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21의 게시물 표시

순경 한국사

  서옥제 - 고구려 (여자의 집에서 자기들이 살고 ~) 고구려 -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들이 사자, 조의, 선인 등의 관리 거느리고 있었다. 진한과 변한에서는 장사 지낼 때 큰 새의 깃을 함께 묻어 죽은 사람의 영혼이 하늘로 날아오르기를 기원 백제는 관리가 뇌물을 받거나 국가의 재물을 횡령했을 때에는 3배를 배상하고, 죽을 때까지 금고형에 처했다. 하늘 앞에 맹세한다. 지금부터 3년 이후까지 충도(忠道)를 지키고 잘못이 없기를 맹세한다. 만약 이 서약을 어기면 하늘로부터 큰 벌을 받을 것을 맹세한다. (임신서기석) - 신라 신이 숙위원(宿衛院)의 보고를 보았더니, 왕자 대봉예가 글을 올려 발해를 통일신라보다 윗자리에 앉게 해 달라고 주청하였던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 897 쟁장사건  신라는 지방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이들을 일정 기간 서울(경주)에 와서 거주하게 하는 상수리 제도를 실시 대공의 난 - 768년 혜공왕 (혜공왕은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어머니인 태후의 섭정을 받아야만  했는데 이로 인해 왕권이 불안정하고 대공의 난을 시작으로 수많은 진골 귀족들의 반란이 일어나게 되었다) 김헌창의 난 - 822년 헌덕왕 장보고의 난 - 846년 원종 애노의 난 - 889년 진성여왕 대광현 항복 - 고려 태조 (고구려의 수도였던 평양을 서경이라 하였다.) 왕규의 난은 왕규가 왕위쟁탈을 위해 일으킨 난으로, 고려 혜종 때(945, 혜종 2) 일어났다 귀법사는 고려 광종 대에 창건되었다. 이의방-정중부-경대승-이의민-최충헌 경대승 - 도방 조직 (사병집단) 최충헌은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 정치 기구로 교정도감을 설치하고, 그 우두머리인 교정별감이 되어 최고의 권력을 행사했다. 몽골의 1차 침입(1231, 고종) 당시 박서가 귀주성에서 활약하였다 -> 최우는 몽골에 대항하여 1232년 강화도로 천도하였다 -> 몽골의 2차 침입 때(1232) 처인성에서 김윤후가 적장 살리타를 사살하자 몽골군이 퇴각하였다. -> 대장도감은 1236년 강화도에 설치되

ㅀㅇㅎㅇㄹ

  받침의 연음 - 음운의 변동x 끊어 -> 끈어(ㅎ탈락) -> 끄너(연음) - 1번 흙하고 -> 흑하고(자음군단순화:탈락) -> 흐카고(축약) - 2번 밤윷 -> 밤윧(음절의 끝소리 규칙: 교체) -> 밤뉻(ㄴ첨가) - 2번 숱하다 -> 숟하다(음절의 끝소리 규칙: 교체) -> 수타다(축약) - 2번 돌보다 - 돌(동사의 어간) + 보다    (어간 뒤에 연결 어미 없으므로 비통사적 합성어)                                               (어간 뒤에 연결 어미 있으면 통사적 합성어) 타고나다 - 타(어간) + 고(연결어미) + 나다(동사) -> 통사적 합성어 붉돔 - 붉(어간) + 돔(명사) - 연결어미 없으므로 비통사적 합성어 높푸르다 - 높(어간) + 푸르다(형용사) - 연결어미 없으므로 비통사적 합성어 높이가 100미터인 바위산 - '높이' - 명사 나무가 벌써 어름의 키 높이 정도로 자랐다 - '높이' 명사 그는 하는 시합마다 백이면 백 모두 승리했다 - 앞의 '백'은 수사 열 사람이 백 마디의 말을 한다 - '백' 관형사 오늘이 첫 출근 날입니다. - '오늘' 명사 오늘 해야 할 일 - '오늘' 부사 달이 매우 밝다 - '밝다' 형용사 날이 밝는 대로 떠난다 - '밝다' 동사 ① 책상 위에 놓인 공책 신문 지갑 ㄱ들을 가방에 넣었다. - 두 개 이상의 사물을 나열할 때, 그 열거한 사물 모두를 가리키거나, 그 밖에 같은 종류의   사물이 더 있음을 나타내는 의존명사 ② 거기 ㄴ앉아서들 . 이야기하세요 - 그 문장의 주어가 복수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③ ㄷ다들 다 떠나갔구나.  - 그 문장의 주어가 복수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④ 나는 "ㄴ어서들 오세요." 라고 ㄷ그들에게 말했다. - 어서들 (그 문장의 주어가 복수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