 기준
지향(志向) :어떤 목표로 뜻이 쏠리어 향함 또는 그 방향이나 그쪽으로 쏠리는 의지

止揚 - 지양
병폐(病弊) 병통과 폐단
시정() 잘못된 것을 바로잡음
내포(內包어떤 성질이나 뜻 따위를 속에 품음

2010 서울시 9급 – 2
요산(樂) : 산을 좋아함
치국(治國) : 나라를 다스림
수신() : 몸을 닦음
귀가(집에 돌아감
독서() : 책을 읽음

2010 국가직 7
개발(開發) 1) 토지나 천연자원 따위를 개척하여 유용하게 만듦 2)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
계발(啓發) : 슬기나 재능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
제작() 재료를 가지고 기능과 내용을 가진 새로운 물건이나 예술 작품을 만듦
제작() : 규정이나 법식 따위를 생각하여 정함
고립(雇立)남을 대신 보내어 부역이나 병역 따위의 공역을 치르게 함
고립() 다른 사람과 어울리어 사귀지 아니하거나 도움을 받지 못하여 외톨이로 됨
초래(招徠) : 불러서 어루만져 위로함
초래()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함불러서 오게 함

2010 지방직 7급 – 1
취흥(醉興) : 술에 취해 일어나는 정취
주연() : 술자리
건배(乾杯) : 건강행복 따위를 빌면서 서로 술잔을 들어 마심
수작(酬酌) 술잔을 주고받음

2010 지방직 7급 – 2
패권() : 최고 권력
장악() 손안에 잡아 쥠무엇을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됨
경쟁() : 같은 목적에 대하여 이르거나 앞서려고 서로 겨룸
공무원 기출 한자 정리 – 국왕한자에 수록된 기출문제입니다.
목도() : 눈으로 봄
2010 지방직 7급 - 3
시숙(媤叔) : 남편의 형제를 가리키는 말
현손() 손자의 손자를 가리키는 말
사형() : 남에게 자기 형을 가리키는 말
자친(慈親) : 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가리키는 말



ㅇ제가 살아계신  아버지를 남에게 부를 때 =>부친[父親],가엄[家嚴],
ㅇ제가 돌아가신 아버지를      ;      =>선친[先親],선고[先考],
ㅇ남의 살아계시는 아버지를   ;      =>춘부장[椿府丈],
ㅇ남의 돌아가신 아버지를      ;      =>선대인[先大人],
ㅇ제가 살아계신 어머니를  남에게    
     ;      =>모친[母親],자친[慈親],아모[阿母],
ㅇ제가 돌아가신 어머니를  남에게    ;      =>선부인[先夫人],
ㅇ남의 살아계신 어머니를      ;      =>자당[慈堂],훤당[萱堂],북당[北堂],
ㅇ남의 돌아가신 어머니를      ;      =>선대부인[先大夫人],
ㅇ아내를 소개할때                ;      =>내자[內子],실인[室人],처[妻],



심문2 (問) 
법원이 당사자나 그 밖에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에게 서면이나 구두로 개별적으로 진술할 기회를 주는것

신문7 (問)
1. 알고 있는 사실을 캐어물음.
2. <법률> 법원이나 기타 국가 기관이 어떤 사건에 관하여 증인, 당사자, 피고인 등에게 말로 물어 조사하는 일


2010 서울시 7급 - 1
고문(拷問) 죄를 진 혐의가 있는 사람에게 육체적 고통을 주면서 심문하는 것
고문() : 의견을 물음
감상(感想) 감정이 쉽게 흔들리는 경향
감상(鑑賞)예술작품을 음미하여 이해함


감상하다1 (感傷--) [감ː상하다]  

[동사] 하찮은 일에도 쓸쓸하고 슬퍼져서 마음이 상하다. 

감상하다2 (感賞--) [감ː상하다]
[동사] 마음에 깊이 느끼어 칭찬하다. 

