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정리 (지방직 기출)

문 1.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C-4)

There still remain many issues             even after her lifelong devotion to the poor and helpless in this obscure village.

① having resolved                 ② resolve
③ to be resolved                 ④ resolving

[정답③ to be resolved
[해설]
명사인 many issues 뒤에는 이 명사를 수식하는 수식어가 들어가야 한다. resolve는 타동사인데 밑줄 뒤에 목적어가 없이 even after ~ 라는 전치사구 즉 부사구가 있으므로 능동태가 아닌 수동태가 되어야 옳다따라서선택지 중 유일한 수동태인 to be resolved만 정답이 될 수 있다. to 부정사는 수식어 중 ‘미래’적인 의미를 가진다.
[어휘]
remain 남다계속 ~이다
lifelong 평생 동안의
devotion 헌신전념
obscure 잘 알려져 있지 않은무명의모호한
[포인트문법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미래적 의미)





※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문 5~문 6]

문 5. (C-5)

Yesterday at the swimming pool everything seemed to go wrong. Soon after I arrived, I sat on my sunglasses and broke them. But my worst moment came when I decided to climb up to the high diving tower to see how the view was like. Once I was up there, I realized that my friends were looking at me because they thought I was going to dive. I decided I was too afraid to dive from that height. So I climbed down the ladder, feeling very embarrassed.

[정답② how
[해설]
how the view was like에서 like은 전치사로서 뒤에 목적어를 취해야 한다따라서의문사가 바로 like의 목적어 역할을 해야 하는데의문부사인 how가 쓰일 수 없고 의문대명사인 what이 목적어 역할로 사용될 수 있다의문대명사는 주어목적어 역할을 할 수 있는 대명사이고의문부사는 말 그대로 부사이다.
[어휘]
like ~와 같이, ~처럼
height 높이
ladder 사다리
embarrassed 당황한쑥스러운
[포인트문법 전치사 like의 목적어로 의문대명사 what 사용





문 6.(C-6)

Chile is a Latin American country where throughout most of the twentieth century was marked by a relatively advanced liberal democracy on the one hand and only moderate economic growth, which forced it to become a food importer, on the other.

[정답① where
[해설]
선행사인 Latin American country 뒤에 where로 시작하는 관계절을 살펴보면 ‘throughout most of the twentieth century'가 부사로 삽입되어 있고 주어가 없이 동사인 was marked로 연결되어 있다주어가 없으므로 관계부사인 where이 아니라 주격관계대명사인 whichthat이 필요하다.


[어휘]
Chile 칠레
throughout ~에 걸쳐, ~도처에
relatively 상대적으로
liberal democracy 자유미주주의의
moderate 중간의보통의온건한
importer 수입국수입업자
… on the one hand, ~ on the other 한편으로는 … 다른 한편으로는 ~
[포인트문법 관계대명사 선택








문 7.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옮긴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C-8)

그녀가 나한테 전화했을  비로소 그녀가 사무실에 없다는 것을 나는 알았다.

① I did not realize that she was in her office even when she called me.
② She called and told me that she was not in her office.
③ I had not realized she was not in her office until she called me.
④ She did call me in order to let me know that she was not in her office.

[정답③ I had not realized she was not in her office until she called me.
[해설]
'B하고 나서야 A하다‘는 의미의 not A until B의 사용을 묻는 문제이다.
[포인트문법 - not until 표현 사용






문 8.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C-9)
① 비가 그치면 나는 외출할 것이다.
→ I will go out if the rain stops.
② 네가 집에 오면 나는 그것을 이미 끝냈을 것이다.
→ I will be finished it if you come home.
③ 내가 기다린 지 한 시간 만에 그가 나타났다.
→ I had waited for an hour before he appeared.
④ 그는 3년 후에 대학을 졸업할 것이다.
→ He will graduate from college in three years.

[정답
② 네가 집에 오면 나는 그것을 이미 끝냈을 것이다.
 -> I will be finished it if you come home.
[해설]
will be finished는 미래 수동태이다한글 내용은 전혀 수동태가 아니고 또한 미래 완료적인 의미이므로 미래완료 능동으로 변환해야 한다.

→ I will have finished it if you come home.이 옳다.
[포인트문법 시제






2.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A mutual aid group is a place (1)where an individual brings a problem and asks for assistance. As the group members offer help to the individual with the problem, they are also helping (2)themselves. Each group member can make associations to a similar (3)concern. This is one of the important ways in which (4)give help in a mutual aid group is a form of self-help.

① where                 ② themselves
③ concern                 ④ give

[정답
[해설] in which (전치사 관계대명사뒤의 절은 주어+동사+목적어/보어의 완벽한 구조를 갖춰야 한다따라서 give를 주어가 될 수 있는 동명사인 giving으로 바꾸는 것이 옳다.






3.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① 그는 마치 자신이 미국 사람인 것처럼 유창하게 영어로 말한다.
  He speaks English fluently as if he were an American.
② 우리 실패하면 어떻게 하지?
→ What if we should fail?
③ 만일 내일 비가 온다면나는 그냥 집에 있겠다.
→ If it rains tomorrow, Ill just stay at home.
④ 뉴턴이 없었다면 중력법칙은 발견되지 않았을 것이다.
→ If it was not for Newton, the law of gravitation would not be discovered.

[정답
[해설④ 뉴턴이 없었다면 중력법칙은 발견되지 않았을 것이다.
→ If it was not for Newton -> If it had not been for(~가 없었다면, 가정법 과거완료 문장의 if절)






4.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가장 잘 옮긴 것은?

그 회사의 마케팅 전략은 대금을 신용카드로 지불하는 것에 익숙한 소비자들을 겨냥하고 있다.

① The companys marketing strategy appeals to the consumers who are accustomed to pay bills by credit cards.
② Companys marketing strategy points toward the consumers who accustom to paying bills by credit cards.
 The companys marketing strategy appeals to the consumers who are accustomed to paying bills by credit cards.
④ Companys marketing strategy point toward the consumers who accustom to pay bills by credit cards.

