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경 한국사
서옥제 - 고구려 (여자의 집에서 자기들이 살고 ~) 고구려 -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들이 사자, 조의, 선인 등의 관리 거느리고 있었다. 진한과 변한에서는 장사 지낼 때 큰 새의 깃을 함께 묻어 죽은 사람의 영혼이 하늘로 날아오르기를 기원 백제는 관리가 뇌물을 받거나 국가의 재물을 횡령했을 때에는 3배를 배상하고, 죽을 때까지 금고형에 처했다. 하늘 앞에 맹세한다. 지금부터 3년 이후까지 충도(忠道)를 지키고 잘못이 없기를 맹세한다. 만약 이 서약을 어기면 하늘로부터 큰 벌을 받을 것을 맹세한다. (임신서기석) - 신라 신이 숙위원(宿衛院)의 보고를 보았더니, 왕자 대봉예가 글을 올려 발해를 통일신라보다 윗자리에 앉게 해 달라고 주청하였던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 897 쟁장사건 신라는 지방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이들을 일정 기간 서울(경주)에 와서 거주하게 하는 상수리 제도를 실시 대공의 난 - 768년 혜공왕 (혜공왕은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어머니인 태후의 섭정을 받아야만 했는데 이로 인해 왕권이 불안정하고 대공의 난을 시작으로 수많은 진골 귀족들의 반란이 일어나게 되었다) 김헌창의 난 - 822년 헌덕왕 장보고의 난 - 846년 원종 애노의 난 - 889년 진성여왕 대광현 항복 - 고려 태조 (고구려의 수도였던 평양을 서경이라 하였다.) 왕규의 난은 왕규가 왕위쟁탈을 위해 일으킨 난으로, 고려 혜종 때(945, 혜종 2) 일어났다 귀법사는 고려 광종 대에 창건되었다. 이의방-정중부-경대승-이의민-최충헌 경대승 - 도방 조직 (사병집단) 최충헌은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 정치 기구로 교정도감을 설치하고, 그 우두머리인 교정별감이 되어 최고의 권력을 행사했다. 몽골의 1차 침입(1231, 고종) 당시 박서가 귀주성에서 활약하였다 -> 최우는 몽골에 대항하여 1232년 강화도로 천도하였다 -> 몽골의 2차 침입 때(1232) 처인성에서 김윤후가 적장 살리타를 사살하자 몽골군이 퇴각하였다. ->...