총서() 일정한 제목이나 형식으로 계속해서 간행되는 출판물
총서() : 조선 시대의 벼슬 이름
섭리() 자연계를 지배하고 있는 섭리
섭리() : 음양을 고르게 다스림

2010 서울시 7급 – 2
근거(根據) : 어떤 일이나 의논의견에 그 근본이 됨또는 그런 까닭
기회() : 어떠한 일을 하는 데 적절한 시기나 경우
제기(提起) : 의견이나 문제를 내어놓음
여유(餘裕) : 물질적․공간적․시간적으로 넉넉하여 남음이 있는 상태
연고(軟膏) 외상이나 피부 질환에 사용하는 부드러운 약

2010 서울시 7급 – 3
고희() : 70

종심(從心) : 70
미수() : 88
진갑(進甲) : 62
화갑() : 61=회갑(回甲)=환갑(還甲)=주갑(周甲)
희수(喜壽) : 77



2014 지방직
개발(開發) : 1) 토지나 천연자원 따위를 유용하게 만듦
            2)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
계발(啓發) : 슬기와 재능을 열어 깨우쳐 줌 and 사상
답지(遝至) : 한군데로 몰려듦
부상() 물 위로 떠오르다어떤 현상이 관심의 대상이 되거나 어떤 사람이 훨씬 좋은              위치로 올라서다.
부유(浮遊) : 물 위나 물속또는 공기 중에 떠다니다행선지를 정하지 아니하고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다.

채근() : 남에게 받을 것을 달라고 독촉하다.

2014 서울시 9급 - 1
이순(耳順) : 60
지천명(知天命) : 50
불혹() : 40
이립(而立) : 30

2014 서울시 9급 - 2
부정(不正) 올바르지 아니하거나 옳지 못함
부정() 깨끗하지 못함또는 더러운 것사람이 죽는 따위의 불길한 일
부정(不定) 방정식에서 그 답이 무수히 많이 존재하는 일
부정(否定) 그렇지 아니하다고 단정하거나 옳지 아니하다고 반대함

2014 서울시 9급 - 3

가시(可視) : 눈으로 볼 수 있는또는 그런 것
편력(遍歷이곳저곳을 돌아다님여러 가지 경험을 함
과장(誇張)사실보다 지나치게 불려서 나타냄
통찰() :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을 꿰뚫어 봄

2014 사회복지직 9
하필(何必) : 다른 방도를 취하지 아니하고 어찌 꼭/어찌하여 반드시/무슨 필요가 있어서
하여간(何如間) : 어쨌든/어찌하든지 간에
물론(勿論) : 말할 것도 없음

2014 국가직 7급 – 1
예단(豫斷) : 미리 판단함
경주(傾注) : 힘이나 정신을 한곳에만 기울임
충일(充溢) : 가득 차서 넘침
편철(編綴) 통신․문건․신문 따위를 정리하여 짜여 철하거나 같음

공무원 기출 한자 정리 – 국왕한자에 수록된 기출문제입니다.
2014 국가직 7급 – 2
상정(上程) 토의할 안건을 회의에 내어 놓음
배출(輩出) 훌륭한 인재나 인물이 잇따라 나거나 그러한 사람을 잇따라 냄

2014 지방직 7급 – 1
파천황(破天荒) : 이전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냄
단말마(斷末魔) : 1) 임종을 달리 이르는 말 2) 숨이 끊어질 때의 모진 고통
미상불(未嘗) 아닌게 아니라 과연
백안시(白眼視) :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를 흘겨봄

2014 서울시 7급 – 1
예민(銳敏) : 감각행동재치느낌 따위가 날카롭고 민첩함
사칭(詐稱) : 이름직업나이주소 등 남의 것을 사용하거나 거짓으로 지어내어 속여 씀
귀감() : 사물의 본보기
삭감(削減) 깍아서 줄이거나 덞
답습(踏襲) : 전해온 방식을 그대로 함

2014 서울시 7급 – 2
몽리자(蒙利者이익을 얻은 사람
은비(隱祕) : 숨김 또는 몰래 감춤
해태(懈怠) : 게을리하다
구거(溝渠) : 도랑 또는 개골창
위기(委棄) : 내버려두다