[정답
[해설] be accustomed to(전치사) -ing/명사



10. 어법상 옳은 것은?

① Without plants to eat, animals must leave from their habitat.
② He arrived with Owen, who was weak and exhaust.
③ This team usually work late on Fridays.
④ Beside literature, we have to study history and philosophy.

[정답
① leave from their habitat -> leave their habitat
② exhaust -> exhausted
③ team이 집합명사로 복수취급 가능따라서 동사도 work라는 복수형태 가능
④ Beside literature -> Besides literature

leave from 아예 없는 단어
leave ~를 떠나다
Beside 옆에
Besides ~외에도






7. 밑줄 친 문장을 영어로 가장 적절히 옮긴 것은
China's government has talked about introducing a fully fledged tax on home ownership since 2003. What has stopped it? The logistical barriers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정 부는 누가 무엇을 소유하고 있는지, 또한 자산의 가치가 얼마인지 규명해야 한다. Fair valuations need expertise and independent judgment-both in short supply in China.

① The government must estimate who has which and how much properties. 
The government must clarify who owns what and what a property is worth. 
③ The government should decide whose property and what amount to tax. 
④ The government had to find out the ownership and valuation of properties.

[정답] ② [어휘] fully fledged 완전히 발달한, 필요한 자격을 다 갖춘 fair valuation 공정가치 expertise 전문지식

[해설] ② clarify는 ‘규명하다’를 의미하는 동사이고 ‘누가 무엇을 소유하다’는 의미의 명사절 은 who owns what이라는 완벽한 who명사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신의 가치가 얼마인 지’도 what a property is worth라는 what명사절로 올바르게 구성되어 있다. 결국 두 개의 명사절의 완벽한 형태를 취해야 하는데 명사절은 ‘명사절의 접속사 + 주어 + 동사 ~ ’형태 의 절을 말한다. 
① how much properties라는 명사구 뒤에 올바른 절의 형태가 갖춰져 있지 못하다. 
③ 역시 whose property와 what amount to tax등이 올바른 명사절을 갖추고 있지 않을뿐더 러 의미도 주어진 한글과 다르다. 
④ ‘누가 무엇을 소유하는지’나 ‘자산의 가치가 얼마인지’라는 내용이 ownership이나 valuation of properties라고 표현하기엔 의미의 차이가 크다. [문법포인트] 명사절 접속사






8.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① 그들은 지구상에서 진화한 가장 큰 동물인데, 공룡보다 훨씬 크다. → They are the largest animals ever to evolve on Earth, larger by far than the dinosaurs.
② 그녀는 나의 엄마가 그랬던 것만큼이나 아메리카 원주민이라는 용어를 좋아하지 않았다. → She didn't like the term Native American any more than my mother did. 
③ 우리가 자연에 대해 정보로 받아들이는 것의 4분의 3은 눈을 통해 우리 뇌로 들어온다. → Three-quarters of what we absorb in the way of information about nature comes into our brains via our eyes. 
④ 많은 의사들이 의학에서의 모든 최신의 발전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한 다. → The number of doctors study hard in order that they can keep abreast of all the latest developments in medicine.

[정답] ④ [어휘] evolve 발달하다, 진화하다 not A any more than B (양자부정) A도 B도 아니다 via ~을 통하여 the number of ~의 수 in order that ~하기 위하여 keep abreast ~에 뒤지지 않고 따라가다 the latest 최신의 것 

[해설] ④ ‘많은’의 의미는 The number of~ (~의 수)가 아닌 A number of라고 써야 한다.  
① 최상급인 the largest와 비교급 비교표현인 by far가 larger를 올바르게 수식하고 있다. [문법포인트. 최상급/비교급 수식표현] 
② 비교급의 표현으로서 부정문에서 any more than으로 쓰면 ‘~마찬가지로 ...아니다’를 의 미한다. [비교급] 
③ 4분의 3을 말하는 Three-quarters의 뒤에 전치사 of를 취하면 뒤에 나오는 명사가 동사 의 시제를 좌우하는 주어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치사 of뒤에 나오는 what명사절이 주어 이므로 동사도 단수인 comes의 형태로 사용된 것이다. [주어-동사 수 일치]







9.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① George has not completed the assignment yet, and mark hasn't either. 

② My sister was upset last night because she had to do too many homeworks. 

③ If he had taken more money out of the bank, he could have bought the shoes. 

④ It was so quiet in the room that I could hear the leaves being blown off the trees outside.

[정답] ② [어휘] assignment 과제, 임무 blown off 날려 보내다 

[해석] 
① George는 아직 과제물을 끝내지 못했는데, 그건 Mark도 마찬가지였다. 
② 누나는 해야 할 숙제가 너무 많아서 어젯밤 화가 났다. 
③ 그가 은행에서 더 많은 돈을 찾았더라면, 그 신발을 살 수 있었을 텐데. 
④ 방 안이 너무나도 조용해서 나는 밖에서 나뭇잎들이 바람에 날려 떨어지는 소리도 들을 수 있었다.

 [해설] ② many homeworks → much homework: homework는 불가산명사이므로 복수형 어 미인 -s를 붙일 수 없고 셀 수 있는 명사의 ‘많은’을 의미하는 many를 쓸 수 없으므로 much homework로 써야 한다. 

[문법포인트. 절대 불가산 명사] 
① 부정문에서 ‘또한’을 의미하는 표현은 too가 아니라 either이다. 
③ 가정법 과거완료시제의 If절과 주절의 형태가 잘 구성되어 있다. [문법포인트. 가정법 과 거완료] 
④ so 형용사/부사 that S + V ~의 구문이 올바른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문법포인트. 부 사절 접속사]








12.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A Caucasian territory ①whose inhabitants have resisted Russian rule almost since its beginnings in the late 18th century has been the center of the incessant political turmoil. It was eventually pacified by the Russians only in 1859, ②though sporadic uprisings continued until the collapse of Tsarist Russia in 1917. Together with Ingushnya, it formed part of the Soviet Union as an Autonomous Soviet Republic within Russian from 1936. Continuing uprising against Russian/Soviet rule,the last was in 1934, caused the anger of Stalin. In retaliation, he dissolved Chechnyan autonomy in 1944, and ordered the deportation of the ethnic Chechnyan population to Central Asia, in which half of the population died. They were not allowed ④to return to their homeland until 1957, when Khrushchev restored an autonomous status for Chechnya.

