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중세 국어: 고려가 건립된 10세기 초부터 임진왜란이 발생한 16세기 말까지의 국어. 이
시기의 국어는 성조가 있었고, 어두 자음군이 존재하였으며, 동사 어간끼리의 결합이 비교
적 자유로웠다.
사잇소리에는 ‘ㅅ’과 ‘ㅿ’ 외의 자음이 쓰이지 않았다. (X)
사잇소리는 ‘ㅅ, ㅿ’뿐만아니라 ‘ㄱ, ㄷ, ㅂ, ㅸ(순경음 비읍, 가벼운비읍), ㆆ(여린히읗)’등도 쓰였다.
그런데 이러한사이시옷 등은 조선 성종 이후 ‘ㅅ’으로 획일화되었다.
중세국어 표기법 : 한자를 적을 때는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한자 아래 병기했다. (X)
한자를 적을 때는, 동국정운식 한자음 앞에 한자를 병기했다.
다시 말해 한자는 왼쪽, 동국정운식 한자음은 한자 오른쪽에 병기했다.
◆ 乃냉終ㄱ 소리 다시 첫소리 니라
◆ 믈읫 字ㅣ 모로매 어우러 소리 이니
중세국어 표기법 : 종성 표기에는 원칙적으로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8자만 쓰였다. (O)
◆ 중세 국어는 받침으로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8자만 쓰였다.(팔종성가족용법)
팔종성가족용법(八終聲可足用法): 훈민정음 해례의 종성해에서 종성에 쓰는 글자는 팔종성으로 충분하다는 원리
중세국어 표기법 :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의 3분법으로 분석하였으나 종성 글자는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 글자를 그대로 다시 썼다. (O)
◆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훈민정음에서, 종성의 글자를 별도로 만들지 아니하
고 초성으로 쓰는 글자를 다시 사용한다는 종성의 제자 원리(制字原理).
중세국어 표기법 : ‘ㅇ’을 순음 아래 이어 쓰면 순경음이 된다. (O)
◆ 순경음(脣輕音): 고어에서, 입술을 거쳐 나오는 가벼운 소리. ≪훈민정음≫에서 순
음 아래 ‘ㅇ’을 연서(連書)하여 표시한 음인 ‘ㅱ’, ‘ㅸ’, ‘ㅹ’, ‘ㆄ’ 따위이다. ≒가벼운입
술소리ㆍ경순음ㆍ입술가벼운소리.
순음(脣音): (=양순음)두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 국어의 ‘ㅂ’, ‘ㅃ’, ‘ㅍ’, ‘ㅁ’이 여기에 해당한다.




훈민정음의 자음 체계상 치음의 기본자는 ‘ㅅ’이고 이의 가획자가 ‘ㅈㅊ’이므로이를 함께 배치할 수 있다.

훈민정음 자음 체계상 설음의 기본자 ‘ㄴ’의 가획자는 ‘ㄷ’과 ‘ㅌ’이고‘ㄹ’은 이의 이체자이다
따라서 자판에서 ‘ㄷ,ㅌ’과 ‘ㄴㄹ’을 함께 배치한 것은 제자 순서를 따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이것은 ‘ㄷㅌ’은 파열음이고 ‘ㄴㄹ’은 울림소리라는 소리의 유사성을 따라 배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훈민정음의 자음 체계상‘ㅇ’은 후음이고 ‘ㆁ’은 아음이다
아음의 기본자는 ‘ㄱ’이고 이의 가획자가 ‘ㅋ’, 이체자가 ‘ㆁ’이므로 ‘ㆁ’을 ‘ㄱㅋ’ 칸에 함께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ㅁ’과 ‘ㅅ’은 훈민정음의 자음 체계상 ‘ㅁ’은 순음이고 ‘ㅅ’은 치음이므로 조음 위치가 같지 않다

 조음 방식 상으로도 ‘ㅁ’은 울림소리이고 ‘ㅅ’은 안울림소리이므로 같지 않다. 

울림소리 'ㅁ, ㄴ, ㅇ, ㄹ'(마네레알 ㄷㄷ)이 있는데 이 중에서 'ㅁ, ㄴ, ㅇ'은 콧소리(비음)이고, 'ㄹ'은 흐름소리(유음)이다


(세게 발음할 수 없는 것들이 울림소리임)



- 중세 국어고려가 건립된 10세기 초부터 임진왜란이 발생한 16세기 말까지의 국어. 이
시기의 국어는 성조가 있었고어두 자음군이 존재하였으며, 동사 어간끼리의 결합이 비교
적 자유로웠다.

ㄹ 은 반혓소리(반설음)이다. ㄴ (설음)의 절반
 도 반잇소리(반치음)으로, ㅅ (치음)의 절반

이체자 ㄹ ㅿ  (세개)
- 사잇소리에는 ‘ㅅ’과 ‘ㅿ’ 외의 자음이 쓰이지 않았다. (X)
→ 사잇소리는 ‘ㅅ, ㅿ’뿐만아니라 ‘ㄱ, ㄷ, ㅂ, ㅸ(순경음 비읍, 가벼운비읍), ㆆ(여린히읗)’등도 쓰였다.

그런데 이러한 사이시옷 등은 조선 성종 이후 ‘ㅅ’으로 획일화되었다.