2013 지방직 9급 – 1
취대(取貸) 돈을 돌려서 쑤어 주거나 꾸어 씀

2013 지방직 9급 – 2
인도(人道) : 1) 사람이 다니는 길보도 2)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
존영(尊榮) : 지위가 높고 그의 사진이나 화상 따위를 이르는 말
발휘(發揮) : 재능힘 따위를 떨쳐서 드러냄
일주(逸走) 도망쳐 달아나다

2013 지방직 9급 – 3
곡진(曲盡) : 마음과 정성이 지극한
소박(素朴)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있는 그대로
섬세(纖細) : 여리면서도 날카로운
진중(珍重) : 소중히 여기는




공무원 기출 한자 정리 – 국왕한자에 수록된 기출문제입니다.
2013 지방직 9급 – 4
기술(技術) : 1) 만들거나 짓거나 하는 재주 또는 솜씨 2) 사물을 잘 다루거나 부리는 꾀
기술(記述) : 1) 문장으로 적음 2) 사물의 특질을 객관적ㆍ조직적ㆍ학문적으로 적음

2013 서울시 9
유출() 밖으로 흘러 나가거나 흘려 내보냄
정황(情況) 일의 사정과 정황
포착(捕捉) 어떤 기회나 정세를 알아차림
특단(特段) 보통과 구별되게 다름
방침(方針) 앞으로 일을 치러 나갈 방향과 계획

2013 지방직 7
의사(疑似) 완벽하지 않고 비슷하다

2013 서울시 7
요소() : 1) 사물의 성립이나 효력 발생 따위에 꼭 필요한 성분
            2) 그 이상 더 간단하게 나눌 수 없는 성분
유대() : 끈과 띠라는 뜻으로둘 이상을 서로 연결하거나 결합하게 하는 것
은닉(隱匿) 남의 물건이나 범죄인을 감춤
이토() : 1) 빛깔이 불고 차진 흙 2) 질철짗럭하게 짓이겨진 흙
익명() : 이름을 숨김또는 숨긴 이름이나 그 대신 쓰는 이름

2012 국가직 9
형상(形狀) : 사물의 생긴 모양이나 상태
상념(想念) : 마음속에 품고 있는 여러 가지 생각
업적(業績) 그림자어떤 사업이나 연구 따위에서 이룩해 놓은 성과
후예(後裔) : 핏줄을 이은 먼 후손

2012 지방직(상반기) 9
지향(志向) : 어떤 목표로 뜻이 쏠리어 향함
도매금(都賣) : 각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두 같은 무리로 취급 받음
호도(糊塗) 명확하게 결말을 내지 않고 일시적으로 감추거나 흐지부지 덮어 버림
당년(當年) :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죽을 때의 나이 

2012 지방직(후반기) 9
이순(耳順) : 60
불혹() : 40
희수(喜壽) : 77
미수(米壽) : 88




공무원 기출 한자 정리 – 국왕한자에 수록된 기출문제입니다.
2012 서울시 9급 – 1
체계(體系) 일정한 원리에 따라서 낱낱의 부분이 짜임새 있게 조직되어 통일된 전체
전반(全般) 어떤 일이나 부분에 대하여 그것에 관계되는 전체
유형() 성질이나 특징 따위가 공통적인 것끼리 묶은 하나의 틀
유추() 같은 종류의 것도는 비슷한 것에 기초하여 다른 사물을 미루어 추측하는 일
차용(借用) 돈이나 물건 따위를 빌려서 씀

2012 서울시 9급 - 2
() : 삭일(매달 음력 초하룻 날혹은 달을 세는 단위
() : 한 달을 셋으로 나눈 열흘 동안
() : 그믐날(음력으로 그달의 마지막 날)
/() : 스물이십
() 보름

2012 국가직 7
비극(悲劇) : 인생의 슬프고 애달픈 일을 당하여 불행한 경우를 이르는 말
참척(慘慽) : 자손이 부모나 조부모보다 먼저 죽는 일을 뜻함
상명(喪明) : 자식을 앞세워 보내는 것
각박(刻薄) : 인정이 없고 삭막함