[정답] ③ [어휘] Caucasian 백인 territory 영토, 지역 inhabitant 주민 beginning 초, 시작, 출발 incessant 끊임없는, 쉴 새 없는 turmoil 혼란, 소동 pacify 진정시키다, 달래다 sporadic 산발적인 uprising 봉기, 반란, 폭동 in retaliation 보복으로 dissolve 녹이다 deportation 강제 이주, 국외 추방 ethnic 민족의 homeland 고국, 조국 restore 회복시키다 

[해석] 거주민들이 러시아의 통치에 저항해 온 코카서스 영토는 거의 18세기 후반에 저항이 시작 된 이래로 끊임없는 정치적 혼란의 중심지였다. 그곳은 1859년에 러시아인들에 의해 결국 평정되긴 했지만, 1917년 제정 러시아가 붕괴될 때까지 산발적인 반란들이 계속되었다. Ingushnya와 함께 그곳은 1936년부터 러시아 내에 있는 소비에트 자치 공화국으로서 소련 연합의 일부를 형성했다. 러시아/소비에트의 통치에 반대하는 지속적인 반란은, 1934년에 마지막으로 있었는데, 스탈린의 분노를 샀다. 보복으로 그는 1944년에 체첸 공화국의 자치 권을 종식시키고, 소수 민족인 체첸 공화국 사람들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키도록 명령 했으며, 그곳에서 절반이 사망했다. 그들은 흐루시초프가 체첸 공화국의 자치적 지위를 회 복시켜 준 1957년까지 자신들의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해설] ③ 주어인 Continuing uprising against Russian/Soviet rule과 동사인 caused 사이에 두 개의 컴마(,)의 형태로 절이 삽입된 형태이다. 따라서 문장의 주절과 삽입절이라는 두 개 의 절의 형태를 취하는데 그 사이에 접속사가 없으므로 옳지 못한 형태인 것이다. 따라서 접속사 기능을 하는 관계대명사 which를 넣어서 the last of which라고 쓰면 적합하다. 

① 선행명사인 A Caucasian territory(코카서스 영토)와 관계절의 주어인 inhabitants(거주민들)의 관계는 소유격으로 표현하는 의미상 가장 적합하고, 형태상으로 보면 관계대명사 소 유격 뒤에는 주어, 동사, 목적어/보어가 빠짐없는 절의 형태로 보이나 주어인 명사의 한정사 가 없는 것으로 보아 관계대명사 소유격이 가장 적합하다. [문법포인트. 관계대명사의 선택] ② though의 뒤에 주어인 sporadic uprisings과 동사인 continued, 즉 절의 형태가 등장했으 므로 접속사인 though가 적합하다. [문법포인트. 부사구 vs. 부사절] 

④ 수동태의 뒤에서 주어에 대한 보어역할을 할 때 동사는 to부정사의 형태를 취하므로 to return이 적합한 형태이다. [문법포인트. 동사유형별 수동태]



  5. 밑줄 친 우리말 문장을 영어로 가장 적절하게 옮긴 것은?
             
Goods for which the marginal costs are close to zero are inherently public goods and should be made publicly available. Bridges and roads are good examples. Once society has incurred the capital costs of constructing a bridge or road, maximum benefit from the initial investment is gained only if use is not restricted by charging. 따라서 사람들은 무료로 그러한 시설들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① Therefore, people freely such facilities must be able to use.
② Hence, people should be allowed free access to such facilities.
③ Therefore, people must make access to such facilities without charging.
④ Hence, people should be given freedom to such facilities' accession.

[문제유형문법                 [난이도
[해설② 사람들이 무료로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이 된다는 의미이므로 수동태 문장이 적합하다‘주어 + should allow people free access to such facilities’의 수동태 형태로서people should be allowed free access to such facilities가 적합하다.
① 주어(people)와 동사(must be able to use) 사이에 목적어가 위치한 틀린 문장이다.
③ must make access라고 능동의 의미로 되면 ‘사람들은 시설을 이용해야 한다’는 의미가 되므로 의미가 주어진 우리말과 다르다.
④ access to such facilities라고 써야 ‘그러한 시설들에 대한 이용’의 의미가 된다. such facilities' accession은 ‘그러한 시설들의 접근’이라는 의미이므로 주어진 우리말과 다르다.
[어휘]
marginal cost 한계 비용
inherently 본질적으로선천적으로
incur 발생시키다
facility 시설
accession 취임즉위
[해석]
한계 비용이 0에 가까운 재화는 본질적으로 공공재이며공공연하게 이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교량과 도로가 좋은 예이다일단 사회가 교량이나 도로를 건설하는 자본 비용을 발생시켰다면초기 투자로부터 얻는 최대의 혜택은 사용이 유료로 제한되지 않아야만 얻어진다.
[정답






문 12. 다음 중 어법상 옳은 것은?
              ① Many a careless walker was killed in the street.
              ② Each officer must perform their duties efficient.
              ③ However you may try hard, you cannot carry it out.
              ④ German shepherd dogs are smart, alert, and loyalty.

[문제유형문법                 [난이도
[어휘]
carry out 수행하다
alert 기민한민첩한
loyalty 충실충성
[해석]
① 조심성 없이 걷던 많은 사람들이 거리에서 죽었다.
② 각 장교는 자신의 임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③ 당신이 아무리 열심히 시도하더라도 그것을 수행할 수 없다.
④ 독일 개 셰퍼드는 영리하고민첩하며충실하다.


