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ure 수치

discern 구별하다분간하다

concern 영향을 주다, ~에 중요하다 

undermine 약화시키다

 stand out 두드러지다눈에 띄다

 impressive 눈부신인상적인

never mind 신경 쓰지 마,괜찮아  

 be used to ~ing ~하는데 익숙하다

get accustomed to ~에 익숙해지다

 in no time 머지않아 

keep one's fingers crossed 행운을 빌다

dip 담그다 

give it a try 한번 해 보다시도하다

chopped 다진잘게 썬

shy of는 ‘~이 모자란’

five minutes shy of midnight은 자정에서 5분이 모자라다는“자정 5분 전”

five minutes after midnight 5분이나 지난 후



 ~에게 ~~에 대해 말하다’는 의미의 표현은 「tell A about B
 the new teacher (whom) I told you about ~
 about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이 생략된 문장



What appeared to be a shark was lurking behind the coral reef.
what은 명사절을 이끌어 주어와 목적어의 역할
what절이 이끄는 절은 불완전해야 하며 what이 그 절의 주어나 목적어 역할
w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동사 was의 주어 역할
명사절인 what ~ shark에서 what 이하의 문장이 주어가 없어 불완전하므로 명사절 접속사 what이 바르게 쓰인 것이다.
불완전자동사인 appear뒤에는 to부정사가 보어로 올 수 있다




She reached the mountain summit with her 16-year-old friend on Sunday.
수량형용사가 측정단위명사 dollar, year 등과 사용되어 명사를 수식할 때 단위명사는 단수로 써야 한다.
16-year-old friend에서 year단수로 바르게 쓰였다
요일을 나타내는 전치사는 on을 쓰면 요일에 관사를 쓰지 않는 것 역시 바르다.




the most computers per person은 “개인 가장 많은 컴퓨터”라는 의미

 (with the most computers per person → with the largest number of personal computers)
 ‘가장 많은 수의 개인용 컴퓨터를 가진 나라’라는 의미이므로 ‘많은 수의’를 의미



지난여름 나의 사랑스러운 손자에게 일어난 일은 놀라웠다.
→ What happened to my lovely grandson last summer was amazing.
 what은 명사절을 이끌어 주어와 목적어의 역할을 한다.
what절이 이끄는 절은 불완전해야 하며 what그 절의 주어나 목적어 역할
 w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동사 was의 주어 역할
what 이하의 문장이 주어가 없어 불완전






나무 숟가락은 아이들에게 매우 좋은 장난감이고 플라스틱 병 또한 그렇다.
→ Wooden spoons are excellent toys for children, and so are plastic bottles.
 긍정의 의미인 평서문 뒤에 So + 동사 주어」로 표현하면~도 또한 그러하다’는 의미의 표현
 so are plastic bottles 「주어 동사, too
 plastic bottles are excellent toys for children, too.’로 바꿀 수 있다.





나는 은퇴 후부터 내내 이 일을 해 오고 있다.
→ I have been doing this work ever since I retired.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지속되는 상황은 현재완료
은퇴 이후 지금까지 계속 이 일을 했다는 의미이므로 현재완료 진행형
 ‘~이후로’를 나타내는 since은 뒤에 과거가 와서 완료시제와 함께 쓰임에 유의하자.








 Domesticated animals are the earliest and most effective machines’ ① available to humans. They take the strain off the human back and arms. burdens, lift water, and grind grain. 

형용사의 어순 형용사가 추가적인 어구와 함께 오면 명사를 뒤에서 수식할 수 있다. available이 to human이라는 부사구와 함께 machines를 뒤에서 수식하고 있는 바른 문장이다.








② Utilizing with other techniques, animals can raise human living standards very considerably, both as supplementary foodstuffs (protein in meat and milk) and as machines ③ to carry 

분사구문 utilizing의 의미상의 주어는 주절의 animals이다

animals가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른 기술과 함께 이용된다’는 수동의 의미를 갖는 과거분사 utilized로 고쳐야 한다

While they are used with~의 문장에서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 한 후 Being utilized의 분사구문으로 만들어 다시 Being을 생략한 문장으로 볼 수 있다. (utilizing Being utilized, Utilized)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 to carry는 앞의 명사 machines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의 to부정사로 바르게 쓰였다.





Since they are so obviously  of great benefit, we might expect to find that over the centuries humans would increase the number and quality of the animals they kept. Surprisingly, this has not usually been the case.



 셀 수 없는 명사 불완전자동사의 보어 「전치사+추상명사」는 형용사로 쓰일 수 있다

전치사 of와 추상명사 benefit이 결합하여 beneficial(유익한이로운)의 의미로 쓰였으며불완전자동사 are의 보어로 바르게 쓰였다.







Contrary to popular usage, myths are stories ― usually whole groups of stories ― ③ that can be true or partly true as well as false; regardless of their degree of accuracy, however, myths frequently express the deepest beliefs of a culture. 

 관계대명사의 선택 관계대명사 that의 선행사는 stories이다선행사가 사물이므로 관계대명사 that의 쓰임은 바르다.





According to this definition, the Iliad and the Odyssey, the Koran, and the Old and New Testaments can all ④ refer to as myths.


능동태 vs. 수동태 구분 

refer의 주어는 <일리아드>와 <오디세이>, <코란>, <신약과 구약 성경>로 모두 사물이므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간주되는 것이라는 수동의 의미로 써야 한다refer to A as B⌟는 ‘A를 B로 간주하다’는 의미이므로 수동태가 되면A is referred to as B의 형태가 된다. (refer to as → be referred to as)





A myth is a narrative that embodies ― and in some cases ① helps to explain ―  the religious, philosophical, moral, and political values of a culture. 

 주어-동사 수 일치 / to부정사/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완전타동사 : help의 주어는 a narrative로 단수이므로 단수형 동사 helps가 바르게 쓰였다또한 help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므로 to explain 역시 바르게 쓰였다.







Through tales of gods and supernatural beings, myths ② try to make sense of occurrences in the natural world. 

주어-동사 수 일치 / to부정사/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완전타동사 : try의 주어는 myths로 복수이므로 복수형 동사 try가 바르게 쓰였다또한 try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므로 to make 역시 바르게 쓰였다.



compulsory 의무적인필수의

schooling 학교 교육

 age range 연령대


complementary 상호 보완적인

mandatory 의무적인필수의

 disclose 밝히다,누설하다 

let on (비밀을말하다누설하다
 let down실망시키다

 let up 약해지다느슨해지다 
 let off 발사하다 


Visionaries 선지자

Pragmatists 실용주의자




 bother 신경 쓰다


Today, we teach and learn about our world in fragments
오늘날 우리는 우리 세계에 대해 단편적으로 가르치고 배운다


In the past, the study of history required disenchantment from science
과거에 역사 연구는 과학으로부터의 각성을 필요로 했다



surplus 여분의 과잉의





if anything
오히려


If anything, the role of school food service as a replacement for what was once a family function has been expanded.
이전에는 가족의 기능이었던 것에 있어서의 대체물로써의 학교 급식 서비스의 기능이 오히려 확대되고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순경 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