2012 서울시 7급 – 1
태탕(駘蕩) : 넓고 큼봄날의 바람이나 날씨가 화창함
농염(濃艶) 한껏 무르익어 아름다움
견개(狷介) : 굳게 절개를 지키고 구차하게 타협하지 아니함
패기(覇氣) :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해내려는 굳센 기상이나 정신
신산(辛酸) : 맛이 맴고 심세상살이가 힘들고 고생스러움

2012 서울시 7급 – 2
부정(不定) 일정하지 아니함
부정(不正) : 올바르지 않음
부정(否定) : 그렇지 아니하다고 단정하거나 옳지 아니하다고 반대하다
부정(不貞) : 부부가 서로의 정조를 지키지 아니함
부정(不淨) : 조촐하거나 깨끗하지 못함더러움  





2016 국가직 9급 - 1
使嗾(사주) : 남을 부추겨 좋지 않은 일을 시킴
干涉(간섭) 직접 관계가 없는 남의 일에 부당하게 참견함
缺陷(결함) : 부족하거나 완전하지 못하여 흠이 되는 부분
剔抉(척결) : 1) 살을 도려내고 발라냄 2) 나쁜 부분이나 요소들을 깨끗이 없애 버림

2016 국가직 9급 - 2
匡正(광정) : 잘못된 것이나 부정 따위를 바로잡아 고침
(확정) : 잘못을 바로잡음
扶桑(부상) 해가 뜨는 동쪽 바다
咸池(함지) 해가 진다고 하는 서쪽의 큰 연못
中傷(중상) : 근거 없는 말로 남을 헐뜯어 명예나 지위를 손상시킴
誹謗(비방) : 남을 비웃고 헐뜯어서 말함
葛藤(갈등) :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서로 적대시하거나 충돌함
軋轢(알력) : 서로 의견이 맞지 아니하여 사이가 안 좋거나 충돌하는 것을 이르는 말

2016 지방직 9급 - 1
規定(규정) : 1) 규칙으로 정함또는 그 정하여 놓은 것
            2) 내용이나 성격의미 따위를 밝혀 정함또는 그 정하여 놓은 것
規正(규정) : 바로 잡아서 고침
構造(구조)부분이나 요소가 어떤 전체를 짜 이룸또는 그렇게 이루어진 얼개
救助(구조)재난 따위를 당하여 어려운 처지에 빠진 사람을 구하여 줌
充分(충분) 모자람 없이 넉넉함
(현상) :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사물의 모양과 상태
(현상) : 나타나 보이는 현재의 상태
懸賞(현상)무엇을 집하거나 구하거나 사람을 찾는 일 따위에 현금이나 물품 따위를 내걺

2016 지방직 9급 – 2
否認(부인) : 어떤 내용이나 사실을 옳거나 그러하다고 인정하지 아니함
否定(부정) : 그렇지 아니하다고 단정하거나 옳지 아니하다고 반대함

부정2 (不正)  중요

[명사] 올바르지 아니하거나 옳지 못함. 

부정7 (不淨)
[명사]
1. 깨끗하지 못함. 또는 더러운 것. 

부정3 (不定)
[명사]
1. 일정하지 아니함. 


否決(부결) : 의논한 안건을 받아들이지 아니하기로 결정함또는 그런 결정
否運(비운) : 1) 막혀서 어려운 처지에 이른 운수 2) 불행한 운명

2016 지방직 9급 – 3
自生(자생) : 1) 자기 자신의 힘으로 살아감 2) 저절로 나서 자람
介在(개재어떤 것들 사이에 끼어 있음
階梯(계제) : 1) 사다리라는 뜻으로일이 되어가는 순서나 절차를 이르는 말
             2) 어떠한 일을 할 수 있게 된 형편이나 기회
成敗(성패) : 성공과 실패를 아울러 이르는 말
謬例(유례) : 잘못된 예
(유례) : 같거나 비슷한 예
공무원 기출 한자 정리 – 국왕한자에 수록된 기출문제입니다.
2016 서울시 9
重要(중요) : 귀중하고 요긴함
大衆(대중) 수많은 사람의 무리
仲介士(중개사) : 제삼자로서 두 당사자의 사이에 서서 일을 주선하는 사람
集中力(집중력) 마음이나 주의를 집중할 수 있는 힘