[해설① [문법포인트주어-동사 수 일치many a'는 ’많은‘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뒤에 단수명사와 단수동사를 취하는 문법원칙에 따라 단수동사인 was가 적합하다또한 kill의 대상인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인 was killed가 맞다.  
② [문법포인트명사-대명사 수 일치/형용사 vs. 부사주어인 each officer는 단수의 대상이므로 이를 대신하는 대명사도 역시 단수형이 되어야 한다따라서 복수형인 their가 틀렸고 his or her로 바꿔써야 한다또한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가 적합하지 형용사인 efficient는 적합지 않다‘효율적으로’를 의미하는 부사인 efficiently로 써야 한다.
③ [문법포인트양보의 부사절] However는 다른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할 때 수식받는 형용사나 부사와 바로 연결되어 쓰여야 하므로 However you may try hard가 틀렸고However hard you may try라고 써야 한다.
④ [문법포인트등위접속사의 병렬관계형용사인 smart와 alert가 컴마(,)로 연결되어 있고 접속사 and 뒤에도 병렬관계로서 형용사가 되어야 하므로 명사인 loyalty가 틀렸고 형용사인loyal로 써야 한다.
[정답

※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문 13 ~ 문 15]

문 13.  A tenth of the automobiles in this district alone _______ stolen last year.

              ① was
              ② had been
              ③ were
              ④ have been

[문제유형문법                 [난이도
[해석]
작년에 이 지역에서만 자동차의 10분의 1이 도난당했다.
[문법포인트주어-동사 수 일치/시간의 부사와 동사의 시제판단
[해설동사의 형태를 묻는 문제이다.
주어가 ‘분수 of + 명사’의 형태일 경우 그 명사에 동사를 수일치 하므로 automobiles라는 복수명사에 대해 복수형의 동사인 were 또는 have가 적합하다.
또한 last year라는 시간의 부사는 과거시제와 사용하므로 were가 적합하다.
[정답





2. 다음 중 어법상 옳은 것은?
① She supposed to phone me last night, but she didn't.
② I have been knowing Jose until I was seven.
③ You'd better to go now or you'll be late.
④ Sarah would be offended if I didn't go to her party.

[정답
[해설④ if절에 과거동사가 사용된 가정법 과거 문장이므로 주절은 조동사의 과거형인 would와 동사원형인 be가 올바르게 사용되었다. offend는 타동사이므로 뒤에 목적어없이 수동의 의미로 수동태가 사용되었다. [문법포인트가정법 과거완료]
① suppose는 타동사로서 뒤에 목적어 없이  to부정사의 보어만 있는 것으로 볼 때 동사가 수동태로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따라서 was supposed라고 써야 한다또한 ‘~하기로 되어 있다’를 의미하는 ‘be supposed to ~’ 표현은 익숙한 것이라 be동사가 빠진 것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문법포인트능동태 vs. 수동태 판단]
② know는 ‘알다’를 의미하여 인지나 지각의 상태를 말하므로 동작의 동사에 대해 사용하는 진행형을 사용하지 않는다따라서 진행형이 아닌 ‘I had known ~’으로 쓰는 것이 적합하다. [문법포인트진행형 불가동사
③ ‘had better'는 뒤에 동사원형을 취하므로 to go가 아닌 go라고 써야 한다. [문법포인트기타 조동사]

[해석① 그녀는 지난밤에 내개 전화하기로 되어있었는데하지 않았다.
              ② 일곱 살 때 이후로 나는 Jose와 알고 지낸다.
              ③ 넌 지금 가는 편이 낫겠어그렇지 않으면 늦을 거야.
              ④ 내가 파티에 가지 않으면 Sarah는 기분이 상할텐데.


3. 우리말을 영어로 옮긴 것 중 가장 어색한 것은?
① 제인은 보기만큼 젊지 않다
→  Jane is not as young as she looks.
② 전화하는 것이 편지 쓰는 것보다 더 쉽다
→  It's easier to make a phone call than to write a letter.
③ 너는 나보다 돈이 많다
→  You have more money than I.
④ 당신 아들 머리는 당신 머리와 같은 색깔이다
→  Your son's hair is the same color as you.

[정답
[해설④ 비교하는 두 대상이 Your son's hair와 your hair가 되어야 하므로 as you에서 주격 대명사인 you 대신 your hair를 대신하는 소유 대명사인 yours라고 써야 한다. [문법포인트비교 대상의 일치]
① 'as 형용사 원급 as'가 사용된 원급비교의 문장이다. Jane is not as young as she looks young에서 중복된 young을 생략하고 구성된 올바른 문장이다. [문법포인트원급 비교]
② 비교급 비교가 사용된 문장으로가주어 it에 대하여 to make a phone call과 to write a letter를 비교하고 있다이 두 비교 대상의 형태가 일치하므로 올바른 문장이다. [문법포인트비교급 비교]
③ 역시 비교급 비교가 사용된 문장으로, You have more money than I have much money에서 주절과 중복된 형태인 have much money가 생략된 올바른 문장이다. [문법포인트비교급 비교]






5. 다음 글의 (A), (B), (C)에서 어법상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Pattern books contain stories that make use of repeated phrases, refrains, and sometimes rhymes. In addition, pattern books frequently contain pictures (A) [that/what] may facilitate story comprehension. The predictable patterns allow beginning second language readers to become involved (B) [immediate/immediately] in a literacy event in their second language. Moreover, the use of pattern books (C) [meet/meets] the criteria for literacy scaffolds by modeling reading, by challenging students' current level of linguistic competence, and by assisting comprehension through the repetition of a simple sentence pattern.

