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캡처본
가 - 봉사 10조
다 - 조준의 토지제도론
라 - 의천의 화폐제조
나 - 10.4 선언 노무현
원내 대표는 교섭 단체장이다.
‘어린 나이’, '지난번 가산(嘉山)의 토적(土賊)이 변란’, ‘청천강 이북’에서 1811년 순조대 발생한 홍경래의 난(참고로 순조 1년에 공노비 6만 6천명 양빈으로 해방)
1차 갑오개혁
1차는 김홍집+박정양
2차는 김홍집+박영효
(태묘에 나아가 우리나라가 독립하고 모든 제도 - 독립서고문)
6.10 만세운동 (격함)
* 안재홍 - 신민주주의, 신민족주의
백남운 - 연합성 신민주주의
115, 조선어학회 사건 판결문
548년 독산성 전투(고구려 vs 나제)
- 진흥왕 배신 때리기 전
ㄱ.전두환 정권 당시 민정당 창당 선언문 1981,
ㄴ. 6월 민주항쟁 1987,
ㄷ.유신 당시의 3.1 민주 구국선언 1976,
ㄹ. 전교조 결성문 1989
갈문왕은 지증왕이니까 아들인 진흥황
강감찬 귀주, 박서도 귀주(박서는 몽골)
강화도 진위대장 이동휘
경사 6학정비, 지방 주현에 향학 증설 - 인종
고구려 사료(걍 외워)
고려는 공물을 9등급으로 나누어 부과한게 아니라 호단위로 공물 수취함
고유약재 - 향약집성방, 세종
공법 상상년 세종
광개토대왕릉비 비문(외워)
구례, 신식 구본신참 광무개혁
권문세족(문벌귀족 아님)
김규식 약력, 김원봉과 함께 민족 유일당 운동 참여, 남조선 과도입법의원 초대의장, 신한청년당 대표로 파리 강화회의 파견
나는 적성으로서 - 한인애국단 선서
누에 - 삼한
답험손실법 (태종때 실시, 세종때 폐지)
남산위에 버리는거 부여
(관나부인은 고구려)
대가, 하호 - 고구려
대동법이 가호별로 걷던 전세를 토지별로 걷게 되면서 지방에서 기존에 득을 보던 사람들(지방 호세가들)이 반발 했다는 점에서 대동법인 것을 추측
도병마사(참고로 역옹패설은 이제현, 충혜왕),
도병마사의 기원은 성종이지만 합의기구로서의 도병마사의 설치는 현종
동명왕편, 신이한 사적
모문룡 관련은 정묘호란
몽골의 1차침입, 충선왕의 교서
'무슨 까닭으로 우리 선조들을 헐뜯음이 이에 이르렀는가' - 독사신론
무신정권 상황
박세당 - 사변론(성리학의 상대화)
사농공상에 관계없이 놀고먹는 자에 대해서(홍대용)
사료에서 왕은 성종, 그는 한명회
사상=난전(이현 칠패)
동문선(국조오례의 둘다 성종, 의방유취는 세종)
만불산 - 신라 경덕왕
만불산, 신라 경덕왕이 당 대종에게 선사
매일신문이 1898 1899 최초일간지(대한제국 당시 정궁은 경운궁),
중추원 개조는 1915년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의 관원은
임명된 관리의 신분 경력등을 심의, 승인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x),
홍문관은 제외,
나의 사료는 임시정부 임시헌장 1919.3
삼국유사
상권, 하권(이승휴, 제왕운기)
서경은 자비령이북 즉 동녕부를 뜻하는데 동녕부는 충렬왕 때 수복됐고 공민왕은 철령위(이견이있지만 대체로 함경도 영흥지방) 쌍성총관부 차지하려고 한 거
서로군정서, 당시 남만주에서 활동하던 서로군정서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한족회의 소장파들이 국내에서 온 40여 명과 함께 관전현 향로구에서 조직했다.
원래 명칭은 의흥단이다. = 광한단
선혜청 - 대동법
(철종때는 삼정이정청)
성종 때 사료(외워)
세종, 향약집성방
속오군(잡색군 아님)
순조 사료 (외워야함, 만기요람도 순조)
국왕의 정사에 참고하도록 정부 재정과 군정의 내역을 모아 놓은 책.
만기요람
시중~판사로 삼고 (도병마사)
신당서는 통일신라하대의 대표 사료
신라 하대 상황
신라가 짱인거같지 그건 신라가 먼저 건국해서 그런것뿐 그러므로 신라짱 아님
(동사강목의 삼국사기 비판)
신문왕 - 안승 가문을 경주로 이주시킴
애절양 정약용,
참고로 최초 지전설은 김석문(역학도해)
야이차 ㅋㅋ 단양적성비
양재역벽서사건, 여인천하, 명종, 여주가 위에서(문정왕후)
연등9등법을 파하였다. 영정법
영일 동맹 2차 관련 내용
(1차는 영국과 청나라, 일본과 조선에 대해 권리침해 관련 동맹이고, 2차는 영국와 인도, 일본과 조선에 대해 지배권 승인 같은, 보호조치를 한국에서 집행할 권리를 갖는다 이런거
영조 완론탕평 이후 모습
임정과 조선독립동맹 강령이 비슷(사료는 독립동맹)
자치통감훈의 - 세종
전운사와 균전사 혁파 자체도 동학농민운동
접주-포접제 사교, 동비(동학의 동, 무장공비할때 비)
정약용의 아방강역고
정조때 부분적 청요직 진출, 철종때 완전한 청요직 진출(신해허통)
정통과 대의명분은 이제현의 사략(삼국사기 아님)
조광조가 죽기 직전 쓴 시
조선 독립 동맹의 강령
조소앙의 삼균주의 생각하고 정치,경제,교육 평등(한국광복군)
지눌 사료
채제공의 건의였고, 면포 가격이 등귀하지 않았다(신해통공)
vs 철종 (신해허통), 서얼 차별 철폐
철천지 원수 - 6.10
첨성대, 선덕여왕(국학을 태학감으로 바꾼건 경덕왕)
청일양국의 조약 - 텐진조약, 따라서 사료는 동학농민운동 당시
청주성 함락은 이인좌(영조), 증수무원록도 영조, 쌍거호대 방식도 영조
노론 측 인사를 한 사람 등용하면 상대 자리엔 소론 측 인사를 등용하는 쌍거호대(雙擧互對) 인사정책
초가에 흙방이요 삼한 집형태 토실(가)
최충헌 (최우 아빠)
최충헌 봉사 10조
태조는 천상열차분야지도 태종은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태종은 다 죽이고, 세조는 다 죽이지는 않고
태황제 - 퇴위 당한 고종(정미의병)
태황제폐하 - 고종밖에 없음(정미)
패강 일대 수자리 설치 - 신라 성덕왕
포츠머스 조약에서 러시아는 일본에 사할린을 할양
풍수지리설(도선 탄생)
하나가 곧 일체 - 의상(일즉다 다즉일), 내적과 외적(의천)
해와 별은 삼국사기, 기전체
헌병+수천명시위 (6.10은 대규모시위아님)+전황제국장 (순종이 현황제이므로),
따라서 사료는 3.1
헌병경찰관이 보통경찰관을 대신한 게 아니라 보통경찰관을 지휘하면서 주도
혜거, 왕사 - 광종
혜심 유불일치설
홍대용 사료(유수원 아님)
홍대용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 자장, 선덕여왕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