2016 서울시 7급 – 1
隨想(수상) : 그때그때 떠오르는 느낌이나 생각
手相(수상) : 손금이나 손의 모양
殊常(수상) : 보통과는 달리 이상하여 의심스러움
受賞(수상) 상을 받음
授賞(수상) : 상을 줌

2016 서울시 7급 – 2
중독(中毒) : 1) 생체가 음식물이나 약물의 독성에 의하여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일
            2) 술이나 마약 따위를 지나치게 복용한 결과그것 없이는 견디지 못하는
               병적 상태
            3) 어떤 사상이나 사물에 젖어 버려 정상적으로 사물을 판단할 수 없는 상태
결정(決定) 행동이나 태도를 분명하게 정함또는 그렇게 정해진 내용
집중(集中) : 1) 한곳을 중심으로 하여 모임또는 그렇게 모음
            2) 한 가지 일에 모든 힘을 쏟아 부음
금단(禁斷) : 1) 어떤 행위를 못하도록 금함
            2) 어떤 구역에 드나들지 못하도록 막음

2016 사회복지직 9
訂正(정정) 글자나 글 따위의 잘못을 고쳐서 바로잡음
正定(정정) : 마음을 고요하게 안정시킴
正丁(정정) : 직접 군역에 나가는 사람
正正(정정) : 1) 바르고 가지런하다 2) 바르고 떳떳하다

2016 경찰직 1
射程(사정) : 사정거리탄알포탄미사일 따위가 발사되어 도달할 수 있는 곳까지의 거리
普及(보급) : 널리 펴서 많은 사람들에게 미치게 하여 누리게 함
時急(시급) : 시각을 다툴 만큼 몹시 절박하고 급함
造作(조작) 어떤 일을 사실인 듯이 꾸며 만듦
發覺(발각) 숨기던 것이 드러남
(남용) : 1) 일정한 기준이나 한도를 넘어서 함부로 씀.
            2) 권리나 권한 따위를 본래의 목적이나 범위를 벗어나 함부로 행사함
資料(자료) : 1) 연구나 조사 따위의 바탕이 되는 재료
            2) 만들거나 이루는 데 바탕이 되는 물자나 재료
事典(사전) : 여러 가지 사항을 모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고 그 가각에 해설을 붙인 책
공무원 기출 한자 정리 – 국왕한자에 수록된 기출문제입니다.
答辭(답사) : 1) 화답을 함 2) 식장에서 환영사나 환송사 따위에 답함
踏査(답사) : 현장에 가서 직접 보고 조사함
事件(사건) :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거나 주목을 받을만한 뜻밖의 일
(유감) : 마음에 차지 아니하여 섭섭하거나 불만스럽게 남아 있는 느낌
斷定(단정) : 딱 잘라서 판단하고 결정함.

2015 지방직 9
(분류) 종류에 따라서 나눔(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분리) 서로 나뉘어서 떨어지게 함
區分(구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전체를 몇 개로 갈라 나눔(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2015 서울시 9
(상실) 잃어버림없어지거나 사라짐
成長(성장) : 사람이나 동물 따위가 자라서 점점 커짐
盛粧(성장) : 화려하게 차려입음
(이상) : 보통과 다름보통이 아님 -> 이상하다(o)
異狀(이상) : 보통과는 다른 상태 -> 이상하다(x)
解凍(해동) : 얼었던 것이 녹아서 풀림
解冬(해동) : 승려들이 음력 10월 15일부터 이듬해 1월 15일까지 일정한 곳에 머물며 수도              하는 일인 동안거(冬安居)의 끝을 가리키는 말

2015 사회복지직 9급 - 1
陣痛(진통) : 아이는 낳을 때 주기적으로 오는 아픈 통증
學問)(학문) : 어떤 분야를 체계적으로 배워서 익힘
鑑賞(감상) 주로 예술 작품을 이해하여 즐기고 평가함
感想(감상)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느낌이나 생각
(추정) : 미루어 생각하여 판정함

2015 국가직 7
形態(형태) : 사물의 생김새나 모양어떠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구성체가 일정하게 갖추고              있는 모양
(추방) : 일정한 지역이나 조직 밖으로 쫓아냄
蹂躪(유린) 남의 권리나 인격을 짓밟음
政體(정체) : 국가의 통치 형태