                       (A)                          (B)                          (C) 
              ① that immediate              meet
              ② what immediately            meets
              ③ that immediately            meets
              ④ what immediate              meet

[정답
[해설] (A) 앞에 위치한 명사인 pictures가 선행사임을 파악할 수 있다따라서 이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인 that이 적합하다. what은 명사절 접속사로서 문장에서 주어목적어또는 보어의 역할을 하므로 이 문장에서는 적합지 않다. [문법포인트관계대명사 vs what]
(B) 앞선 become involved라는 동사구를 수식하므로 부사인 immediately가 적합하다. [문법포인트형용사 vs. 부사]    
(C) 주어가 the use라는 단수의 형태이므로 동사도 단수형인 meets가 되어야 한다. [문법포인트.주어-동사 수 일치]



9. 우리말을 영어로 옮긴 것 중 가장 어색한 것은?
① 그녀는 젊었을 때 더 열심히 일하지 않았던 것을 후회한다.
→  She regrets not having worked harder in her youth.
② 그는 경험과 지식을 둘 다 겸비한 사람이다
→  He is a man of both experience and knowledge.
③ 분노는 정상적이고 건강한 감정이다
→  Anger is a normal and healthy emotion.
④ 어떤 상황에서도 너는 이곳을 떠나면 안 된다
→  Under no circumstances you should not leave here.

[정답
[해설④ Under no circumstances는 ‘어떤 상황에서 아닌’을 의미하는 부정부사구로서 강조를 위해 문장의 앞에 위치하면 뒤에 주어와 동사가 도치되어 ‘동사+주어’의 어순을 취한다따라서 should you leave ~라고 써야 한다. [문법포인트도치]
① 타동사 regret은 뒤에 동명사 형태의 목적어를 취하면 ‘~했던 것을 후회하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regrets라는 동사의 형태가 현재이므로 현재의 후회를 의미하는 데 젊었을 때 열심히 일하지 않았던 과거 사건을 설명하므로 동명사의 완료형태로 having p.p.가 올바르게 사용된 문장이다. [문법포인트기억동사/준동사의 형태변화]
② 전치사구인 of ~이하가 앞선 명사인 a man을 수식하는 명사 수식의 용법인 형용사적 용법으로 사용되었다. [문법포인트전치사구의 역할]
③ ‘건강한’을 의미하는 healthy 형용사가 올바르게 사용되었고 두 개의 형용사가 접속사 and를 통해 병렬연결되어 명사인 emotion을 수식하고 있다.







※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문 4~문 5] 

문 4. 

① 오늘 밤 나는 영화 보러 가기보다는 집에서 쉬고 싶다. → I'd rather relax at home than going to the movies tonight. 
② 경찰은 집안 문제에 대해서는 개입하기를 무척 꺼린다. → The police are very unwilling to interfere in family problems. 
③ 네가 통제하지 못하는 과거의 일을 걱정해봐야 소용없다. → It's no use worrying about past events over which you have no control. 
④ 내가 자주 열쇠를 엉뚱한 곳에 두어서 내 비서가 나를 위해 여분의 열쇠를 갖고 다닌다. → I misplace my keys so often that my secretary carries spare ones for me.

[정답] ① 
[해설] 

① would rather A than B B보다 차라리 A를 하는 편이 낫다 (A와 B는 원형 부정사) = had better A than B (A와 B는 원형 부정사) 위와 같이 A와 B를 비교하는 병렬구문에서 A와 B의 형태는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going 은 go의 동사원형인 형태가 되어야 한다. (going → go) [문법포인트. 비교대상의 일치]

② be willing to “기꺼이 ~하다”, be unwilling to “~하기를 꺼리다” 이때 be unwilling to의 to는 to부정사이므로 뒤에 동사원형을 취한 것이 옳다. interfere는 자동사로서 ‘~에 개입하다’가 되려면 전치사 in이 있어야 한다. 

③ “~해야 소용없다"를 의미하는 동명사의 관용 표현인 It’s no use ~ing가 올바르게 사용 되었다.  [문법포인트. 준동사 사용 주요표현] 

④ “너무 ~해서 ~하다”를 의미하는 so+형용사/부사 that~ 구문이 올바르게 사용되었다. ones는 앞의 keys를 받는 것인데, 바로 그 열쇠가 아니라, 여분의 다른 열쇠를 의미하므로 ones가 되어야 한다. 


문 5. 

① 그녀가 어리석은 계획을 포기하도록 설득해 줄래요? → Can you talk her out of her foolish plan? 
② 그녀의 어머니에 대해서는 나도 너만큼 아는 것이 없다. → I know no more than you don't about her mother. ③ 그의 군대는 거의 2대 1로 수적 열세였다. → His army was outnumbered almost two to one.
④ 같은 나이의 두 소녀라고 해서 반드시 생각이 같은 것은 아니다. → Two girls of an age are not always of a mind.

[정답] ②

[해설] 
① talk A out of B는 “A를 설득해서 B를 그만두게 하다”를 의미하는 표현이다. 
② A no more B than C D는 "C가 D가 아니듯 A도 B가 아니다"를 의미하는 양자부정의 표현이다. 이때 than 이후는 부정의 의미지만 부정부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you don't about her mother를 you know/do about her mother로 바꿔 써야 한다. [문법포인 트. 비교급 사용 주요표현] 
③ outnumber는 완전 타동사로 “~보다 수가 더 많다”의 의미이다. 이 문장에서는 수동태 가 되어 “~보다 열세이다”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뒤의 two to one은 부사구로서 by two to one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문법포인트. 능동태 vs. 수동태 구분]
④ a/an이 ‘동등한, 같은’의 의미가 있어, Two girls of an age는 two girls of the same age의 의미이다. not~ always~는 부분부정으로 ‘반드시 ~한 것은 아니다’의 의미이다. [문 법포인트. 부정관사 a의 용법/부분부정 vs. 전체부정]


※ 어법상 옳은 것을 고르시오. [문 15~문 16]

문 15. ① That place is fantastic whether you like swimming or to walk. ② She suggested going out for dinner after the meeting. ③ The dancer that I told you about her is coming to town. ④ If she took the medicine last night, she would have been better today.

