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6년 강화도 조약, 조일무역규칙, 조일수호조규 부록, 최익현의 상소(왜양일체론)
1880년 2차 수신사(김홍집)가 “조선책략” 도입, 그 결과 개화정책 본격 추진, 통리기무아문 설치
1881년 영남 만인소(이만손), 별기군 설치, 신사유람단(일본)과 영선사(청) 파견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임오군란, 그 결과 제물포 조약,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1883년 보빙사(미국) 파견, 조일통상장정(개정), 대동상회 설립,
원산학사 설립(최초의 근대 교육 기관) 근대 시설 설치(박문국, 기기창, 전환국),
그 결과 한성순보 발간(최초의 근대 신문)
* 당오전(1883~1894) 백동화(1892~1904)
* 당오전(1883~1894) 백동화(1892~1904)
1884년 조러 수호통상조약, 갑신정변, 그 결과 한성조약
1885년 텐진조약, 거문도 사건, 그 결과 조선 중립화론 대두
cf)배재학당(1885), 이화학당(1886) 광혜원(제중원) 설립
1886년 조불 수호통상조약, 한성주보 발간, 육영공원 설립(최초의 근대 관립학교)
1887년 전등 설치(경복궁 향원정)
1889년 방곡령 사건
개항 순서 : 부산(1876), 원산(1880), 인천(1883) ///목포(1897), 마산, 군산 : 대한제국기
동학의 교조 신원 운동(삼례집회 - 1892년, 보은집회 - 1893년)
1894년 동학농민운동, 그 결과 청일전쟁, 갑오개혁(1차, 2차)
1895년 교육입국조서 반포, 을미사변, 그 결과 을미개혁과 단발령
1896년 을미의병(유인석, 이소응), 아관파천, 그 뒤에 독립신문 창간, 독립협회 설립, *베베르·고무라 각서, *국문동식회(주시경)
* 러시아 공사 베베르와 주한 일본 공사 고무라가 1896년 아관파천 직후 조선 문제의 처리를위해 교환한 각서이다.
* 1896년 4월 7일 독립신문 창간 후 5월 독립신문사 내에 주시경이 만든 철자법 연구 모임.
* 러시아 공사 베베르와 주한 일본 공사 고무라가 1896년 아관파천 직후 조선 문제의 처리를위해 교환한 각서이다.
* 1896년 4월 7일 독립신문 창간 후 5월 독립신문사 내에 주시경이 만든 철자법 연구 모임.
1897년 경운궁 환궁, 황제 즉위(원구단), 대한제국 선포
1898년 만민공동회, 관민공동회(헌의 6조) 개최, 독립협회 해산, 황국중앙총상회 조직, 명동성당 준공, 여권통문(찬양회) 제국신문, 황성신문 창간.
1899년 대한국 국제 반포, 황궁우 건립, 전차 개통(서대문 - 청량리), 경인선 철도 개통, 대한천일은행, 상무사(상업관련 업무)
1900년 대한제국 칙령41호(울릉도, 독도), 만국우편연합 가입, 활빈당(1900~1904), 광제원(국립병원)
1903년 용암포 사건(러시아), 간도 관리사(이범윤) 파견
1904년 러일전쟁, 그 직후 한일의정서(2월), 제1차 한일협약(8월) 체결, 대한매일신보 창간(베델, 양기탁), 황무지 개간권 요구 ↔ 보안회의 반대 투쟁, 농광회사 설립
1905년 가쓰라-태프트 밀약(7월), 제2차 영일동맹(8월), 포스머스 강화 조약(9월)
, 을사늑약 체결(11월), 시일야방성대곡 발표, 화폐정리사업(메가타 주도),
경부선 철도 개통, 천도교 창시(손병희)
, 을사늑약 체결(11월), 시일야방성대곡 발표, 화폐정리사업(메가타 주도),