2015 서울시 7
心地(심지) : 마음의 본바탕
(여지) : 남은 땅여분의 토지
宮趾(궁지) 궁궐터
(산지) : ‘산출지’의 준말



공무원 기출 한자 정리 – 국왕한자에 수록된 기출문제입니다.
2015 교육행정직 7
(입하) : 이때부터 여름이 시작된다고 한다양력 5월 5일경
滿(소만) :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고 한다양력 5월 21일경
(망종) : 이맘때가 되면 보리는 익어 먹게 되고 모를 심게 된다음력 6월 6일 무렵
(하지) :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이다. 6월 21일경
(소서) : 하지와 대서 사이에 있음 7월 7
(대서) : 몸시 심한 더위혹서 7월 24일경








(亨) 형통할 형; 형통(亨通)
(享) 누릴 향; 향유(享有), 향락(享樂), 향관(享官)
(互) 서로 호; 상호(相互), 호선(互先), 호선(互選)
(瓦) 기와 와; 와당(瓦當), 청와(靑瓦)
(夫) 지아비 부; 夫婦(부부), 夫婦有別(부부유별)
(失) 잃을 실; 得失(득실), 失樂園(실낙원), 失職(실직)
(矢) 화살 시; 弓矢(궁시), 矢口(시구)
(天) 하늘 천; 天地(천지), 天機(천기)
(北) 북녘 북; 北斗七星(북두칠성), 北極(북극)
(比) 견줄 비; 比較級(비교급), 比喩(비유)
(此) 이 차; 彼此(피차)
(憤) 분할 분; 憤怒(분노), 憤氣(분기)
(噴) 뿜을 분; 噴水(분수), 噴火口(분화구)
(墳) 무덤 분; 墳墓(분묘), 封墳(봉분)
(賁) 클 분
(紛) 어지러울 분; 紛亂(분란), 紛爭(분쟁)
(粉) 가루 분; 粉匣(분갑), 花粉(화분)
(佛) 부처 불; 佛敎(불교), 佛像(불상), 佛紀(불기)
(拂) 떨 불; 支拂(지불), 完拂(완불)
(彿) 비슷할 불
(還) 돌아올 환; 귀환(歸還), 환향(還鄕)
(遝) 모일 답; 답지(遝至)


(活) 살 활; 활발(活潑), 활인(活人)
(浩) 넓을 호; 호연지기(浩然之氣), 호호(浩浩)
(候) 징후, 물을 후; 후보(候補), 기후(氣候)
(侯) 제후 후; 왕후(王侯), 제후(諸侯), 후작(侯爵)
(獲) 얻을 획; 포획(捕獲), 획득(獲得)
(穫) 거둘 확; 수확(穫)
(輝) 빛날 휘; 광휘(光輝), 휘선(輝線)
(揮) 휘두를 휘; 발휘(發揮), 휘호(揮毫), 지휘(指揮)
(黑) 검을 흑; 흑심(黑心), 흑색선전(黑色宣傳)
(墨) 먹 묵; 묵객(墨客), 필묵(筆墨)
(推) 밀 추, 밀 퇴; 추진(推進),
(唯) 오직 유; 유일신(唯一神),
(維) 바 유; 사유(四維)
(幼) 어릴 유; 
유아(幼兒), 
유년기(幼年期)
(幻) 미혹할 환; 
환영(幻影).
 환상적(幻想的)
(由) 말미암을 유; 
사유(事由), 
유래(由來)
(田) 밭 전; 전답(田畓), 
둔전병(屯田兵)
(油) 기름 유; 석유(石油)
(抽) 뽑을 추; 추상(抽象)


(人) 사람 인; 인격(人格), 인종차별(人種差別)
(入) 들 입; 입장(入場), 출입구(出入口)
(八) 여덟 팔; 팔자(八字), 팔불출(八不出)
(日) 날 일; 일출(日出), 
고성낙일(孤城落日)  ①도움이 없이 고립(孤立)된 상태
(曰) 가로 왈; 왈가왈부(曰可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순경 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