중세국어 표기법 : 종성 표기에는 원칙적으로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8자만 쓰였다. (O)

팔종성가족용법(八終聲可足用法): 훈민정음 해례의 종성해에서 종성에 쓰는 글자는 팔종성으로 충분하다는 원리

- 중세국어 표기법 : 한자를 적을 때는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한자 아래 병기했다. (X)
→ 한자를 적을 때는, 동국정운식 한자음 앞에 한자를 병기했다.

다시 말해 한자는 왼쪽, 동국정운식 한자음은 한자 오른쪽에 병기했다.


- 상설부상 악지형 (혀를 윗잇몸에 붙이는 것) - ㄴ(설음)
- 어금니 소리 (

 중세 국어는 받침으로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8자만 쓰였다.(팔종성가족용법)

중세국어 표기법 :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의 3분법으로 분석하였으나 
   종성 글자는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 글자를 그대로 다시 썼다. (O)

근대국어 종성발음자음이 ㄱㄴㄷㄹㅁㅂ옛이응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훈민정음에서, 종성의 글자를 별도로 만들지 아니하
고 초성으로 쓰는 글자를 다시 사용한다는 종성의 제자 원리(制字原理).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순경음비읍 (ㅸ), 반치음 (ㅿ) , 옛이응 (ㆁ), 아래아 (ㆍ), 여린히

(ㆆ) 가 모두 문자상으로 존재하였고 음가도 존재

16세기에 들어서 순경음비읍 (ㅸ), 반치음 (ㅿ) 이 완전히 소멸되었고

   여린히읗 (ㆆ), 아래아 (ㆍ) 의 소멸이 시작


17세기에는 여린히읗 (ㆆ), 옛이응 (ㆁ) 이 완전히 소멸
   
아래아 (ㆍ) 는 음가 (소리값) 이 없어진 채로 문자 표기상으로는 계속 쓰였습니다.

중세국어 표기법 : ‘ㅇ’을 순음 아래 이어 쓰면 순경음(입술소리, ㅂㅍㅃㅁ)이 된다. (O)

순경음(脣輕音): 고어에서, 입술을 거쳐 나오는 가벼운 소리. 
  ≪훈민정음≫에서 순음 아래 ‘ㅇ’을 연서(連書)하여 표시한 음인 ‘ㅱ’, ‘ㅸ’, ‘ㅹ’, ‘ㆄ’ 따위이다. 
   ≒가벼운입술소리ㆍ경순음ㆍ입술가벼운소리.

순음(脣音): (=양순음)두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 


- 어두자음군 :  단어의 첫머리에 오는  또는  이상의 자음의 연속체중세 국어의 ‘ ‘ㅺ’, ‘()’ ‘ㅼ’, ‘‘ㅽ’, ‘ ‘ㅳ’, ‘ ‘ㅄ’, ‘ ‘ㅴ’, ‘ ‘ㅵ’ 따위영어의 ‘step’ ‘st’, ‘spring’ ‘spr’, ‘stress’ ‘str’ 따위이다.



- 띄어쓰기는 최초로 1896년「독립신문」에 반영되었고,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규범화되었다.

-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띄어쓰기를 적용하지 않았다 (독립신문에서 최초)

- 고대 국어에서는 주격 조사 ‘이’만 존재하였으나 
  16세기 후반에 ‘가’가 나타났으며 17세기에 들어서는 널리 확산되어 쓰였다

- ‘ㆍ(아래아)’가 둘째 음절 이하에서는 16C에 [ㅡ]로, 

  첫째 음절에서는 18C에 [ㅏ]로 바뀌면서 음가가 소멸되었다. 
  물론 표기는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따라 공식적으로 사라졌다

‘ㅸ(순경음비읍)’은 15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다가 모음 앞에서 ‘ㅗ/ㅜ’로 변하였다

‘ㅸ’은 순음 ‘ㅂ’ 아래 후음 ‘ㅇ’을 상하로 결합하는 연서(連書)(니쓰기)에 의한 표기이다. 
   순경음 중에서 ‘ㅱ, ㆄ, ㅹ’은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만 사용되었고, 
   ‘ㅸ’만이 순수 국어 표기에 사용되었으나 ≪동국정운(東國正韻)≫에서 채택되지 않았기 때문에 
    초성 체계에서는 제외되었다. 따라서 초성 17자에 포함되지 않는 글자가 쓰인 것은 
   ‘ㅸ’이 포함된 ‘가야’이다

연서나 병서는 세종이 창제한 글자 28자에 들어가지 않는다.

- ㄱ 기역
- ㄴ 니은
- ㄷ 디귿
- ㄹ 리을
- ㅁ 미음
- ㅂ 비읍
- ㅅ 시옷
- ㅇ 이응
- ㅈ 지읒
- ㅊ 치읓
- ㅋ 키읔

- ㅌ 티읕
- ㅍ 피읖
- ㅎ 히읗



- 기역(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목구멍을 닫는 형상을 본떠 만든 것
- 훈민정음 문자의 수는 초성 17자, 중성 11자로 총 28자



초성 17자
ㄱ, ㅋ,  / ㄷ, ㅌ, ㄴ / ㅂ, ㅍ, ㅁ / ㅈ, ㅊ, ㅅ / , ㅎ, ㅇ / ㄹ, 

중성11자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 ㅡ, ㅣ

vs

모음의 개수 21개로 단모음(10개) 이중모음(11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북마크

인스타 언팔러들

순경 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