[정답] ② 

[해설] 
① like의 목적어로 '~하기를 좋아한다'를 의미할 때는 동명사를 취한다. 이 문장에서는 등 위접속사 or가 사용된 A or B의 병렬 구조이므로 to부정사인 to walk는 동명사인 walking 이 되어야 한다. [문법포인트. 등위접속사의 병렬구조] 

② suggest가 3형식 동사로 뒤에 동작의 목적어를 취할 때 동명사가 와야 한다. [문법포인 트. to부정사/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완전타동사] 

③ 선행사인 the dancer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목적격 that으로 시작하는 관계절에서 전 치사 about의 목적어는 바로 관계대명사 목적격인 that이므로 목적어인 her가 중복되어 문 법적으로 틀린 문장이다. 따라서 her가 없어야 한다. [문법포인트. 관계대명사의 선택] 

④ last night/today에 근거하여 “과거에 ~했었다면, 오늘은 ~할텐데”의 가정법 혼합시제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앞의 if문장은 가정법 과거완료 형태를 써야하므로 동사 took을 had taken으로 고쳐야하며, 뒤의 주절은 가정법 과거 형태이므로 would have been이 아닌 would be로 써야 한다. [문법포인트. 가정법 혼합시제]





문 16. ① The poor woman couldn't afford to get a smartphone. ② I am used to get up early everyday. ③ The number of fires that occur in the city are growing every year. ④ Bill supposes that Mary is married, isn't he?

[정답] ① 

[해석] 
① 그 가난한 여자는 스마트 폰을 구입할 형편이 안 되었다. 
② 나는 매일 일찍 일어나는 것에 익숙하다. 
③ 도시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숫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중이다. ④ Bill은 Mary가 기혼자라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아? 

[해설] 
① “~할 여유가 없다”는 cannot afford+to부정사의 형태로 표현하므로 to get의 형태가 적절하다. 
② “~에 익숙하다”를 의미하는 표현인 be used to에서 to는 to부정사가 아닌 전치사이므로 뒤에는 목적어로 동명사가 적합하다. 따라서 get을 동명사 형태인 getting으로 써야 한다. [문법포인트. 기타조동사] 
③ The number of ~ 는 "~의 숫자"를 의미하며 주어는 the number로 단수형이므로 동사 인 are도 단수형 동사인 is가 되어야 한다. 선행사 fires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that으로 시작하는 관계절의 동사 occur는 복수형으로 바르게 쓰였다.  [문법포인트. 주어-동사 수 일 치] 
④ 부가의문문의 형태를 완성하는 문제이다. 부가의문문의 앞에 제시된 문장의 주어는 Bill 이고 동사는 일반동사인 supposes이므로 doesn't he라고 써야 한다. 주의할 점은 주어가 1 인칭이고 생각동사인 suppose가 사용될 경우 주절이 아닌 종속절의 주어와 동사를 기준으 로 부가의문문을 구성한다는 것인데, 이 문장에서는 주어가 1인칭인 I가 아니라 Bill이라는 3인칭이므로 Bill supposes가 부가의문문을 구성할 때 기준이 되는 문장이라는 것이다. [문 법포인트. 부가의문문의 선택]


문  6.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① You might think that just eating a lot of vegetables will keep you perfectly healthy. 
② Academic knowledge isn't always that leads you to make right decisions. 
③ The fear of getting hurt didn't prevent him from engaging in reckless behaviors. 
④ Julie's doctor told her to stop eating so many processed foods.

6. 

[정답] ② 

[어휘] academic knowledge 학문적 지식 engage in 가담하다, 참여하다 reckless 무모한 processed food 가공 식품 
[해석] 
① 당신은 단지 많은 채소를 먹는 것만으로도 당신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 할지도 모른다. 
② 학문적 지식이 늘 당신이 옳은 결정을 하도록 이끌어 주진 않는다. 
③ 다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그가 무모한 행동에 가담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④ Julie의 주치의는 그녀에게 가공식품을 많이 먹는 것을 멈추라고 말했다. 

[해설] 
②[문법포인트] 명사절 접속사의 선택, 부분부정 vs. 전체부정 동사 isn’t의 뒤에 보어로 쓰인 that절은 명사절이다. 명사절 접속사 that은 완전한 절을, 명사절 접속사 what은 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빠진 불완전한 절을 이끌어야 하므로 that은 what으로 고쳐야 옳다. (that → what) 전체를 나타내는 표현 always와 부정어 not 이 함께 쓰여 ‘언제나 ~인 것은 아니다’를 나타내는 부분부정은 옳게 쓰였다.  
① [문법포인트] 불완전타동사의 목적보어 동사 keep의 목적보어로 형용사 형태인 healthy가 바르게 쓰였다. 부사 perfectly는 형용사 healthy를 수식하고 있다. 
③ [문법포인트] 완전타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주요 전치사 ~가 ...하는 것을 막다, 예방하다의 의미로 ‘prevent + 목적어 + from –ing’가 바르게 쓰였 다. 
④ [문법포인트] ‘말하다’ 동사 tell이 to부정사를 목적보어로 갖는 5형식 동사로 바르게 쓰였다.


문  7. 어법상 옳은 것은? 
① The oceans contain many forms of life that has not yet been discovered. 
② The rings of Saturn are so distant to be seen from Earth without a telescope. 
③ The Aswan High Dam has been protected Egypt from the famines of its neighboring countries. 
④ Included in this series is “The Enchanted Horse,” among other famous children's stories.

7. [정답] ④ 
[어휘] contain 함유하다 form of life 생물(체) Saturn 토성 telescope 망원경 famine 기 근, 굶주림 neighboring country 인접 국가, 이웃 국가 children’s story 동화
[해석] 
① 바다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많은 종류의 (해양)생물을 함유하고 있다. 
② 토성의 고리들은 지구에서 망원경 없이 보기에는 너무 멀리 있다. 
③ 아스완 하이댐은 이웃 국가들의 기근으로부터 이집트를 보호해 왔다. 
④ “마법의 말”은 다른 유명한 동화 중 이 시리즈에 포함되어 있다. 