경부선 철도 개통, 천도교 창시(손병희)
1906년 을사의병(최익현, 신돌석), *대한자강회 조직, 만세보 창간(천도교 기관지),
경의선 철도 개통, 서전서숙 설립(이상설, 북간도)
*
- 지회설치
- 대한자강회 월보 발행
- 고종 퇴위 반대운동 전개 → 해산 당함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 그 이후 고종 강제 퇴위, 군대해산, 한일신협약 체결
, 정미의병(13도 창의군 결성), 국채보상운동(대구), 신문지법, 보안법 제정 , 신민회 (안창호, 양기탁), 국문연구소 설립
1908년 서울진공작전(이인영, 허위), 동양척식주식회사 설립, 독사신론(신채호),
장인환 · 전명운 의거(스티븐스 사살), 사립학교령 제정, 원각사 설립(신극 공연)
1909년 남한대토벌 작전, 간도협약, 기유각서, 안중근 의거, 대종교(나철) 창시
1910년 한일강제병합, (경운궁 명칭 변화) 덕수궁 석조전 완공
1910년 회사령 공포
1911년 105인 사건, 제1차 조선 교육령, 사찰령
1912년 독립의군부(임병찬), 토지 조사 사업(토지조사령)
1913년 흥사단(안창호)
1914년 조선국민군단(박용만) 조직, 대한광복군정부 수립(이상설, 이동휘), 호남선, 경원선 개통
1915년 대한광복회(박상진), 조선 광업령 제정
1917년 대동단결선언(상하이), 무정(이광수)
1918년 한인사회당(,하바로프스크, 이동휘) 조직, 신한청년당 조직(상하이), 서당규칙 제정, 조선식산은행
1919년 2.8독립운동(동경), 3.1운동,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의열단 조직(김원봉), 강우규 의거 (3.1운동 이후 사이토 총독)
1920년 봉오동 전투(6월), 청산리 전투(10월), 간도참변, 산미증식계획 시작,
회사령 폐지, 물산장려운동 시작
1921년 자유시 참변, 조선어 연구회 창립, 연초전매령(일본인 업자에 특혜)
1922년 제2차 조선 교육령 제정, 민립대학건립운동 시작,
어린이 날 제정(방정환), * 황포탄의거(오성륜·김익상)
* 1922년 3월 28일 일본군 육군대장 다나카(田中義一)가 필리핀 마닐라로부터 귀국하는 도중에 상해(上海)에 도착하였다.
1923년 국민대표회의 개최, 조선혁명선언(신채호), 관세철폐, 관동대지진,
3부의 성립(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조선형평사 창립(진주), 암태도 소작쟁의,
토월회 조직, 김상옥 의거 (종로경찰서)
1924년 경성제국대학 설립, 민족적 경륜(이광수)
1925년 이승만 탄핵, 제2차 개헌(국무령 체제) 치안유지법 제정, 조선 공산당 창립,
미쓰야 협정, 카프(신경향파 문학)
1926년 6.10 만세 운동, 조선민흥회 창립, 정우회 선언(11월), 나석주 의거(조선식산은행),
나운규의 “아리랑” 개봉
1927년 신간회 ․ 근우회 창립, 조선노동총동맹과 조선농민총동맹의 분화
1928년 신은행령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 원산 노동자 총파업, 문자보급운동(1929~34)
1931년 신간회 해체, 조선어학회(1931~42) 창립, 동아일보 문자보급 운동(1931~34),
만보산 사건, 만주 사변
1932년 이봉창 의거(1월), 윤봉길 의거(4월), 한중연합군의 활동(쌍성보 전투, 영릉가 전투) 농촌진흥 운동(1932~40) 시작
1933년 조선학 운동(문일평, 정인보, 안재홍)
*안재홍은 민정장관도 함.