[해설] 
④ [문법포인트] 도치 보어인 included가 문두에 오고 주어와 동사가 도치된 형태이다. 주어가 “The Enchanted Horse”라는 작품의 이름이고, 동사가 단수형태 is로 바르게 쓰였다. 
① [문법포인트] 주어-동사 수 일치 주격 관계대명사 that에 대한 선행사는 life가 아닌 생물체를 뜻하는 form of life의 복수형

인 many forms of life이므로 관계대명사 that에 이어지는 동사 has는 복수형태인 have로 고쳐야 옳다. (has → have) ② [문법포인트] to부정사의 부사 역할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라는 의미를 표현할 때는 so that구문 또는 too ~ to구문을 사 용한다. so 와 to부정사는 호응하지 못하므로 so distant를 too distant로 고쳐야 한다. (so → too) ③ [문법포인트] 능동태 vs. 수동태 구분 수여동사가 아닌 이상 수동태 뒤에 목적어가 위치할 수 없다. 동사 protect 뒤로 Egypt라는 목적어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수동의 의미가 아닌 능동의 의미이므로 능동태로 고쳐써 야 한다. (has been protected → has protected)



※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문 13~문 14] 
문 13. 
① 나는 매달 두세 번 그에게 전화하기로 규칙을 세웠다. →I made it a rule to call him two or three times a month. 
② 그는 나의 팔을 붙잡고 도움을 요청했다. →He grabbed me by the arm and asked for help. 
③ 폭우로 인해 그 강은 120cm 상승했다. →Owing to the heavy rain, the river has risen by 120cm. 
④ 나는 눈 오는 날 밖에 나가는 것보다 집에 있는 것을 더 좋아한다 . →I prefer to staying home than to going out on a snowy day.

13. [정답] ④ 

[어휘] grab 붙잡다 ask for 요청하다 

[해설] 
④ [문법포인트] ‘~보다 ...를 더 좋아하다’의 의미로 prefer 동사를 사용할 때는 ‘prefer to부정사 rather than to 동사원형’ 또는 ‘prefer (동)명사 to (동)명사’ 형태로 쓴 다. 따라서 to staying home than to going을 to stay home rather than to go 또는 staying home to going으로 고쳐야 옳다. (to staying home than to going → to stay home rather than (to) go / staying home to going) 
① [문법포인트] 준동사 주요표현 ‘~하는 것을 규칙으로 삼다’를 의미하는 ‘make it a rule to 부정사’라는 표현이 바르게 쓰 였다. 
② [문법포인트] 정관사 the의 용법 ‘동사 + 목적어(사람) + 전치사 + the + 신체부위’라는 정관사의 주요 용법대로 접촉 동사 grab의 목적어로 me가 쓰였을 때, 전치사 by 뒤에 the + arm이 바르게 쓰였다. 
③ [문법포인트] 전치사, 부사절 vs. 부사구, 혼동하기 쉬운 동사의 불규칙 변화 ‘~만큼’이라는 차이를 의미하는 전치사 by가 옳게 쓰였다. 전치사 owing to 뒤로 절이 아닌 명사구 the heavy rain이 바르게 쓰였다. 상승하다, 오르다의 의미를 가진 자동사 rise가 과거분사의 형태로 바르게 쓰였다. 



문 14. 
① 그를 당황하게 한 것은 그녀의 거절이 아니라 그녀의 무례함이었다. →It was not her refusal but her rudeness that perplexed him. 
② 부모는 아이들 앞에서 그들의 말과 행동에 대해 아무리 신중해도 지나치지 않다. →Parents cannot be too careful about their words and actions before their children. 
③ 환자들과 부상자들을 돌보기 위해 더 많은 의사가 필요했다. →More doctors were required to tend sick and wounded. 
④ 설상가상으로, 또 다른 태풍이 곧 올 것이라는 보도가 있다. →To make matters worse, there is a report that another typhoon will arrive soon.

14. [정답] ③ 

[어휘] refusal 거절 rudeness 무례함 perplex 당혹하게 하다 the sick 환자들 the wounded 부상자들 to make matters worse 설상가상으로 

[해설] ③ [문법포인트] 정관사 the의 용법 돌보다를 의미하는 동사 tend의 뒤에 목적어로 형용사가 쓰일 수 없다. 우리말 의미를 봐도 ‘환자들과 부상자들’이라는 명사의 목적어이므로 ‘~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복수보통명사를 구성할 수 있는 ‘the + 형용사/분사’로 바꿔써야 한다. 따라서 형용사 sick과 wounded 앞 에 정관사 the를 붙여야 한다. (sick and wounded → the sick and the wounded) 

① [문법포인트] 등위상관접속사의 병렬구조 it that 강조구문으로 주어를 강조하는 문장이다. ‘not A but B’로 ‘A가 아니라 B인’을 의미 하며, A와 B에 명사가 병렬 구조를 이루고 있다. 

② [문법포인트] 기타 주요 조동사 ‘아무리 ~해도 지나치지 않다’를 의미하는 ‘cannot ... too ~’의 형태대로 바르게 쓰였다. 

④ [문법포인트] 주어-동사 수 일치‘there + 동사 + 주어’의 어순에 유의하여 단수 주어인 a report의 수에 맞춰 단수 동사 is 가 바르게 쓰였다. 완전한 절을 이끄는 that절은 동격절로 a report와 동격을 이룬다. ‘설상 가상으로’를 의미하는 to make matters worse라는 표현도 올바르게 쓰였다.


문 3.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I am writing in response to your request of a reference for Mrs. Ferrer. She has worked as my secretary ① for the last three years and has been an excellent employee. I believe that she meets all the requirements ② mentioned in your job description and indeed exceeds them in many ways. I have never had reason ③ to doubt her complete integrity. I would, therefore, recommend Mrs. Ferrer for the post ④ what you advertise.