1934년 진단학회 창립(이병도, 손진태)
1935년 민족혁명당 조직(난징), 한국 국민당 조직(김구)
1936년 병참 기지화 정책, 일장기 말소 사건(손기정), 조선 사상범 보호관찰령(1936)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중앙 아시아 강제 이주(까레이스키)
1938년 국가 총동원법 제정, 제3차 조선 교육령 제정, 조선 의용대 창설
1939년 국민 징용령 실시
1940년 창씨개명 강요, 국민총력조선연맹 조직(총독부에서), 조선 · 동아 일보 폐간
,제4차 개헌(주석 중심제), 한국독립당과 한국광복군(지청천) 창립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 충칭 임시 정부(건국강령 제정, 대일본 선전 포고),
국민 학교 명칭, 조선사상범 예방구금령(1941)
1942년 조선의용대의 한국광복군 합류, 조선독립동맹과 조선의용군 조직, 조선어학회 사건
1943년 카이로 선언(미 · 영 · 중), 한국 광복군 인도 · 미얀마 파견(영국군 지원 활동), 학도 지원병 제도
1944년 조선건국동맹 조직(여운형), 제5차 개헌(주석 · 부주석 중심제), 징병제 실시
1945년 얄타회담(2월), 포츠담 선언(7월), 국내 정진군 편성(한국광복군)
1945년 광복(해방),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직, 미 군정청 설치, 맥아더 포고령 1호
, 모스크바 3상회의(12월)
1946년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정읍 발언(이승만), 좌우합작 7원칙(10월),
남조선 과도입법의원 설치(12월), 남조선 국방경비대 설치(미군정하에서 창설, 1월),
신한공사 설립(3월), 북한의 토지개혁(3월)
1947년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5월), 여운형 암살,
제2차 유엔 총회(11월, 자유총선거 결의)
1948년 유엔 소총회 결의, 4.3 사건, 남북 정치 협상 개최, 5.10 총선거 개최,
대한민국 정부 수립, 반민족행위처벌법 제정, 여수 순천 10.19 사건
,미군정의 귀속 농지 불하(3월)
1949년 김구 암살, 국회 프락치 사건, 반민특위 해체, 농지개혁법 제정
1950년 애치슨 선언, 농지개혁 실시, 6.25 전쟁 발발
1951년 국민방위군 사건, 자유당 조직
1952년 제1차 개헌(발췌개헌), 평화선 선언(해역, 이승만 대통령)
1953년 반공포로 석방(6월), 휴전협정 체결(7월), 한미 상호 방위조약 체결(10월)
1954년 제2차 개헌(사사오입 개헌)
1958년 진보당 사건(조봉암 사형), 보안법 파동
* 자유당 정권이 1958년 12월 24일 국회에서 야당의원들을 폭력으로 몰아내고 「국가보안법」을 비롯한 여러 법안들을 통과시킨 일련의 정치사건.
1960년 3.15 부정선거, 4.19 혁명, 제3차 개헌(의원내각제), 장면정부 출범
1961년 5.16 군사 쿠데타
1962년 제5차 개헌(대통령 중심제),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시작, 화폐개혁(환 → 원)
1963년 박정희 정부 출범
1964년 6.3 항쟁(한일회담 반대 시위), 베트남 파병(1964~73), 울산정유공장
1965년 한일협정 체결
1966년 브라운각서
1968년 1.21 사태(청와대 습격 사건), 푸에블로호 나포 사건, 국민교육헌장 공포
1969년 제6차 개헌(3선 개헌)
1970년 새마을 운동 시작, 경부고속도로 개통, 전태일 분신 사건
1971년 남북 적십자 예비회담 개최, 제7대 대선(김대중 바람)
1972년 7.4남북 공동 성명, 10월 유신 선포, 제7차 개헌(유신헌법)
1973년 김대중 납치 사건, 6.23 특별 선언, 제1차 석유 파동
1974년 긴급조차 1호 선포, 민청학련 사건, 동아 사태(언론자유실천 선언)
* 민청학련 사건 - 1974년 4월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全國民主靑年學生總聯盟, 약칭 민청학련)을 중심으로 180명이 구속·기소된 사건
1976년 *3.1 민주 구국 선언,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 3ㆍ1절 기념 미사와 기도회에서 김대중ㆍ윤보선ㆍ함석헌 등이 주축이 되어 여러 지도층 인사들이 발표한 ‘민주구국선언’이다
1977년 수출 100억불 달성
1979년 YH 무역 사건, 김영삼 의원직 제명 사건, 부마항쟁, 박정희 피살 사건, 12.12 군사 쿠데타, 제2차 석유 파동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국보위 설치, 제8차 개헌(7년 단임제, 간선제), 언론 기본법 제정
1985년 남북 이산가족 고향 방문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6월 민주 항쟁, 제9차 개헌(5년 단임제, 직선제)
1988년 5공 청문회, 7.7 선언, 서울 올림픽 개최
1989년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 발표, 전국민 의료보험 실시
1991년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9월), 남북기본합의서 채택(12월), ILO(국제노동기구)가입
1993년 금융실명제 실시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
1995년 지방자치 단체장 선거 부활 , 세계무역기구 출범, 민주노총 설립
1996년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가입
1997년 외환위기, 김대중 당선(최초의 여야 정권 교체)
1998년 노사정 위원회 설치, 금강산 관광 시작
2000년 남북정상회담 개최, 6.15 공동 선언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10.4 선언)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