[정답
[해설④ [출제포인트관계대명사 vs. what : what절은 형용사절이 아니라 명사절이므로 선행사를 가지지 않는다반면 관계대명사는 선행사즉 앞선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이다. what 앞에 post라는 선행사가 있으므로 관계대명사로 고쳐야 한다선행사가 사물이므로 that이나which가 바르다. (what → that / which)
① [출제포인트시간의 부사와 시제판단 : for 뒤에 시간의 표현이 와서 ‘지난 3년간’이라는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이것이 has worked라는 현재완료 시제와 호응하여 바르게 사용되었다.
② [출제포인트현재분사 vs. 과거분사 : mentioned라는 과거 분사가 앞에 나온 명사인requirements를 수식하고 있다. mention이 타동사인데 목적어가 없는 것으로 보아또한 의미상 ‘언급된 요구사항’이라는 수동의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아 과거분사가 바르다.
③ [출제포인트] to부정사의 형용사 역할 명사인 reason을 to부정사인 to doubt가 수식하여 ‘의심할 이유’의 의미를 갖고 있다. to부정사이므로 to의 뒤에 동사원형이 옳게 쓰였다.


문 4.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① 모든 정보는 거짓이었다.
 → All of the information was false.
② 토마스는 더 일찍 사과했어야 했다.
 → Thomas should have apologized earlier.
③ 우리가 도착했을 때 영화는 이미 시작했었다.
 → The movie had already started when we arrived
④ 바깥 날씨가 추웠기 때문에 나는 차를 마시려 물을 끓였다.
 → Being cold outside, I boiled some water to have tea.

[정답
[해설④ [출제포인트분사구문 : Being cold outside의 경우날씨를 나타내는 비인칭 주어인 it이 주어이다이는 주절의 주어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주어를 생략할 수 없다. Because it was cold outside~가 분사구문이 된 형태로 볼 수 있다. (Being cold outside → It being cold outside)
① [출제포인트절대 불가산명사주어-동사 수 일치 : All of 뒤에 절대불가산 명사 information이 온 것으로 보아 all 역시 information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단수취급을 해야 한다. was라는 단수동사가 바르게 쓰였다.

② [출제포인트조동사+have p.p. : should have p,p,는 ‘~했어야 했다’를 의미하는 표현이다.바르게 사용되었다.
③ [출제포인트과거분사 부사인 already를 통해 주절의 시제가 when 부사절보다 이전에 일어난 사건임을 알 수 있으므로 had started라는 대과거를 사용했다.

문 7. 어법상 옳은 것은?
① Please contact to me at the email address I gave you last week.
② Were it not for water, all living creatures on earth would be extinct.
③ The laptop allows people who is away from their offices to continue to work.
④ The more they attempted to explain their mistakes, the worst their story sounded.

[정답
[해석]
① 제가 지난주에 드렸던 이메일 주소로 저에게 연락해주세요
② 물이 없다면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들은 멸종할 것이다.
③ 노트북 컴퓨터는 사무실 밖에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일을 계속 하도록 한다.
④ 그들이 자신들의 실수에 대해 설명하려 더욱 노력하면 할수록 그들의 이야기는 더욱 더 나쁘게 들렸다.
[해설② [출제포인트~이 없다면’ 가정법 : If it were not for ~ 또는 If를 생략한 Were it not for ~는 현재에 존재하는 것을 존재하지 않았다면 어찌되었을까를 가정하는 ‘~이 없다면’ 가정법으로 가정법 과거의 조건절이다주절의 would be ~를 보아 가정법 과거가 바르게 쓰였음을 알 수 있다.
① [출제포인트전치사를 취할 수 없는 완전타동사 : contact는 완전타동사이므로 뒤에 전치사 없이 목적어인 me가 바로 와야 한다. (contact to me → contact me)
③ [출제포인트주어-동사 수 일치 / to부정사를 목적격보어로 취하는 불완전타동사 : who ~ offices는 people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절이다관계대명사 who의 선행사가 people로 복수이므로 동사 역시 복수 형태인 are가 되어야 한다. allow는 to부정사를 목적격보어로 취하는 불완전타동사로 목적어 people과 목적격보어 to continue가 바르게 쓰였다. (who is → who are)  
④ [출제포인트] the 비교급, the 비교급 the 비교급, the 비교급⌟은 ‘~하면 할수록 더욱 더 ~하다’를 의미하는 표현이다양쪽 모두 비교급을 써야 하므로 최상급인 worst는 비교급으로 고쳐야 한다. (the worst → the worse)


문 8. 우리말을 영어로 옳게 옮긴 것은?
① 그는 며칠 전에 친구를 배웅하기 위해 역으로 갔다.
 → He went to the station a few days ago to see off his friend.
② 버릇없는 그 소년은 아버지가 부르는 것을 못 들은 체했다.
 → The spoiled boy made it believe he didnt hear his father calling.
③ 나는 버팔로에 가본 적이 없어서 그곳에 가기를 고대하고 있다.
 → I have never been to Buffalo, so I am looking forward to go there.
④ 나는 아직 오늘 신문을 못 읽었어뭐 재미있는 것 있니?
 → I have not read todays newspaper yet. Is there anything interested in it?

[정답
[해설① [출제포인트시간의 부사와 시제 판단 / to부정사의 부사 역할 : ago는 과거를 나타내는 시간의 표현이므로 과거시제인 went와 바르게 호응하여 사용되었다. to see off ~는 목적을 나타내는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으로 ‘~을 하기 위하여’를 의미한다.
② make believe (that)는 ‘인체 하다’를 나타내는 표현이다뒤의 that은 생략할 수 있다따라서 it을 빼야 한다. (made it believe → made believe)
③ [출제포인트준동사 주요표현 : look forward to ~ing의 형태이다. to는 전치사이므로 뒤에 동명사가 온다. go가 아니라 going이 되어야 한다. (look forward to go → look forward to going)

④ [출제포인트현재분사 vs. 과거분사 분사인 interested가 앞의 명사인 anything을 수식하고 있다이때 interest는 감정유발 동사인데 anything이 interest한 감정을 느끼게 하는 것이므로 과거분사가 아니라 현재분사인 interesting이 와야 한다. (anything interested → anything interesting)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순경 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